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
0
Fork 0
mirror of https://github.com/tldr-pages/tldr.git synced 2025-03-28 21:16:20 +01:00

pnm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634)

* pnm*: add Korean translation

* Update pages.ko/common/pnmsmooth.md

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

---------

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코드싸이 2024-11-05 19:15:23 +09:00 committed by GitHub
parent a7d292be92
commit 94a786f926
No known key found for this signature in database
GPG key ID: B5690EEEBB952194
51 changed files with 711 additions and 0 deletions

View file

@ -0,0 +1,20 @@
# pnmalias
> PNM 이미지에 안티앨리어싱 적용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alias.html>.
- PNM 이미지에 안티앨리어싱 적용, 검은 픽셀을 배경으로, 흰 픽셀을 전경으로 처리:
`pnmalias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- 배경색과 전경색을 명시적으로 지정:
`pnmalias -bcolor {{배경_색상}} -fcolor {{전경_색상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- 전경 픽셀에만 안티앨리어싱 적용:
`pnmalias -fonly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- 배경 픽셀 주변의 모든 픽셀에 안티앨리어싱 적용:
`pnmalias -balias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arith
> 이 명령은 `pamarith`로 대체되었습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arith.html>.
- 현재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arith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pnmcolormap
> PNM 이미지에 대한 양자화 색상 맵 생성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colormap.html>.
- 입력 이미지와 최대한 유사하게 `n_colors` 이하의 색상만 사용하는 이미지 생성:
`pnmcolormap {{n_colors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- 작은 디테일이 있는 이미지에 더 나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splitspread 전략 사용:
`pnmcolormap -splitspread {{n_colors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- 색상 맵을 정렬, 색상 맵 비교에 유용:
`pnmcolormap -sort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comp
> 이 명령은 `pamcomp`로 대체되었습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comp.html>.
- 현재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comp`

View file

@ -0,0 +1,20 @@
# pnmconvol
> PNM 이미지를 컨볼루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convol.html>.
- 지정된 컨볼루션 행렬로 PNM 이미지 컨볼루션:
`pnmconvol -matrix=-1,3,-1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입력 이미지의 각 레이어에 대해 파일로 지정된 컨볼루션 행렬로 PNM 이미지 컨볼루션:
`pnmconvol -matrixfile {{경로/대상/행렬1,경로/대상/행렬2,...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지정된 PNM 파일의 컨볼루션 행렬로 PNM 이미지 컨볼루션:
`pnmconvol {{경로/대상/행렬.pnm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컨볼루션 행렬의 가중치를 합이 1이 되도록 정규화:
`pnmconvol -matrix=-1,3,-1 -normalize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20 @@
# pnmcrop
> PNM 이미지 자르기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crop.html>.
- PNM 이미지의 흰색 테두리 제거:
`pnmcrop -white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지정한 색상의 상단 및 왼쪽 테두리 제거:
`pnmcrop -bg-color {{색상}} -top -left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지정한 코너의 픽셀 색상으로 제거할 테두리 색상 결정:
`pnmcrop -bg-corner {{topleft|topright|bottomleft|bottomright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`n` 픽셀 너비의 테두리를 남김. 또한, 이미지가 배경으로만 이루어진 경우의 동작 지정:
`pnmcrop -margins {{n}} -blank-image {{pass|minimize|maxcrop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cut
> 이 명령은 `pamcut`으로 대체되었습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cut.html>.
- 현재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cut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depth
> 이 명령은 `pamdepth`의 별칭입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depth.html>.
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depth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enlarge
> 이 명령은 `pamenlarge`로 대체되었습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enlarge.html>.
- 현재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enlarge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file
> 이 명령은 `pamfile`로 대체되었습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file.html>.
- 현재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file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flip
> 이 명령은 `pamflip`으로 대체되었습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flip.html>.
- 현재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flip`

