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irror of
https://github.com/tldr-pages/tldr.git
synced 2025-03-28 21:16:20 +01:00
linux/f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703)
* linux/f*: add Korean translation * finch: fix Korean tranlsation * Update pages.ko/linux/fprintd-verify.md 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 --------- 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parent
50ba22c4b1
commit
6acaad1270
39 changed files with 895 additions and 0 deletions
24
pages.ko/linux/f5fpc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f5fpc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f5fpc
|
||||
|
||||
> BIG-IP Edge의 독점 상업용 SSL VPN 클라이언트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techdocs.f5.com/kb/en-us/products/big-ip_apm/manuals/product/apm-client-configuration-11-4-0/4.html>.
|
||||
|
||||
- 새 VPN 연결 열기:
|
||||
|
||||
`sudo f5fpc --start`
|
||||
|
||||
- 특정 호스트에 새 VPN 연결 열기:
|
||||
|
||||
`sudo f5fpc --start --host {{host.example.com}}`
|
||||
|
||||
- 사용자명 지정 (암호는 사용자에게 요청됨):
|
||||
|
||||
`sudo f5fpc --start --host {{host.example.com}} --username {{사용자}}`
|
||||
|
||||
- 현재 VPN 상태 표시:
|
||||
|
||||
`sudo f5fpc --info`
|
||||
|
||||
- VPN 연결 종료:
|
||||
|
||||
`sudo f5fpc --stop`
|
12
pages.ko/linux/factorio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factorio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factorio
|
||||
|
||||
> 헤드리스 Factorio 서버를 생성하고 시작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iki.factorio.com/Multiplayer>.
|
||||
|
||||
- 새 저장 파일 생성:
|
||||
|
||||
`{{경로/대상/factorio}} --create {{경로/대상/저장_파일.zip}}`
|
||||
|
||||
- Factorio 서버 시작:
|
||||
|
||||
`{{경로/대상/factorio}} --start-server {{경로/대상/저장_파일.zip}}`
|
16
pages.ko/linux/fail2ban-client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fail2ban-client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fail2ban-client
|
||||
|
||||
> fail2ban 서버를 구성하고 제어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fail2ban/fail2ban>.
|
||||
|
||||
- 감옥 서비스의 현재 상태 검색:
|
||||
|
||||
`fail2ban-client status {{감옥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IP를 감옥 서비스의 차단 목록에서 제거:
|
||||
|
||||
`fail2ban-client set {{감옥}} unbanip {{IP}}`
|
||||
|
||||
- fail2ban 서버가 실행 중인지 확인:
|
||||
|
||||
`fail2ban-client ping`
|
24
pages.ko/linux/faillock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faillock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faillock
|
||||
|
||||
> 인증 실패 기록 파일을 표시하고 수정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aillock>.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의 로그인 실패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faillock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의 실패 기록 초기화:
|
||||
|
||||
`faillock --reset`
|
||||
|
||||
- 모든 사용자의 로그인 실패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sudo faillock`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의 로그인 실패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sudo faillock --user {{사용자}}`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의 실패 기록 초기화:
|
||||
|
||||
`sudo faillock --user {{사용자}} --reset`
|
28
pages.ko/linux/fakeroot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fakeroo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fakeroot
|
||||
|
||||
> 파일 조작을 위해 루트 권한을 가장하는 환경에서 명령을 실행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akeroot.1>.
|
||||
|
||||
- fakeroot로 기본 셸 시작:
|
||||
|
||||
`fakeroot`
|
||||
|
||||
- fakeroot로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fakeroot -- {{명령어}} {{명령_인자들}}`
|
||||
|
||||
- fakeroot로 명령을 실행하고 종료 시 환경을 파일에 저장:
|
||||
|
||||
`fakeroot -s {{경로/대상/파일}} -- {{명령어}} {{명령_인자들}}`
|
||||
|
||||
- fakeroot 환경을 불러와 명령을 실행:
|
||||
|
||||
`fakeroot -i {{경로/대상/파일}} -- {{명령어}} {{명령_인자들}}`
|
||||
|
||||
- 파일의 실제 소유권을 유지하면서 명령 실행 (루트 소유로 가장하지 않음):
|
||||
|
||||
`fakeroot --unknown-is-real -- {{명령어}} {{명령_인자들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fakeroot --help`
|
16
pages.ko/linux/faketime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faketim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faketime
|
||||
|
||||
> 명령어에 대해 시스템 시간을 속입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aketime>.
