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irror of
https://github.com/tldr-pages/tldr.git
synced 2025-08-04 03:15:37 +02:00
pam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633)
* pam*: add Korean translation * Update pages.ko/common/pambrighten.md 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 * Update pages.ko/common/pamdice.md 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 * Update pages.ko/common/pampop9.md 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 --------- 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parent
acf061d2cb
commit
bdf0e99ca8
45 changed files with 613 additions and 0 deletions
9
pages.ko/common/pamarith.md
Normal file
9
pages.ko/common/pamarith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
# pamarith
|
||||
|
||||
> 두 개의 Netpbm 이미지에 이진 함수를 적용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func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arith.html>.
|
||||
|
||||
- 지정된 이진 함수를 두 이미지에 대해 픽셀 단위로 적용 (이미지는 반드시 동일한 크기여야 함):
|
||||
|
||||
`pamarith -{{add|subtract|multiply|divide|difference|minimum|maximum|...}} {{경로/대상/이미지1.pam|pbm|pgm|ppm}} {{경로/대상/이미지2.pam|pbm|pgm|ppm}}`
|
9
pages.ko/common/pambackground.md
Normal file
9
pages.ko/common/pambackground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
# pambackground
|
||||
|
||||
> PAM 이미지의 배경 마스크 생성.
|
||||
> 같이 보기: `pbmmask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background.html>.
|
||||
|
||||
- PAM 이미지에서 배경 마스크 생성:
|
||||
|
||||
`pambackground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12
pages.ko/common/pambrighten.md
Normal file
12
pages.ko/common/pambrighten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pambrighten
|
||||
|
||||
> PAM 이미지의 채도와 명도를 변경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brighten.html>.
|
||||
|
||||
- 각 픽셀의 채도를 지정된 백분율만큼 증가:
|
||||
|
||||
`pambrighten -saturation {{백분율_값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각 픽셀의 명도(HSV 색상 공간에서)를 지정된 백분율만큼 증가:
|
||||
|
||||
`pambrighten -value {{백분율_값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20
pages.ko/common/pamcomp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amcomp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pamcomp
|
||||
|
||||
> 두 개의 PAM 이미지를 오버레이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comp.html>.
|
||||
|
||||
- 오버레이가 아래 부분을 가리도록 두 이미지를 오버레이:
|
||||
|
||||
`pamcomp {{경로/대상/오버레이.pam}} {{경로/대상/언더레이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오버레이의 수평 정렬 설정:
|
||||
|
||||
`pamcomp -align {{left|center|right|beyondleft|beyondright}} -xoff {{수평_오프셋}} {{경로/대상/오버레이.pam}} {{경로/대상/언더레이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오버레이의 수직 정렬 설정:
|
||||
|
||||
`pamcomp -valign {{top|middle|bottom|above|below}} -yoff {{수직_오프셋}} {{경로/대상/오버레이.pam}} {{경로/대상/언더레이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오버레이의 불투명도 설정:
|
||||
|
||||
`pamcomp -opacity {{0.7}} {{경로/대상/오버레이.pam}} {{경로/대상/언더레이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13
pages.ko/common/pamcrater.md
Normal file
13
pages.ko/common/pamcrat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13 @@
|
|||
# pamcrater
|
||||
|
||||
> 분화구가 있는 지형의 PAM 이미지를 생성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shadedrelief`, `ppmrelief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crater.html>.
|
||||
|
||||
- 지정된 크기의 분화구 지형 이미지를 생성:
|
||||
|
||||
`pamcrater -height {{높이}} -width {{너비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개수의 분화구를 포함한 이미지 생성:
|
||||
|
||||
`pamcrater -number {{분화구_개수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17
pages.ko/common/pamcut.md
Normal file
17
pages.ko/common/pamcut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pamcut
|
||||
|
||||
> Netpbm 이미지에서 직사각형 영역을 잘라내기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crop`, `pamdice`, `pamcomp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cut.html>.
|
||||
|
||||
- 이미지의 양쪽에서 지정된 열/행 수만큼 잘라내기:
|
||||
|
||||
`pamcut -cropleft {{값}} -cropright {{값}} -croptop {{값}} -cropbottom {{값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p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열 사이의 열만 유지하기 (포함):
|
||||
|
||||
`pamcut -left {{값}} -right {{값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p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직사각형이 입력 이미지 내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을 경우, 누락된 영역을 검은색 픽셀로 채우기:
|
||||
|
||||
`pamcut -top {{값}} -bottom {{값}} -pad {{경로/대상/이미지.pp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13
pages.ko/common/pamdeinterlace.md
Normal file
13
pages.ko/common/pamdeinterlac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3 @@
|
|||
# pamdeinterlace
|
||||
|
||||
> Netpbm 이미지에서 격자 모양으로 행을 제거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mixinterlac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deinterlace.html>.