View file

@ -0,0 +1,20 @@
# pnmgamma
> PNM 이미지에 감마 보정 수행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gamma.html>.
- 이미지를 BT.709 휘도에서 방사선 또는 sRGB 휘도로 변환:
`pnmgamma -{{bt709tolinear|bt709tosrgb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이미지를 방사선 또는 sRGB 휘도에서 BT.709 휘도로 변환:
`pnmgamma -{{lineartobt709|srgbtobt709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감마 전송 함수에 사용될 감마 값 지정:
`pnmgamma -gamma {{값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색 구성 요소별로 감마 전송 함수에 사용될 감마 값 지정:
`pnmgamma -rgamma {{값}} -ggamma {{값}} -bgamma {{값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pnmhisteq
> PNM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균등화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histeq.html>.
- 히스토그램 균등화를 사용하여 PNM 이미지의 대비 증가:
`pnmhisteq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회색 픽셀만 수정:
`pnmhisteq -grey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히스토그램 균등화에서 검정 또는 흰색 픽셀 제외:
`pnmhisteq -no{{black|white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pnmhistmap
> PNM 이미지의 히스토그램 그리기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histmap.html>.
- PNM 이미지의 히스토그램 그리기:
`pnmhistmap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막대 대신 점으로 히스토그램 그리기:
`pnmhistmap -dots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포함할 강도 값의 범위 지정:
`pnmhistmap -lval {{최소값}} -rval {{최대값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21 @@
# pnmindex
> 여러 PNM 이미지의 시각적 색인을 생성합니다.
> 같이 보기: `pamundice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index.html>.
- 지정된 이미지를 그리드 형식으로 축소판 이미지로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:
`pnmindex {{경로/대상/입력1.pnm 경로/대상/입력2.pnm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축소판 이미지의 (정사각형) 크기 지정:
`pnmindex -size {{50}} {{경로/대상/입력1.pnm 경로/대상/입력2.pnm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한 행에 표시할 축소판 이미지의 개수 지정:
`pnmindex -across {{10}} {{경로/대상/입력1.pnm 경로/대상/입력2.pnm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출력 이미지의 최대 색상 수 지정:
`pnmindex -colors {{512}} {{경로/대상/입력1.pnm 경로/대상/입력2.pnm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interp
> 이 명령은 `pamstretch`로 대체되었습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interp.html>.
- 현재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stretch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invert
> PNM 이미지를 반전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invert.html>.
- PNM 이미지의 색상 또는 회색조 값을 반전:
`pnminvert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12 @@
# pnmmargin
> PNM 이미지에 테두리를 추가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margin.html>.
- 지정된 크기의 테두리를 PNM 이미지에 추가:
`pnmmargin {{크기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테두리 색상 지정:
`pnmmargin -color {{색상}} {{크기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20 @@
# pnmmontage
> 여러 PNM 이미지를 합쳐 몽타주 생성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montage.html>.
- 지정된 이미지들을 모아서 패킹:
`pnmmontage {{경로/대상/이미지1.pnm 경로/대상/이미지2.pnm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패킹의 품질 지정 (참고: 값이 클수록 작은 패킹이 생성되지만 계산 시간이 길어짐):
`pnmmontage -{{0..9}} {{경로/대상/이미지1.pnm 경로/대상/이미지2.pnm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최적 패킹의 `p` 퍼센트보다 크지 않은 패킹 생성:
`pnmmontage -quality {{p}} {{경로/대상/이미지1.pnm 경로/대상/이미지2.pnm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입력 파일들의 위치를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파일에 작성:
`pnmmontage -data {{경로/대상/데이터파일}} {{경로/대상/이미지1.pnm 경로/대상/이미지2.pnm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pnmnlfilt
> PNM 이미지에 비선형 필터 적용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nlfilt.html>.
- 지정된 알파와 반경 값으로 "알파 트림 평균" 필터를 PNM 이미지에 적용:
`pnmnlfilt {{0.0..0.5}} {{반경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지정된 노이즈 임계값과 반경으로 "최적 추정 스무딩" 필터를 PNM 이미지에 적용:
`pnmnlfilt {{1.0..2.0}} {{반경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지정된 알파와 반경으로 "엣지 향상" 필터를 PNM 이미지에 적용:
`pnmnlfilt {{-0.9..(-0.1)}} {{반경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21 @@
# pnmnorm
> PNM 이미지의 대비를 정규화합니다.
> 같이 보기: `pnmhisteq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norm.html>.
- 가장 밝은 픽셀을 흰색으로, 가장 어두운 픽셀을 검은색으로 설정하고 그 사이의 픽셀을 선형적으로 분포시키기:
`pnmnorm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가장 밝은 픽셀을 흰색으로, 가장 어두운 픽셀을 검은색으로 설정하고 그 사이의 픽셀을 n의 밝기로 50% 밝게 되도록 이차적으로 분포시키기:
`pnmnorm -midvalue {{n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픽셀의 색조는 유지하고 밝기만 수정하기:
`pnmnorm -keephues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픽셀의 밝기를 계산하는 방법 지정하기:
`pnmnorm -{{luminosity|colorvalue|saturation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21
pages.ko/common/pnmpad.md Normal file
View file

