1
0
Fork 0
mirror of https://github.com/tldr-pages/tldr.git synced 2025-04-22 00:42:08 +02:00

nix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516)
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코드싸이 2024-11-02 03:01:32 +09:00 committed by GitHub
parent be3479bebf
commit f76992563a
No known key found for this signature in database
GPG key ID: B5690EEEBB952194
20 changed files with 479 additions and 0 deletions

View file

@ -0,0 +1,13 @@
# nix-build
> Nix 표현식을 빌드.
> 같이 보기: `nix3 build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ix-build.html>.
- Nix 표현식 빌드:
`nix-build '<nixpkgs>' --attr {{firefox}}`
- 샌드박스된 Nix 표현식 빌드 (NixOS가 아닌 경우):
`nix-build '<nixpkgs>' --attr {{firefox}} --option sandbox true`

View file

@ -0,0 +1,29 @@
# nix classic
> 안정적이고 강력한 패키지 관리자를 위한 클래식하고 안정적인 인터페이스로, 패키지 관리를 신뢰성 있고 재현 가능하며 선언적으로 만듭니다.
> `nix-build`, `nix-shell`, `nix-env`, `nix-store`와 같은 일부 Nix 명령에는 자체 페이지가 있습니다. 같이 보기: `tldr nix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>.
- nixpkgs에서 이름으로 패키지 검색:
`nix-env -qaP {{검색_용어_정규식}}`
- 지정된 패키지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쉘 시작:
`nix-shell -p {{패키지1 패키지2 패키지3...}}`
- 일부 패키지를 영구적으로 설치:
`nix-env -iA {{nixpkgs.패키지1 nixpkgs.패키지2...}}`
- 저장소 경로(패키지)의 모든 종속성을 트리 형식으로 표시:
`nix-store --query --tree {{/nix/store/...}}`
- 채널(저장소) 업데이트:
`nix-channel --update`
- Nix 저장소에서 사용하지 않는 경로 제거:
`nix-collect-garbage`

View file

@ -0,0 +1,17 @@
# nix-collect-garbage
> 사용되지 않거나 접근할 수 없는 nix 저장소 경로 삭제.
> 세대는 `nix-env --list-generations` 명령어로 나열할 수 있습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ix-collect-garbage.html>.
- 각 프로필의 현재 세대에서 사용되지 않는 모든 저장소 경로 삭제:
`sudo nix-collect-garbage --delete-old`
- 오래된 저장소 경로 삭제 시뮬레이션:
`sudo nix-collect-garbage --delete-old --dry-run`
- 30일보다 오래된 모든 저장소 경로 삭제:
`sudo nix-collect-garbage --delete-older-than 30d`

View file

@ -0,0 +1,36 @@
# nix-env
> Nix 사용자 환경을 조작하거나 조회합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#sec-nix-env>.
- 설치된 모든 패키지 나열:
`nix-env -q`
- 설치된 패키지 조회:
`nix-env -q {{검색어}}`
- 사용 가능한 패키지 조회:
`nix-env -qa {{검색어}}`
- 패키지 설치:
`nix-env -iA nixpkgs.{{패키지_이름}}`
- URL에서 패키지 설치:
`nix-env -i {{패키지_이름}} --file {{example.com}}`
- 패키지 제거:
`nix-env -e {{패키지_이름}}`
- 특정 패키지 업그레이드:
`nix-env -u {{패키지_이름}}`
- 모든 패키지 업그레이드:
`nix-env -u`

View file

@ -0,0 +1,29 @@
# nix-shell
> Nix 표현을 기반으로 대화형 셸 시작.
> 같이 보기: `nix3 shell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ix-shell.html>.
- 현재 디렉터리의 `shell.nix` 또는 `default.nix`의 nix 표현으로 시작:
`nix-shell`
- 비대화형 셸에서 셸 명령 실행 후 종료:
`nix-shell --run "{{명령어}} {{인수1 인수2 ...}}"`
- 현재 디렉터리의 `default.nix`의 표현으로 시작:
`nix-shell {{default.nix}}`
- nixpkgs에서 로드된 패키지로 시작:
`nix-shell --packages {{패키지1 패키지2 ...}}`
- 특정 nixpkgs 리비전에서 로드된 패키지로 시작:
`nix-shell --packages {{패키지1 패키지2 ...}} -I nixpkgs={{https://github.com/NixOS/nixpkgs/archive/nixpkgs_revision.tar.gz}}`
- 특정 인터프리터에서 파일의 나머지를 평가하여 `#!-scripts`에서 사용 (자세한 내용은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#use-as-a-interpreter> 참고):
`nix-shell -i {{인터프리터}} --packages {{패키지1 패키지2 ...}}`