|
||||
|
||||
- 입력 이미지의 짝수 행으로 구성된 이미지 생성:
|
||||
|
||||
`pamdeinterlace {{경로/대상/이미지.pp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||||
|
||||
- 입력 이미지의 홀수 행으로 구성된 이미지 생성:
|
||||
|
||||
`pamdeinterlace -takeodd {{경로/대상/이미지.pp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8
pages.ko/common/pamdepth.md
Normal file
8
pages.ko/common/pamdepth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
# pamdepth
|
||||
|
||||
> 이미지의 깊이(즉, 색상 해상도)를 줄이는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depth.html>.
|
||||
|
||||
- PBM 이미지를 읽고, 최대값을 설정하여 파일로 저장:
|
||||
|
||||
`pamdepth {{최대값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b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bm}}`
|
13
pages.ko/common/pamdice.md
Normal file
13
pages.ko/common/pamdic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3 @@
|
|||
# pamdice
|
||||
|
||||
> Netpbm 이미지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자르기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undic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dice.html>.
|
||||
|
||||
- 결과 타일이 지정된 높이와 너비를 가지도록 Netpbm 이미지 자르기:
|
||||
|
||||
`pamdice -outstem {{경로/대상/파일명_스템}} -height {{값}} -width {{값}} {{경로/대상/입력.ppm}}`
|
||||
|
||||
- 생성된 조각을 지정된 양만큼 수평 및 수직으로 겹치도록 만들기:
|
||||
|
||||
`pamdice -outstem {{경로/대상/파일명_스템}} -height {{값}} -width {{값}} -hoverlap {{값}} -voverlap {{값}} {{경로/대상/입력.ppm}}`
|
21
pages.ko/common/pamditherbw.md
Normal file
21
pages.ko/common/pamditherbw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
# pamditherbw
|
||||
|
||||
> 그레이스케일 이미지에 디더링을 적용하여 원래의 그레이스케일과 동일하게 보이는 흑백 픽셀 패턴으로 변환.
|
||||
> 같이 보기: `pbmreduc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ditherbw.html>.
|
||||
|
||||
- PGM 이미지를 읽고 디더링을 적용하여 파일로 저장:
|
||||
|
||||
`ppmditherbw {{경로/대상/image.pg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gm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양자화 방법 사용:
|
||||
|
||||
`ppmditherbw -{{floyd|fs|atkinson|threshold|hilbert|...}} {{경로/대상/image.pg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gm}}`
|
||||
|
||||
- atkinson 양자화 방법과 지정된 시드를 사용하여 의사 난수 생성기 사용:
|
||||
|
||||
`ppmditherbw -atkinson -randomseed {{1337}} {{경로/대상/image.pg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gm}}`
|
||||
|
||||
- 특정 형태의 임계값 처리를 수행하는 양자화 방법을 위한 임계값 지정:
|
||||
|
||||
`ppmditherbw -{{fs|atkinson|thresholding}} -value {{0.3}} {{경로/대상/image.pg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gm}}`
|
8
pages.ko/common/pamedge.md
Normal file
8
pages.ko/common/pamedge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
# pamedge
|
||||
|
||||
> Netpbm 이미지에서 에지 감지를 수행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edge.html>.
|
||||
|
||||
- Netpbm 이미지에서 에지 감지 수행:
|
||||
|
||||
`pamedge {{경로/대상/input.pam}} > {{경로/대상/output.pam}}`
|
13
pages.ko/common/pamenlarge.md
Normal file
13
pages.ko/common/pamenlarg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3 @@
|
|||
# pamenlarge
|
||||
|
||||
> 픽셀을 복제하여 PAM 이미지를 확대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pbmreduce`, `pamditherbw`, `pbmpscal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enlarge.html>.