@ -0,0 +1,21 @@
# pnmpad
> PNM 이미지에 테두리를 추가.
> 같이 보기: `pnmmargin`, `pamcut`, `pamcomp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pad.html>.
- 이미지에 지정된 크기의 테두리 추가:
`pnmpad -left {{100}} -right {{150}} -top {{123}} -bottom {{456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이미지를 지정된 크기로 패딩:
`pnmpad -width {{1000}} -height {{500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이미지의 너비를 지정된 크기로 패딩하고, 좌우 패딩 비율 조정:
`pnmpad -width {{1000}} -halign {{0.7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지정된 색상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너비를 패딩:
`pnmpad -width {{1000}} -color {{red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pnmpaste
> PNM 이미지를 다른 PNM 이미지에 붙여 넣기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paste.html>.
- 지정된 좌표에 PNM 이미지를 다른 PNM 이미지에 붙여 넣기:
`pnmpaste {{x}} {{y}} {{경로/대상/이미지1.pnm}} {{경로/대상/이미지2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`stdin`에서 읽은 이미지를 지정된 이미지에 붙여 넣기:
`{{명령어}} | pnmpaste {{x}} {{y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겹치는 픽셀을 지정된 불리언 연산으로 결합하기, 이때 흰색 픽셀은 `true`, 검은색 픽셀은 `false`로 표현:
`pnmpaste -{{and|nand|or|nor|xor|xnor}} {{x}} {{y}} {{경로/대상/이미지1.pnm}} {{경로/대상/이미지2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28 @@
# pnmpsnr
> 두 이미지 간의 차이를 계산합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psnr.html>.
- 두 이미지 간의 차이, 즉 피크 신호 대 잡음비(PSNR) 계산:
`pnmpsnr {{경로/대상/파일1.pnm}} {{경로/대상/파일2.pnm}}`
- 이미지의 휘도 및 색도 성분 대신 색상 성분을 비교:
`pnmpsnr {{경로/대상/파일1.pnm}} {{경로/대상/파일2.pnm}} -rgb`
- 비교 모드로 실행하여, 계산된 PSNR이 `n`을 초과하는지에 따라 `nomatch` 또는 `match`만 출력:
`pnmpsnr {{경로/대상/파일1.pnm}} {{경로/대상/파일2.pnm}} -target {{n}}`
- 비교 모드로 실행하고 개별 이미지 성분, 즉 Y, Cb 및 Cr을 해당 임계값과 비교:
`pnmpsnr {{경로/대상/파일1.pnm}} {{경로/대상/파일2.pnm}} -target1 {{임계값_Y}} -target2 {{임계값_Cb}} -target3 {{임계값_Cr}}`
- 비교 모드로 실행하고 개별 이미지 성분, 즉 빨강, 초록, 파랑을 해당 임계값과 비교:
`pnmpsnr {{경로/대상/파일1.pnm}} {{경로/대상/파일2.pnm}} -rgb -target1 {{임계값_빨강}} -target2 {{임계값_초록}} -target3 {{임계값_파랑}}`
-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출력 생성:
`pnmpsnr {{경로/대상/파일1.pnm}} {{경로/대상/파일2.pnm}} -machine`