View file

@ -0,0 +1,29 @@
# nix-store
> Nix 저장소를 조작하거나 쿼리.
> 같이 보기: `nix3 store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ix-store.html>.
- 사용하지 않는 경로를 제거하는 등의 쓰레기 수집:
`nix-store --gc`
- 동일한 파일을 하드 링크로 연결하여 공간 사용량 줄이기:
`nix-store --optimise`
- 특정 저장소 경로 삭제 (사용 중이지 않아야 함):
`nix-store --delete {{/nix/store/...}}`
- 저장소 경로(패키지)의 모든 의존성을 트리 형식으로 표시:
`nix-store --query --tree {{/nix/store/...}}`
- 특정 저장소 경로와 모든 의존성의 총 크기 계산:
`du -cLsh $(nix-store --query --references {{/nix/store/...}})`
- 특정 저장소 경로에 대한 모든 종속 항목 표시:
`nix-store --query --referrers {{/nix/store/...}}`

34
pages.ko/common/nix.md Normal file
View file

@ -0,0 +1,34 @@
# nix
> 패키지 관리를 신뢰성 있고, 재현 가능하며, 선언적으로 만드는 강력한 패키지 관리자.
> `nix`는 실험적이며 실험적 기능 사용을 활성화해야 합니다. 안정적인 인터페이스를 원하면 `tldr nix classic`을 참조하세요.
> `build`, `develop`, `flake`, `registry`, `profile`, `search`, `repl`, `store`, `edit`, `why-depends` 등의 일부 하위 명령에는 자체 사용 설명서가 있습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>.
- `nix` 명령 활성화:
`mkdir -p ~/.config/nix; echo 'experimental-features = nix-command flakes' > ~/.config/nix/nix.conf`
- nixpkgs에서 이름이나 설명으로 패키지 검색:
`nix search nixpkgs {{검색어}}`
- nixpkgs에서 지정한 패키지가 사용 가능한 셸 시작:
`nix shell {{nixpkgs#패키지1 nixpkgs#패키지2 nixpkgs#패키지3 ...}}`
- nixpkgs에서 일부 패키지를 영구적으로 설치:
`nix profile install {{nixpkgs#패키지1 nixpkgs#패키지2 nixpkgs#패키지3 ...}}`
- Nix 저장소에서 사용하지 않는 경로 제거하여 공간 확보:
`nix store gc`
- Nix 표현식을 평가하기 위한 대화형 환경 시작:
`nix repl`
- 특정 하위 명령에 대한 도움말 표시:
`nix help {{하위_명령}}`

View file

@ -0,0 +1,21 @@
# nix build
> Nix 표현식을 빌드합니다 (가능할 경우 캐시에서 다운로드).
> 같이 보기: 전통적인 Nix 표현식 빌드에 대한 `nix-build`, flakes에 대한 정보는 `nix3 flake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ew-cli/nix3-build.html>.
- nixpkgs에서 패키지를 빌드하고 결과를 `./result`에 심볼릭 링크:
`nix build {{nixpkgs#pkg}}`
- 현재 디렉토리의 flake에서 패키지를 빌드하고 빌드 로그를 표시:
`nix build -L {{.#pkg}}`
- 특정 디렉토리의 flake에서 기본 패키지 빌드:
`nix build {{./경로/대상/폴더}}`
- `result` 심볼릭 링크를 생성하지 않고 패키지를 빌드하며 대신 저장소 경로를 `stdout`에 출력:
`nix build --no-link --print-out-paths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nix develop
> 파생물의 빌드 환경을 제공하는 Bash 셸 실행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ew-cli/nix3-develop.html>.
- nixpkgs의 모든 {{패키지}} 종속성을 사용하여 셸 시작:
`nix develop {{nixpkgs#pkg}}`
- 현재 디렉토리의 플레이크에 있는 기본 패키지에 대한 개발 셸 시작:
`nix develop`
- 해당 셸에서 소스 구성 및 빌드:
`configurePhase; buildPhase`

View file

@ -0,0 +1,12 @@
# nix edit
> Nix 패키지의 Nix 표현을 $EDITOR에서 엽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ew-cli/nix3-edit.html>.
- nixpkgs에서 패키지의 Nix 표현 소스를 `$EDITOR`에서 열기:
`nix edit {{nixpkgs#패키지}}`
- 패키지의 소스를 `stdout`으로 덤프:
`EDITOR=cat nix edit {{nixpkgs#패키지}}`