|
||||
|
||||
- 지정된 이미지를 주어진 배율로 확대:
|
||||
|
||||
`pamenlarge -scale {{N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이미지를 가로 및 세로로 주어진 배율로 확대:
|
||||
|
||||
`pamenlarge -xscale {{XN}} -yscale {{YN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13
pages.ko/common/pamexec.md
Normal file
13
pages.ko/common/pamexec.md
Normal file
|
@ -0,0 +1,13 @@
|
|||
# pamexec
|
||||
|
||||
> Netpbm 파일의 각 이미지에 대해 셸 명령을 실행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file`, `pampick`, `pamsplit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exec.html>.
|
||||
|
||||
- Netpbm 파일의 각 이미지에 대해 셸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pamexec {{명령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`
|
||||
|
||||
- 명령이 비정상 종료 상태로 종료되면 처리를 중단:
|
||||
|
||||
`pamexec {{명령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-check`
|
16
pages.ko/common/pamfile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amfil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pamfile
|
||||
|
||||
> Netpbm (PAM 또는 PNM) 파일 설명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file.html>.
|
||||
|
||||
- 지정된 Netpbm 파일 설명:
|
||||
|
||||
`pamfile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||||
|
||||
- 각 입력 파일의 모든 이미지를 설명(각 파일의 첫 번째 이미지만이 아닌 모든 이미지)하고 기계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출력:
|
||||
|
||||
`pamfile -allimages -machine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입력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 수를 표시:
|
||||
|
||||
`pamfile -count {{경로/대상/파일}}`
|
17
pages.ko/common/pamfix.md
Normal file
17
pages.ko/common/pamfix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pamfix
|
||||
|
||||
> PAM, PBM, PGM 및 PPM 파일의 오류를 수정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file`, `pamvalidat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fix.html>.
|
||||
|
||||
- 마지막 부분이 손상된 Netpbm 파일 수정:
|
||||
|
||||
`pamfix -truncate {{경로/대상/손상된_파일.ext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ext}}`
|
||||
|
||||
- 이미지의 `maxval`을 초과하는 픽셀 값을 낮추어 수정:
|
||||
|
||||
`pamfix -clip {{경로/대상/손상된_파일.ext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ext}}`
|
||||
|
||||
- 이미지의 `maxval`을 초과하는 픽셀 값을 증가시켜 수정:
|
||||
|
||||
`pamfix -changemaxval {{경로/대상/손상된.pam|pbm|pgm|pp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|pbm|pgm|ppm}}`
|
8
pages.ko/common/pamfixtrunc.md
Normal file
8
pages.ko/common/pamfixtrunc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
# pamfixtrunc
|
||||
|
||||
> 이 명령은 `pamfix -truncate`로 대체되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fixtrunc.html>.
|
||||
|
||||
- 현재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pamfix`
|
20
pages.ko/common/pamflip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amflip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pamflip
|
||||
|
||||
> PAM 또는 PNM 이미지를 뒤집거나 회전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flip.html>.
|
||||
|
||||
- 입력 이미지를 특정 각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:
|
||||
|
||||
`pamflip -rotate{{90|180|270}}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왼쪽과 오른쪽을 뒤집기:
|
||||
|
||||
`pamflip -leftright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위쪽과 아래쪽을 뒤집기:
|
||||
|
||||
`pamflip -topbottom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입력 이미지를 주 대각선으로 뒤집기:
|
||||
|
||||
`pamflip -transpose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12
pages.ko/common/pamfunc.md
Normal file
12
pages.ko/common/pamfunc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pamfunc
|
||||
|
||||
> Netpbm 이미지에 간단한 산술 함수를 적용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func.html>.
|
||||
|
||||
- 지정된 PAM 이미지의 각 샘플에 `n`을 두 번째 인수로 하여 지정된 산술 함수 적용:
|
||||
|
||||
`pamfunc -{{multiplier|divisor|adder|subtractor|min|max}} {{n}}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PAM 이미지의 각 샘플에 `n`을 두 번째 인수로 하여 지정된 비트 문자열 함수 적용:
|
||||
|
||||
`pamfunc -{{andmask|ormask|xormask|shiftleft|shiftright}} {{n}}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32
pages.ko/common/pamixer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pamix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pamixer
|
||||
|
||||
> PulseAudio를 위한 간단한 커맨드라인 믹서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cdemoulins/pamixer>.