View file

@ -0,0 +1,10 @@
# pnmquant
> PNM 이미지의 색상을 더 작은 세트로 양자화.
> 이 명령은 `pnmcolormap``pnmremap`의 조합이며 `-mapfile`을 제외한 두 명령의 옵션을 모두 허용합니다.
> 같이 보기: `pnmquantall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quant.html>.
- 입력 이미지에 최대한 가깝게 `n_colors` 개 이하의 색상만 사용하여 이미지를 생성:
`pnmquant {{n_colors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13 @@
# pnmquantall
> 여러 파일에 대해 공통 색상표를 사용하여 `pnmquant`를 실행.
> 같이 보기: `pnmquant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quantall.html>.
- 지정된 매개 변수로 여러 파일에 `pnmquant`를 실행하여 원본 파일에 덮어쓰기:
`pnmquantall {{색상_수}} {{경로/대상/input1.pnm 경로/대상/input2.pnm ...}}`
- 양자화된 이미지를 입력 파일과 동일한 이름으로 저장하되, 지정된 확장을 추가하여 저장:
`pnmquantall -ext {{확장자}} {{색상_수}} {{경로/대상/input1.pnm 경로/대상/input2.pnm ...}}`

View file

@ -0,0 +1,20 @@
# pnmremap
> PNM 이미지의 색상을 교체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remap.html>.
- 이미지의 색상을 지정된 색상 팔레트로 교체:
`pnmremap -mapfile {{경로/대상/팔레트_파일.ppm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팔레트에 없는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Floyd-Steinberg 디더링 사용:
`pnmremap -mapfile {{경로/대상/팔레트_파일.ppm}} -floyd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팔레트의 첫 번째 색상을 사용하여 팔레트에 없는 색상을 표현:
`pnmremap -mapfile {{경로/대상/팔레트_파일.ppm}} -firstisdefault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지정된 색상을 사용하여 팔레트에 없는 색상을 표현:
`pnmremap -mapfile {{경로/대상/팔레트_파일.ppm}} -missingcolor {{색상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pnmrotate
> PNM 이미지를 회전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rotate.html>.
- PNM 이미지를 특정 각도(도 단위, 반시계 방향)로 회전:
`pnmrotate {{각도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입력 이미지를 회전할 때 노출되는 배경색 지정:
`pnmrotate -background {{색상}} {{각도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성능을 향상시키지만 품질이 감소하는 안티앨리어싱 비활성화:
`pnmrotate -noantialias {{각도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scale
> 이 명령은 `pamscale`로 대체되었습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scale.html>.
- `pamscale`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scale`

View file

@ -0,0 +1,17 @@
# pnmscalefixed
> PNM 파일을 빠르게 확장하되 품질이 다소 저하될 수 있습니다.
> 같이 보기: `pamscale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scalefixed.html>.
- 결과가 지정된 크기를 갖도록 이미지를 확장:
`pnmscalefixed -width {{너비}} -height {{높이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결과가 지정된 너비를 갖도록 이미지를 확장하며, 가로세로 비율 유지:
`pnmscalefixed -width {{너비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이미지의 너비와 높이를 지정된 비율로 변경하여 확장:
`pnmscalefixed -xscale {{x_비율}} -yscale {{y_비율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pnmshear
> PNM 이미지를 전단(기울이기)합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shear.html>.
- 지정된 각도로 PNM 이미지 전단:
`pnmshear {{각도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전단된 이미지의 배경색 지정:
`pnmshear -background {{파랑}} {{각도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안티앨리어싱 없이 수행:
`pnmshear -noantialias {{각도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12 @@
# pnmsmooth
> PNM 이미지를 부드럽게 처리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smooth.html>.
- 3x3 크기의 컨볼루션 행렬을 사용하여 PNM 이미지 부드럽게 처리:
`pnmsmooth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- 가로 너비 x 세로 높이 크기의 컨볼루션 행렬을 사용하여 PNM 이미지 부드럽게 처리:
`pnmsmooth -width {{너비}} -height {{높이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split
> 이 명령은 `pamsplit`으로 대체되었습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split.html>.
- 현재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split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tile
> 이미지를 복제하여 지정된 영역을 채웁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ile.html>.
- 지정된 크기의 영역을 채우도록 이미지를 복제:
`pnmtile {{너비}} {{높이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pnm}}`