View file

@ -0,0 +1,24 @@
# nix flake
> Nix 플레이크 관리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ew-cli/nix3-flake.html>.
- 현재 디렉토리에서 기본 템플릿으로 새로운 플레이크(`flake.nix` 파일만) 생성:
`nix flake init`
- 현재 디렉토리의 플레이크의 모든 입력(의존성) 업데이트:
`nix flake update`
- 현재 디렉토리의 플레이크의 특정 입력(의존성) 업데이트:
`nix flake lock --update-input {{입력}}`
- GitHub에 있는 플레이크의 모든 출력 표시:
`nix flake show {{github:소유자/레포}}`
- 도움말 표시:
`nix flake --help`

View file

@ -0,0 +1,28 @@
# nix profile
> Nix 프로필에서 패키지를 설치, 업데이트 및 제거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ew-cli/nix3-profile.html>.
- 기본 프로필에 nixpkgs에서 일부 패키지 설치:
`nix profile install {{nixpkgs#패키지1 nixpkgs#패키지2 ...}}`
- GitHub의 플레이크에서 패키지를 사용자 지정 프로필에 설치:
`nix profile install {{github:소유자/레포/패키지}} --profile {{./경로/대상/폴더}}`
- 기본 프로필에 현재 설치된 패키지 나열:
`nix profile list`
- 기본 프로필에서 nixpkgs로 설치된 패키지를 이름으로 제거:
`nix profile remove {{레거시패키지.x86_64-linux.pkg}}`
- 기본 프로필의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:
`nix profile upgrade`
- 기본 프로필에서 최신 작업 롤백(취소):
`nix profile rollback`

View file

@ -0,0 +1,25 @@
# nix registry
> Nix 플레이크 레지스트리를 관리.
> 같이 보기: 플레이크에 대한 정보는 `nix3 flake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ew-cli/nix3-registry.html>.
- `nixpkgs` 리비전을 업스트림 저장소의 현재 버전으로 고정:
`nix registry pin {{nixpkgs}}`
- GitHub 저장소의 최신 버전 브랜치 또는 특정 리비전으로 항목 고정:
`nix registry pin {{항목}} {{github:소유자/레포/브랜치_또는_리비전}}`
- GitHub 저장소의 최신 버전을 항상 가리키며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새 항목 추가:
`nix registry add {{항목}} {{github:소유자/레포}}`
- 레지스트리 항목 제거:
`nix registry remove {{항목}}`
- Nix 플레이크 레지스트리가 무엇인지에 대한 문서 보기:
`nix registry --help`

View file

@ -0,0 +1,25 @@
# nix repl
> Nix 표현식을 평가하기 위한 대화형 환경 시작.
> Nix 표현식 언어에 대한 설명은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language/index.html>을 참고하세요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ew-cli/nix3-repl.html>.
- Nix 표현식을 평가하기 위한 대화형 환경 시작:
`nix repl`
- 플레이크(예: `nixpkgs`)의 모든 패키지를 스코프로 불러오기:
`:lf {{nixpkgs}}`
- 표현식에서 패키지 빌드:
`:b {{표현식}}`
- 표현식에서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는 셸 시작:
`:u {{표현식}}`
- 표현식에서 패키지의 종속성을 사용할 수 있는 셸 시작:
`:s {{표현식}}`

View file

@ -0,0 +1,33 @@
# nix run
> Nix 플레이크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.
> 같이 보기: 플레이크에 대한 정보는 `nix3 flake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ew-cli/nix3-run.html>.
- 현재 디렉토리의 플레이크에서 기본 애플리케이션 실행:
`nix run`
- nixpkgs에서 패키지 이름과 일치하는 명령 실행 (해당 패키지의 다른 명령을 원하면 `tldr nix3 shell` 참조):
`nix run nixpkgs#{{패키지}}`
- 제공된 인수와 함께 명령 실행:
`nix run nixpkgs#{{vim}} -- {{경로/대상/파일}}`
- 원격 저장소에서 실행:
`nix run {{원격_이름}}:{{소유자}}/{{레포}}`
- 특정 태그, 리비전 또는 브랜치를 사용하여 원격 저장소에서 실행:
`nix run {{원격_이름}}:{{소유자}}/{{레포}}/{{참조}}`
- 하위 디렉토리와 프로그램을 지정하여 원격 저장소에서 실행:
`nix run "{{원격_이름}}:{{소유자}}/{{레포}}?dir={{디렉토리_이름}}#{{앱}}"`
- GitHub 풀 리퀘스트의 플레이크 실행:
`nix run github:{{소유자}}/{{레포}}/pull/{{번호}}/head`