|
||||
|
||||
- 모든 싱크 및 소스를 해당 ID와 함께 나열:
|
||||
|
||||
`pamixer --list-sinks --list-sources`
|
||||
|
||||
- 기본 싱크의 볼륨을 75%로 설정:
|
||||
|
||||
`pamixer --set-volume {{75}}`
|
||||
|
||||
- 기본이 아닌 싱크 음소거 전환:
|
||||
|
||||
`pamixer --toggle-mute --sink {{ID}}`
|
||||
|
||||
- 기본 싱크의 볼륨을 5% 증가:
|
||||
|
||||
`pamixer --increase {{5}}`
|
||||
|
||||
- 소스의 볼륨을 5% 감소:
|
||||
|
||||
`pamixer --decrease {{5}} --source {{ID}}`
|
||||
|
||||
- 100% 이상으로 볼륨을 증가, 감소 또는 설정하기 위해 부스트 허용 옵션 사용:
|
||||
|
||||
`pamixer --set-volume {{105}} --allow-boost`
|
||||
|
||||
- 기본 싱크 음소거 (`--unmute`를 사용하여 음소거 해제 가능):
|
||||
|
||||
`pamixer --mute`
|
17
pages.ko/common/pammixinterlace.md
Normal file
17
pages.ko/common/pammixinterlac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pammixinterlace
|
||||
|
||||
> 이미지의 각 행을 인접한 두 행과 병합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deinterlac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mixinterlace.html>.
|
||||
|
||||
- 이미지의 각 행을 인접한 두 행과 병합:
|
||||
|
||||
`pammixinterlace {{경로/대상/이미지.pp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필터링 메커니즘 사용:
|
||||
|
||||
`pammixinterlace -filter {{linear|fir|ffmpeg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p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||||
|
||||
- 적응형 필터링 모드 활성화, 즉 명백히 빗살무늬 패턴의 일부인 픽셀만 수정:
|
||||
|
||||
`pammixinterlace -adaptive {{경로/대상/이미지.pp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8
pages.ko/common/pamnoraw.md
Normal file
8
pages.ko/common/pamnoraw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
# pamnoraw
|
||||
|
||||
> 이 명령은 `pamtopnm -plain`의 별칭입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noraw.html>.
|
||||
|
||||
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pamtopnm`
|
12
pages.ko/common/pamoil.md
Normal file
12
pages.ko/common/pamoil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pamoil
|
||||
|
||||
> PAM 이미지를 유화로 변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oil.html>.
|
||||
|
||||
- PAM 이미지를 유화로 변환:
|
||||
|
||||
`pamoil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pam}}`
|
||||
|
||||
- "번지기" 효과를 위해 N 픽셀의 이웃을 고려:
|
||||
|
||||
`pamoil -n {{N}}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pam}}`
|
9
pages.ko/common/pampick.md
Normal file
9
pages.ko/common/pampick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
# pampick
|
||||
|
||||
> 여러 이미지로 구성된 Netpbm 스트림에서 이미지를 선택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file`, `pamsplit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pick.html>.
|
||||
|
||||
- Netpbm 파일의 각 이미지에서 셸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pampick {{이미지_번호1 이미지_번호2 ...}} <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8
pages.ko/common/pampop9.md
Normal file
8
pages.ko/common/pampop9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
# pampop9
|
||||
|
||||
> Pop9과 같은 다중 렌즈 카메라를 시뮬레이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pop9.html>.
|
||||
|
||||
- 입력 이미지를 x타일 x y타일로 타일링하고, 각 번마다 x델타와 y델타에 따라 오프셋을 증가:
|
||||
|
||||
`pampop9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{{x타일}} {{y타일}} {{x델타}} {{y델타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8
pages.ko/common/pamrgbatopng.md
Normal file
8
pages.ko/common/pamrgbatopng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
# pamrgbatopng
|
||||
|
||||
> 이 명령은 `pamtopng`으로 대체되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rgbatopng.html>.
|
||||
|
||||
- 현재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pamtopng`
|
24
pages.ko/common/pamscale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amscal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pamscale
|
||||
|
||||
> Netpbm 이미지를 크기 조정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scale.html>.