View file

@ -0,0 +1,12 @@
# pnmtoddif
> PNM 이미지를 DDIF 이미지 파일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ddif.html>.
- PNM 이미지를 DDIF 이미지 파일로 변환:
`pnmtoddif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이미지.ddif}}`
- 출력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를 명시적으로 지정:
`pnmtoddif -resolution {{수평_dpi}} {{수직_dpi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m}} > {{경로/대상/이미지.ddif}}`

View file

@ -0,0 +1,20 @@
# pnmtofiasco
> PNM 이미지를 압축된 FIASCO 파일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fiasco.html>.
- PNM 이미지를 압축된 FIASCO 파일로 변환:
`pnmtofiasco {{경로/대상/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파일.fiasco}}`
- 패턴을 통해 [i]nput 파일 지정:
`pnmtofiasco --image-name "{{img[01-09+1].pnm}}" > {{경로/대상/파일.fiasco}}`
- 압축 품질 지정:
`pnmtofiasco --quality {{품질_수준}} {{경로/대상/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파일.fiasco}}`
- 지정된 구성 파일에서 사용할 옵션 로드:
`pnmtofiasco --config {{경로/대상/fiascorc}} {{경로/대상/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파일.fiasco}}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tofits
> 이 명령은 `pamtofits`로 대체되었습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fits.html>.
- 현재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tofits`

View file

@ -0,0 +1,12 @@
# pnmtojpeg
> PNM 이미지 파일을 JPEG/JFIF/EXIF 이미지 형식으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jpeg.html>.
- PNM 이미지를 입력으로 읽고 JPEG/JFIF/EXIF 이미지로 출력:
`pnmtojpeg {{경로/대상/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파일.jpg}}`
- 버전 표시:
`pnmtojpeg -version`

View file

@ -0,0 +1,24 @@
# pnmtopalm
> PNM 이미지를 Palm 비트맵으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palm.html>.
- PNM 이미지를 Palm 비트맵으로 변환:
`pnmtopalm {{경로/대상/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alm}}`
- 결과 비트맵의 색상 깊이 지정:
`pnmtopalm -depth {{1|2|4|8|16}} {{경로/대상/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alm}}`
- 결과 비트맵에 대한 압축 방법 선택:
`pnmtopalm -{{scanline_compression|rle_compression|packbits_compression}} {{경로/대상/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alm}}`
- 사용자 지정 색상 맵을 생성하고 결과 비트맵에 포함:
`pnmtopalm -colormap {{경로/대상/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alm}}`
- 비트맵의 밀도 지정:
`pnmtopalm -density {{72|108|144|216|288}} {{경로/대상/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alm}}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pnmtopclxl
> PNM 파일을 HP LaserJet PCL XL 프린터 스트림으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pclxl.html>.
- PNM 파일을 HP LaserJet PCL XL 프린터 스트림으로 변환:
`pnmtopclxl {{경로/대상/입력1.pnm 경로/대상/입력2.pnm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pclxl}}`
- 이미지의 해상도와 각 이미지의 왼쪽 위 모서리에서 페이지의 위치를 지정:
`pnmtopclxl -dpi {{해상도}} -xoffs {{x_오프셋}} -yoffs {{y_오프셋}} {{경로/대상/입력1.pnm 경로/대상/입력2.pnm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pclxl}}`
- 지정된 용지 형식에 대해 양면 프린터 스트림 생성:
`pnmtopclxl -duplex {{세로|가로}} -format {{letter|legal|a3|a4|a5|...}} {{경로/대상/입력1.pnm 경로/대상/입력2.pnm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pclxl}}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toplainpnm
> 이 명령은 `pamtopnm -plain`의 별칭입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plainpnm.html>.
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topnm`