|
||||
|
||||
- `date` 명령의 결과를 출력하기 전에 시간을 오늘 저녁으로 설정:
|
||||
|
||||
`faketime '{{today 23:30}}' {{date}}`
|
||||
|
||||
- 어제를 현재 날짜로 사용하는 새로운 Bash 셸 열기:
|
||||
|
||||
`faketime '{{yesterday}}' {{bash}}`
|
||||
|
||||
- 다음 주 금요일 밤에 프로그램이 어떻게 작동할지 시뮬레이션:
|
||||
|
||||
`faketime '{{next Friday 1 am}}' {{경로/대상/프로그램}}`
|
17
pages.ko/linux/fallocate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fallocat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fallocate
|
||||
|
||||
> 파일에 디스크 공간을 예약하거나 할당 해제.
|
||||
> 이 도구는 공간을 할당할 때 0으로 초기화하지 않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allocate>.
|
||||
|
||||
- 700 MiB의 디스크 공간을 차지하는 파일 예약:
|
||||
|
||||
`fallocate --length {{700M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이미 할당된 파일을 200 MiB 줄이기:
|
||||
|
||||
`fallocate --collapse-range --length {{200M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파일에서 100 MiB 이후의 20 MB 공간 줄이기:
|
||||
|
||||
`fallocate --collapse-range --offset {{100M}} --length {{20M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24
pages.ko/linux/farge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farg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farge
|
||||
|
||||
> 화면의 특정 픽셀 색상을 16진수 또는 RGB 형식으로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sdushantha/farge>.
|
||||
|
||||
- 픽셀의 색상을 작은 미리보기 창에 16진수 값으로 표시하고, 이 값을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
|
||||
`farge`
|
||||
|
||||
- 미리보기 창 없이 픽셀의 16진수 값을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
|
||||
`farge --no-preview`
|
||||
|
||||
- 픽셀의 16진수 값을 `stdout`에 출력하고, 이 값을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
|
||||
`farge --stdout`
|
||||
|
||||
- 픽셀의 RGB 값을 `stdout`에 출력하고, 이 값을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
|
||||
`farge --rgb --stdout`
|
||||
|
||||
- 픽셀의 16진수 값을 5000밀리초 동안 알림으로 표시하고, 이 값을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
|
||||
`farge --notify --expire-time 5000`
|
12
pages.ko/linux/fatlabel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fatlabel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fatlabel
|
||||
|
||||
> FAT32 파티션의 레이블을 가져오거나 설정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atlabel>.
|
||||
|
||||
- FAT32 파티션의 레이블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fatlabel {{/dev/sda1}}`
|
||||
|
||||
- FAT32 파티션의 레이블 설정:
|
||||
|
||||
`fatlabel {{/dev/sdc3}} "{{새_레이블}}"`
|
12
pages.ko/linux/fatrace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fatrac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fatrace
|
||||
|
||||
> 파일 접근 이벤트 보고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atrace>.
|
||||
|
||||
- 모든 마운트된 파일시스템의 파일 접근 이벤트를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sudo fatrace`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토리의 마운트에서 파일 접근 이벤트를 타임스탬프와 함께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sudo fatrace {{-c|--current-mount}} {{-t|--timestamp}}`
|
28
pages.ko/linux/fcrackzip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fcrackzip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fcrackzip
|
||||
|
||||
> ZIP 압축 파일 비밀번호 크랙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crackzip>.
|
||||
|
||||
- 4에서 8자리의 길이를 가지며, 영숫자만 포함된 비밀번호를 무차별 대입으로 찾기 (순서 중요):
|
||||
|
||||
`fcrackzip --brute-force --length 4-8 --charset aA1 {{압축_파일}}`
|
||||
|
||||
- 자세히 보기 모드에서 3자리의 길이를 가지며, 소문자, `$` 및 `%`만 포함된 비밀번호를 무차별 대입으로 찾기:
|
||||
|
||||
`fcrackzip -v --brute-force --length 3 --charset a:$% {{압축_파일}}`
|
||||
|
||||
- 소문자와 특수 문자만 포함된 비밀번호를 무차별 대입으로 찾기:
|
||||
|
||||
`fcrackzip --brute-force --length 4 --charset a! {{압축_파일}}`
|
||||
|
||||
- 숫자만 포함된 비밀번호를 `12345`부터 시작하여 무차별 대입으로 찾기:
|
||||
|
||||
`fcrackzip --brute-force --length 5 --charset 1 --init-password 12345 {{압축_파일}}`
|
||||
|
||||
- 사전 목록을 사용하여 비밀번호 크랙:
|
||||
|
||||
`fcrackzip --use-unzip --dictionary --init-password {{단어목록}} {{압축_파일}}`
|
||||
|
||||
- 크랙 성능 벤치마크:
|
||||
|
||||
`fcrackzip --benchmark`
|
37
pages.ko/linux/fdisk.md
Normal file
37
pages.ko/linux/fdisk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
# fdisk
|
||||
|
||||
>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과 파티션을 관리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partprob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disk>.