|
||||
|
||||
- 결과 이미지가 지정된 크기를 갖도록 이미지 크기 조정:
|
||||
|
||||
`pamscale -width {{너비}} -height {{높이}}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이미지의 가로 세로 비율을 유지하면서 결과 이미지가 지정된 너비를 갖도록 크기 조정:
|
||||
|
||||
`pamscale -width {{너비}}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이미지의 너비와 높이를 지정된 비율로 변경하여 크기 조정:
|
||||
|
||||
`pamscale -xscale {{x_비율}} -yscale {{y_비율}}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이미지의 가로 세로 비율을 유지하면서 지정된 경계 상자에 맞도록 크기 조정:
|
||||
|
||||
`pamscale -xyfit {{경계상자_너비}} {{경계상자_높이}}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이미지의 가로 세로 비율을 유지하면서 지정된 상자를 완전히 채우도록 크기 조정:
|
||||
|
||||
`pamscale -xyfill {{상자_너비}} {{상자_높이}}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13
pages.ko/common/pamshadedrelief.md
Normal file
13
pages.ko/common/pamshadedrelief.md
Normal file
|
@ -0,0 +1,13 @@
|
|||
# pamshadedrelief
|
||||
|
||||
> 고도 지도를 사용하여 음영 지형도를 생성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crater`, `ppmrelief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shadedrelief.html>.
|
||||
|
||||
- 입력 이미지를 고도 지도로 해석하여 음영 지형도 이미지 생성:
|
||||
|
||||
`pamshadedrelief <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계수로 이미지 감마 조정:
|
||||
|
||||
`pamshadedrelief -gamma {{계수}} < {{경로/대상/입력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20
pages.ko/common/pamslice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amslic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pamslice
|
||||
|
||||
> PAM 이미지에서 한 줄의 값을 추출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slice.html>.
|
||||
|
||||
- n번째 행의 픽셀 값을 테이블 형식으로 출력:
|
||||
|
||||
`pamslice -row {{n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`
|
||||
|
||||
- n번째 열의 픽셀 값을 테이블 형식으로 출력:
|
||||
|
||||
`pamslice -column {{n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`
|
||||
|
||||
- 입력 이미지의 m번째 평면만 고려:
|
||||
|
||||
`pamslice -row {{n}} -plane {{m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`
|
||||
|
||||
- 시각화를 위한 `xmgr` 입력 형식으로 출력 생성:
|
||||
|
||||
`pamslice -row {{n}} -xmgr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`
|
13
pages.ko/common/pamsplit.md
Normal file
13
pages.ko/common/pamsplit.md
Normal file
|
@ -0,0 +1,13 @@
|
|||
# pamsplit
|
||||
|
||||
> 여러 이미지가 포함된 Netpbm 파일을 단일 이미지 Netpbm 파일로 분할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file`, `pampick`, `pamexec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split.html>.
|
||||
|
||||
- 여러 이미지가 포함된 Netpbm 파일을 단일 이미지 Netpbm 파일로 분할:
|
||||
|
||||
`pamsplit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`
|
||||
|
||||
- 출력 파일의 이름 패턴 지정:
|
||||
|
||||
`pamsplit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{{file_%d.pam}}`
|
12
pages.ko/common/pamstack.md
Normal file
12
pages.ko/common/pamstack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pamstack
|
||||
|
||||
> 여러 PAM 이미지의 평면을 하나의 PAM 이미지로 스택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stack.html>.
|
||||
|
||||
- 지정된 PAM 이미지의 평면을 특정 순서로 스택:
|
||||
|
||||
`pamstack {{경로/대상/이미지1.pam 경로/대상/이미지2.pam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출력 PAM 파일의 튜플 타입 이름 지정 (최대 255자):
|
||||
|
||||
`pamstack -tupletype {{튜플_타입}} {{경로/대상/이미지1.pam 경로/대상/이미지2.pam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9
pages.ko/common/pamstretch-gen.md
Normal file
9
pages.ko/common/pamstretch-gen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
# pamstretch-gen
|
||||
|
||||
> PAM 이미지를 소수 값으로 확대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stretch`, `pamenlarge`, `pamscal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stretch-gen.html>.
|
||||
|
||||
- 지정된 소수 배율로 PAM 이미지 확대:
|
||||
|
||||
`pamstretch-gen {{N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13
pages.ko/common/pamstretch.md
Normal file
13
pages.ko/common/pamstretch.md
Normal file
|
@ -0,0 +1,13 @@
|
|||
# pamstretch
|
||||
|
||||
> PAM 이미지를 픽셀 간 보간을 통해 확대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stretch-gen`, `pamenlarge`, `pamscal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stretch.html>.
|
||||
|
||||
- PAM 이미지를 정수 배율로 확대:
|
||||
|
||||
`pamstretch {{N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PAM 이미지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지정된 배율로 확대:
|
||||
|
||||
`pamstretch -xscale {{XN}} -yscale {{YN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9
pages.ko/common/pamtofits.md
Normal file
9
pages.ko/common/pamtofits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
# pamtofits
|
||||
|
||||
> Netpbm 이미지를 Flexible Image Transport System (FITS) 형식으로 변환.