View file

@ -0,0 +1,17 @@
# nix search
> Nix 플레이크에서 패키지를 검색.
> 같이 보기: 플레이크에 대한 정보는 `nix3 flake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ew-cli/nix3-search.html>.
- `nixpkgs`에서 이름이나 설명을 기반으로 패키지 검색:
`nix search {{nixpkgs}} {{검색_어구...}}`
- nixpkgs에서 패키지 설명 표시:
`nix search {{nixpkgs#패키지}}`
- github에서 플레이크로부터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패키지 표시:
`nix search {{github:소유자/레포}}`

View file

@ -0,0 +1,25 @@
# nix shell
> 지정된 패키지가 사용 가능한 셸 시작.
> 같이 보기: 개발 환경 설정을 위한 `nix-shell`, 플레이크에 대한 정보를 위한 `nix3 flake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ew-cli/nix3-shell.html>.
- `nixpkgs`의 일부 패키지와 함께 대화형 셸 시작:
`nix shell {{nixpkgs#pkg1 nixpkgs#packageSet.pkg2 ...}}`
- `nixpkgs`의 이전 버전(21.05)에서 제공하는 패키지로 셸 시작:
`nix shell {{nixpkgs/nixos-21.05#pkg}}`
- 현재 디렉터리의 플레이크에서 "기본 패키지"와 함께 셸 시작, 빌드가 발생하면 빌드 로그 출력:
`nix shell -L`
- GitHub의 플레이크에서 패키지와 함께 셸 시작:
`nix shell {{github:소유자/레포#pkg}}`
- 패키지와 함께 셸에서 명령 실행:
`nix shell {{nixpkgs#pkg}} -c {{아무개_셸 --아무개_플래그 '다른 아무개 인수들'}}`

View file

@ -0,0 +1,25 @@
# nix store
> Nix 저장소를 조작.
> 같이 보기: `nix-store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ew-cli/nix3-store.html>.
- 가비지 수집을 통해 공간 사용량 줄이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경로 제거:
`nix store gc`
- 동일한 파일을 하드링크하여 공간 사용량 줄이기:
`nix store optimise`
- 특정 저장소 경로 삭제 (사용되지 않아야 함):
`nix store delete {{/nix/store/...}}`
- 원격 저장소의 경로 내용을 나열:
`nix store --store {{https://cache.nixos.org}} ls {{/nix/store/...}}`
- 두 저장소 경로 간의 버전 차이와 해당 종속성 표시:
`nix store diff-closures {{/nix/store/...}} {{/nix/store/...}}`

View file

@ -0,0 +1,12 @@
# nix why-depends
> 패키지가 다른 패키지에 의존하는 이유를 보여줍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xos.org/manual/nix/stable/command-ref/new-cli/nix3-why-depends.html>.
- 현재 실행 중인 NixOS 시스템이 특정 저장소 경로를 요구하는 이유를 표시:
`nix why-depends {{/run/현재_시스템}} {{/nix/store/...}}`
- nixpkgs의 패키지가 다른 패키지를 _빌드 타임_ 의존성으로 요구하는 이유를 표시:
`nix why-depends --derivation {{nixpkgs#의존자}} {{nixpkgs#의존성}}`

View file

@ -0,0 +1,29 @@
# nixpkgs-review
> NixOS 패키지 저장소(nixpkgs)에서 풀 리퀘스트를 검토.
> 빌드가 성공하면, 모든 빌드된 패키지를 포함한 `nix-shell`이 시작됩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Mic92/nixpkgs-review#usage>.
- 지정된 풀 리퀘스트에서 변경된 패키지 빌드:
`nixpkgs-review pr {{pr_번호|pr_url}}`
- 변경된 패키지를 빌드하고 보고서와 함께 댓글 게시 (`hub`, `gh` 또는 `GITHUB_TOKEN` 환경 변수를 설정해야 함):
`nixpkgs-review pr --post-result {{pr_번호|pr_url}}`
- 변경된 패키지를 빌드하고 보고서 출력:
`nixpkgs-review pr --print-result {{pr_번호|pr_url}}`
- 로컬 커밋에서 변경된 패키지 빌드:
`nixpkgs-review rev {{HEAD}}`
- 아직 커밋되지 않은 변경된 패키지 빌드:
`nixpkgs-review wip`
- 스테이징된 변경된 패키지 빌드:
`nixpkgs-review wip --staged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