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mt.md b/pages.ko/common/fm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d51ecedf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mt.md @@ -0,0 +1,20 @@ +# fmt + +> 단락을 결합하고 줄 너비를 문자 수 (기본적으로 75자)로 제한하여 텍스트 파일의 서식을 다시 지정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 재포맷: + +`fmt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(최대) `n` 문자의 출력 줄을 생성하는 파일 형식을 다시 지정: + +`fmt -w {{n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주어진 너비보다 짧은 줄을 결합하지 않고, 파일 형식을 다시 지정: + +`fmt -s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균일한 간격 (단어 사이에 1칸, 단락 사이에 2칸)으로 파일 형식을 다시 지정: + +`fmt -u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nm.md b/pages.ko/common/fn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455cf95e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nm.md @@ -0,0 +1,25 @@ +# fnm + +> 빠른 Node.js 버전 관리자. +> Node.js 버전을 설치, 제거하거나 전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버전의 Node.js를 설치: + +`fnm install {{노드_버전}}` + +- 사용 가능한 모든 Node.js 버전을 나열하고 기본 버전을 강조 표시: + +`fnm list` + +- 현재 쉘에서 특정 버전의 Node.js를 사용: + +`fnm use {{노드_버전}}` + +- 기본 Node.js 버전을 설정: + +`fnm default {{노드_버전}}` + +- 지정된 Node.js 버전을 제거: + +`fnm uninstall {{노드_버전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old.md b/pages.ko/common/fol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367218fb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old.md @@ -0,0 +1,16 @@ +# fold + +> 지정된 너비에 맞게 입력 파일의 각 줄을 감싸고 `stdout`으로 출력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각 줄을 기본 너비로 변경 (80 자): + +`fold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각 줄을 너비 "30"으로 줄 바꿈: + +`fold -w30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각 줄을 너비 "5"로 묶고 공백에서 줄을 (공백으로 구분된 각 단어를, 새 줄에 넣고, 5보다 큰 단어는 줄바꿈됨): + +`fold -w5 -s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or.md b/pages.ko/common/fo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84edb9d1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or.md @@ -0,0 +1,24 @@ +# for + +> 명령을 여러 번 수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각 항목에 대해 지정된 명령을 실행: + +`for {{변수}} in {{item1 item2 ...}}; do {{echo "Loop is executed"}}; done` + +- 주어진 숫자 범위에 대해 반복: + +`for {{변수}} in {{{from}}..{{to}}..{{step}}}; do {{echo "Loop is executed"}}; done` + +- 주어진 파일 목록을 반복: + +`for {{변수}} in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; do {{echo "Loop is executed"}}; done` + +- 주어진 디렉터리 목록을 반복: + +`for {{변수}} in {{경로/대상/디렉터리1/ 경로/대상/디렉터리2/ ...}}; do {{echo "Loop is executed"}}; done` + +- 모든 디렉터리에서 주어진 명령을 수행: + +`for {{변수}} in */; do (cd "${{변수}}" || continue; {{echo "Loop is executed"}}) done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orever.md b/pages.ko/common/forev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64428942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orever.md @@ -0,0 +1,16 @@ +# forever + +> Node.js 애플리케이션이 무기한 실행되도록 하는 서버측 JavaScript 애플리케이션 (종료 후 다시 시작됨)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을 무기한으로 실행하기 시작 (데몬으로): + +`forever {{스크립트}}` + +- 실행중인 "영원한" 프로세스 목록 ("영원한" 프로세스의 ID 및 기타 세부정보와 함께): + +`forever list` + +- 실행 중인 "영구" 프로세스를 중지: + +`forever stop {{ID|pid|script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ortune.md b/pages.ko/common/fortun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d162dbb5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ortune.md @@ -0,0 +1,28 @@ +# fortune + +> 무작위 인용구 출력 (fortune-cookie style)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인용구 출력: + +`fortune` + +- 공격적인 인용구 출력: + +`fortune -o` + +- 길이가 긴 인용구 출력: + +`fortune -l` + +- 길이가 짧은 인용구 출력: + +`fortune -s` + +- 사용 가능한 인용구 데이터베이스 파일 목록 나열: + +`fortune -f` + +- `fortune -f`에 나열된 데이터베이스 파일 중 하나에서 인용문을 출력: + +`fortune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ossa.md b/pages.ko/common/fossa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59009d56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ossa.md @@ -0,0 +1,24 @@ +# fossa + +> Fossa 서비스용 CLI - 종속성 라이센스에 대한 실시간 라이센스 감사, 취약성 검색 및 보고서를 생성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.fossa.yml` 구성 파일을 초기화: + +`fossa init` + +- 기본 프로젝트 빌드를 실행: + +`fossa build` + +- 빌드된 종속성을 분석: + +`fossa analyze` + +- 보고서 생성: + +`fossa report` + +- FOSSA 스캔 상태에 대해 현재 개정판을 테스트하고 문제가 발견되면 오류와 함께 종료: + +`fossa test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ossil-add.md b/pages.ko/common/fossil-ad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ecf23e59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ossil-add.md @@ -0,0 +1,12 @@ +# fossil add + +>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Fossil 버전 관리하에 두는 것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버전 관리하에 두어, 현재 체크아웃 상태가 되도록 함: + +`fossil add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디렉터리}}` + +- 현재 체크아웃에서 추가된 모든 파일을 제거: + +`fossil add --reset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ossil-commit.md b/pages.ko/common/fossil-commi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9740878a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ossil-commit.md @@ -0,0 +1,20 @@ +# fossil commit + +> 파일을 Fossil 저장소에 커밋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체크아웃의 모든 변경 사항을 포함하는 새로운 버전을 만듬; 사용자에게 설명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표시됨: + +`fossil commit` + +- 지정된 설명을 사용하여, 현재 체크아웃의 모든 변경 사항을 포함하는 새 버전을 만듬: + +`fossil commit --comment "{{코멘트}}"` + +- 특정 파일에서 읽은 설명과 함께 현재 체크아웃의 모든 변경 사항을 포함하는 새 버전을 생성: + +`fossil commit --message-file {{경로/대상/커밋_메시지}}` + +- Create a new version containing changes from the specified files; user will be prompted for a comment: + +`fossil commit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ossil-init.md b/pages.ko/common/fossil-ini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a72e4bab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ossil-init.md @@ -0,0 +1,9 @@ +# fossil init + +>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저장소를 초기화함. +> 참고: `fossil clone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이름있는 파일에 새로운 저장소를 생성: + +`fossil init {{경로/대상/파일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ossil-rm.md b/pages.ko/common/fossil-r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eb527bb7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ossil-rm.md @@ -0,0 +1,17 @@ +# fossil rm + +> Fossil 버전 관리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제거. +> 참고: `fossil forget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Fossil 버전 관리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제거: + +`fossil rm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디렉토리}}` + +- Fossil 버전 관리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제거하고, 디스크에서도 삭제: + +`fossil rm --hard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디렉토리}}` + +- 이전에 제거하고 커밋하지 않은 모든 파일을 Fossil 버전 관리에 다시 추가: + +`fossil rm --reset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ossil.md b/pages.ko/common/fossi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30622f1a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ossil.md @@ -0,0 +1,21 @@ +# fossil + +> 분산 버전 제어 시스템. +> `commit`과 같은 하위명령어는 자체적 설명서가 있음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Fossil 하위명령어 실행: + +`fossil {{하위명령어}}` + +- Display help: + +`fossil help` + +- 특정 하위명령어에 대한 도움말 표시 (`add`, `commit` 등과 같이): + +`fossil help {{하위명령어}}` + +- 버전 정보 표시: + +`fossil version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