|
||||
> 같이 보기: `fitstopnm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tofits.html>.
|
||||
|
||||
- Netpbm 이미지를 FITS 형식으로 변환:
|
||||
|
||||
`pamtofits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fits}}`
|
17
pages.ko/common/pamtogif.md
Normal file
17
pages.ko/common/pamtogif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pamtogif
|
||||
|
||||
> Netpbm 이미지를 애니메이션이 없는 GIF 이미지로 변환.
|
||||
> 같이 보기: `giftopnm`, `gifsicl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togif.html>.
|
||||
|
||||
- Netpbm 이미지를 애니메이션이 없는 GIF 이미지로 변환:
|
||||
|
||||
`pamtogif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gif}}`
|
||||
|
||||
- 출력 GIF 파일에서 지정한 색상을 투명하게 설정:
|
||||
|
||||
`pamtogif -transparent {{색상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gif}}`
|
||||
|
||||
- 출력 GIF 파일에 지정한 텍스트를 주석으로 포함:
|
||||
|
||||
`pamtogif -comment "{{Hello World!}}"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gif}}`
|
12
pages.ko/common/pamtopam.md
Normal file
12
pages.ko/common/pamtopam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pamtopam
|
||||
|
||||
> PAM 이미지를 복사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topam.html>.
|
||||
|
||||
- PAM 이미지(PBM, PGM, PPM 또는 PAM 이미지)를 `stdin`에서 `stdout`으로 복사:
|
||||
|
||||
`pamtopam <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
|
||||
- 버전 표시:
|
||||
|
||||
`pamtopam -version`
|
21
pages.ko/common/pamtopng.md
Normal file
21
pages.ko/common/pamtopng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
# pamtopng
|
||||
|
||||
> PAM 이미지를 PNG로 변환.
|
||||
> 같이 보기: `pnmtopng`, `pngtopam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topng.html>.
|
||||
|
||||
- 지정된 PAM 이미지를 PNG로 변환:
|
||||
|
||||
`pamtopng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g}}`
|
||||
|
||||
- 출력 이미지에서 지정된 색상을 투명하게 표시:
|
||||
|
||||
`pamtopng -transparent {{색상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g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파일의 텍스트를 출력물에 tEXt 청크로 포함:
|
||||
|
||||
`pamtopng -text {{경로/대상/파일.txt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g}}`
|
||||
|
||||
- 출력 파일을 Adam7 형식으로 인터레이스 처리:
|
||||
|
||||
`pamtopng -interlace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g}}`
|
12
pages.ko/common/pamtopnm.md
Normal file
12
pages.ko/common/pamtopnm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pamtopnm
|
||||
|
||||
> PAM 이미지를 동등한 PNM 이미지로 변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topnm.html>.
|
||||
|
||||
- PAM 이미지를 동등한 PNM 이미지(즉, PBM, PGM 또는 PPM 이미지)로 변환:
|
||||
|
||||
`pamtopnm {{경로/대상/이미지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bm|pgm|ppm}}`
|
||||
|
||||
- 버전 표시:
|
||||
|
||||
`pamtopnm -version`
|
8
pages.ko/common/pamtoqoi.md
Normal file
8
pages.ko/common/pamtoqoi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
# pamtoqoi
|
||||
|
||||
> Netpbm 이미지를 QOI 이미지(Quite OK Image 형식)로 변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toqoi.html>.
|
||||
|
||||
- Netpbm 이미지를 QOI 형식으로 변환:
|
||||
|
||||
`pamtoqoi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qoi}}`
|
16
pages.ko/common/pamtotga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amtotga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pamtotga
|
||||
|
||||
> Netpbm 이미지를 TrueVision Targa 파일로 변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totga.html>.
|
||||
|
||||
- Netpbm 이미지를 TrueVision Targa 파일로 변환:
|
||||
|
||||
`pamtotga {{경로/대상/파일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tga}}`
|
||||
|
||||
- 출력 이미지의 색상 맵 지정:
|
||||
|
||||
`pamtotga -{{cmap|cmap16|mono|rgb}} {{경로/대상/파일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tga}}`
|
||||
|
||||
- 버전 표시:
|
||||
|
||||
`pamtotga -version`
|
16
pages.ko/common/pamtotiff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amtotiff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pamtotiff
|
||||
|
||||
> PAM 이미지를 TIFF 파일로 변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totiff.html>.