View file

@ -0,0 +1,12 @@
# pnmtopng
> PNM 이미지 파일을 PNG 이미지 형식으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png.html>.
- PNM 이미지를 입력으로 받아 PNG 이미지로 출력:
`pnmtopng {{경로/대상/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
- 버전 표시:
`pnmtopng -version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topnm
> 이 명령은 `pamtopnm`의 별칭입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pnm.html>.
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topnm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pnmtops
> PNM 이미지를 PostScript 파일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ps.html>.
- PNM 이미지를 PS 파일로 변환:
`pnmtops {{경로/대상/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s}}`
- 출력 이미지의 크기를 인치 단위로 지정:
`pnmtops -imagewidth {{이미지_너비}} -imageheight {{이미지_높이}} {{경로/대상/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s}}`
- 출력 이미지가 위치할 페이지의 크기를 인치 단위로 지정:
`pnmtops -width {{페이지_너비}} -height {{페이지_높이}} {{경로/대상/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s}}`

View file

@ -0,0 +1,12 @@
# pnmtorast
> PNM 파일을 Sun 래스터 파일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rast.html>.
- PNM 이미지를 RAST 이미지로 변환:
`pnmtorast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rast}}`
- 출력 형식을 `RT_STANDARD` 또는 `RT_BYTE_ENCODED` 형식으로 강제 지정:
`pnmtorast -{{standard|rle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rast}}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pnmtorle
> PNM 파일을 Utah Raster Tools RLE 이미지 파일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rle.html>.
- PNM 이미지를 RLE 이미지로 변환:
`pnmtorle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rle}}`
- PNM 헤더 정보를 `stdout`에 출력:
`pnmtorle -verbose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rle}}`
- 출력 이미지에 투명 채널 포함, 모든 검은색 픽셀은 완전히 투명하게, 다른 모든 픽셀은 완전히 불투명하게 설정:
`pnmtorle -alpha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rle}}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pnmtosgi
> PNM 파일을 SGI 이미지 파일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sgi.html>.
- PNM 이미지를 SGI 이미지로 변환:
`pnmtosgi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sgi}}`
- 압축을 비활성화하거나 활성화:
`pnmtosgi -{{verbatim|rle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sgi}}`
- SGI 이미지 헤더의 `imagename` 필드에 지정된 문자열을 기록:
`pnmtosgi -imagename {{문자열}}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sgi}}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tosir
> PNM 파일을 Solitaire Image Recorder 파일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sir.html>.
- PNM 이미지를 SIR 이미지로 변환:
`pnmtosir {{경로/대상/입력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.sir}}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pnmtotiff
> 이 명령은 `pamtotiff`로 대체되었습니다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tiff.html>.
- 현재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`tldr pamtotiff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pnmtotiffcmyk
> PNM 이미지를 CMYK로 인코딩된 TIFF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tiffcmyk.html>.
- PNM 이미지를 CMYK로 인코딩된 TIFF로 변환:
`pnmtotiffcmyk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tiff}}`
- TIFF 압축 방식 지정:
`pnmtotiffcmyk -{{none|packbits|lzw}}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tiff}}`
- 채우기 순서 제어:
`pnmtotiffcmyk -{{msb2lsb|lsb2msb}}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tiff}}`

View file

@ -0,0 +1,16 @@
# pnmtoxwd
> PNM 파일을 X11 윈도우 덤프 파일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mtoxwd.html>.
- PNM 이미지 파일을 XWD로 변환:
`pnmtoxwd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xwd}}`
- DirectColor 형식으로 출력 생성:
`pnmtoxwd -directcolor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xwd}}`
- 출력의 색상 깊이를 b 비트로 설정:
`pnmtoxwd -pseudodepth {{b}}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pnm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xwd}}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