|
||||
|
||||
- PAM 이미지를 TIFF 이미지로 변환:
|
||||
|
||||
`pamtotiff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tiff}}`
|
||||
|
||||
- 출력 파일의 압축 방식을 명시적으로 지정:
|
||||
|
||||
`pamtotiff -{{none|packbits|lzw|g3|g4|flate|adobeflate}}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tiff}}`
|
||||
|
||||
- 입력 이미지가 그레이스케일일지라도 항상 컬러 TIFF 이미지를 생성:
|
||||
|
||||
`pamtotiff -color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tiff}}`
|
12
pages.ko/common/pamtouil.md
Normal file
12
pages.ko/common/pamtouil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pamtouil
|
||||
|
||||
> PNM 또는 PAM 파일을 Motif UIL 아이콘 파일로 변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touil.html>.
|
||||
|
||||
- PNM 또는 PAM 파일을 Motif UIL 아이콘 파일로 변환:
|
||||
|
||||
`pamtouil {{경로/대상/입력.pnm|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uil}}`
|
||||
|
||||
- 출력 UIL 파일에 출력할 접두사 문자열 지정:
|
||||
|
||||
`pamtouil -name {{uil이름}} {{경로/대상/입력.pnm|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uil}}`
|
16
pages.ko/common/pamtowinicon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amtowinicon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pamtowinicon
|
||||
|
||||
> PAM 이미지를 Windows ICO 파일로 변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towinicon.html>.
|
||||
|
||||
- PAM 이미지 파일을 ICO 파일로 변환:
|
||||
|
||||
`pamtowinicon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ico}}`
|
||||
|
||||
- 해상도가 {{t}}보다 작은 이미지는 BMP 형식으로, 그 외 이미지는 PNG 형식으로 인코딩:
|
||||
|
||||
`pamtowinicon -pngthreshold {{t}}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ico}}`
|
||||
|
||||
- 불투명하지 않은 영역 외의 모든 픽셀을 검정색으로 설정:
|
||||
|
||||
`pamtowinicon -truetransparent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.ico}}`
|
8
pages.ko/common/pamtoxvmini.md
Normal file
8
pages.ko/common/pamtoxvmini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
# pamtoxvmini
|
||||
|
||||
> Netpbm 이미지를 XV 썸네일 그림으로 변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toxvmini.html>.
|
||||
|
||||
- PAM 이미지를 XV 썸네일 그림으로 변환:
|
||||
|
||||
`pamtoxvmini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am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}}`
|
17
pages.ko/common/pamundice.md
Normal file
17
pages.ko/common/pamundic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pamundice
|
||||
|
||||
> 여러 개의 Netpbm 이미지를 하나로 결합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dic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undice.html>.
|
||||
|
||||
- `printf` 스타일의 파일 이름 표현과 일치하는 이미지 결합. 특정 크기의 그리드를 가정:
|
||||
|
||||
`pamundice {{파일이름_%1d_%1a.ppm}} -across {{그리드_너비}} -down {{그리드_높이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||||
|
||||
- 타일이 지정된 양만큼 수평 및 수직으로 겹친다고 가정:
|
||||
|
||||
`pamundice {{파일이름_%1d_%1a.ppm}} -across {{x_값}} -down {{y_값}} -hoverlap {{값}} -voverlap {{값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||||
|
||||
- 결합할 이미지를 한 줄에 하나의 파일 이름이 있는 텍스트 파일로 지정:
|
||||
|
||||
`pamundice -listfile {{경로/대상/파일.txt}} -across {{x_값}} -down {{y_값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9
pages.ko/common/pamvalidate.md
Normal file
9
pages.ko/common/pamvalidate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
# pamvalidate
|
||||
|
||||
> PAM, PGM, PBM 및 PPM 파일 유효성 검사.
|
||||
> 같이 보기: `pamfile`, `pamfix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mvalidate.html>.
|
||||
|
||||
- Netpbm 파일이 유효한 경우에만 `stdin`에서 `stdout`으로 복사하고, 그렇지 않으면 실패:
|
||||
|
||||
`{{명령어}} | pamvalidate > {{경로/대상/출력.ext}}`
|
Loading…
Add table
Reference in a new issu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