|
||||
|
||||
- 파티션 나열:
|
||||
|
||||
`sudo fdisk -l`
|
||||
|
||||
- 파티션 조작기 시작:
|
||||
|
||||
`sudo fdisk {{/dev/sdX}}`
|
||||
|
||||
- 디스크 파티션 중, 파티션 생성:
|
||||
|
||||
`n`
|
||||
|
||||
- 디스크 파티션 중, 삭제할 파티션 선택:
|
||||
|
||||
`d`
|
||||
|
||||
- 디스크 파티션 중, 파티션 테이블 보기:
|
||||
|
||||
`p`
|
||||
|
||||
- 디스크 파티션 중, 변경사항 저장:
|
||||
|
||||
`w`
|
||||
|
||||
- 디스크 파티션 중, 변경사항 취소:
|
||||
|
||||
`q`
|
||||
|
||||
- 디스크 파티션 중, 도움말 메뉴 열기:
|
||||
|
||||
`m`
|
25
pages.ko/linux/feedreader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feedread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
# feedreader
|
||||
|
||||
> GUI 데스크톱 RSS 클라이언트.
|
||||
> 참고: FeedReader는 더 이상 유지 관리되지 않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jangernert/FeedReader>.
|
||||
|
||||
- 읽지 않은 기사 수 출력:
|
||||
|
||||
`feedreader --unreadCount`
|
||||
|
||||
- 팔로우할 피드의 URL 추가:
|
||||
|
||||
`feedreader --addFeed={{피드_url}}`
|
||||
|
||||
- 특정 기사 URL로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feedreader --grabArticle={{기사_url}}`
|
||||
|
||||
- 특정 기사에서 모든 이미지 다운로드:
|
||||
|
||||
`feedreader --url={{피드_url}} --grabImages={{기사_경로}}`
|
||||
|
||||
- URL에서 미디어 재생:
|
||||
|
||||
`feedreader --playMedia={{기사_url}}`
|
25
pages.ko/linux/file-rename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file-renam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
# rename
|
||||
|
||||
> 여러 파일 이름 변경.
|
||||
> 참고: 이 페이지는 `rename` Debian 패키지의 명령을 설명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ile-rename>.
|
||||
|
||||
- Perl 공통 정규 표현식을 사용하여 파일 이름 변경 ('foo'를 'bar'로 대체):
|
||||
|
||||
`rename {{'s/foo/bar/'}} {{*}}`
|
||||
|
||||
- 실행하지 않고 변경될 파일 이름 표시 (드라이런):
|
||||
|
||||
`rename -n {{'s/foo/bar/'}} {{*}}`
|
||||
|
||||
- 기존 대상 파일이 제거될 수 있어도 강제로 이름 변경:
|
||||
|
||||
`rename -f {{'s/foo/bar/'}} {{*}}`
|
||||
|
||||
- 파일명을 소문자로 변환 (`-f`를 대소문자 구분 없는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하여 "이미 존재" 오류 방지):
|
||||
|
||||
`rename 'y/A-Z/a-z/' {{*}}`
|
||||
|
||||
- 공백을 밑줄로 대체:
|
||||
|
||||
`rename 's/\s+/_/g' {{*}}`
|
28
pages.ko/linux/filefrag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filefrag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filefrag
|
||||
|
||||
> 특정 파일의 단편화 정도를 보고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ilefrag>.
|
||||
|
||||
- 하나 이상의 [f]파일에 대한 보고서 표시:
|
||||
|
||||
`filefrag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||||
|
||||
- 1024 바이트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보고서 표시:
|
||||
|
||||
`filefrag -k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특정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보고서 표시:
|
||||
|
||||
`filefrag -b{{1024|1K|1M|1G|...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매핑 요청 전 [f]파일 동기화:
|
||||
|
||||
`filefrag -s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||||
|
||||
- 확장 속성의 매핑 표시:
|
||||
|
||||
`filefrag -x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||||
|
||||
- 자세한 정보를 포함한 보고서 표시:
|
||||
|
||||
`filefrag -v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32
pages.ko/linux/finch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finch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finch
|
||||
|
||||
> 콘솔 기반 모듈식 메시징 클라이언트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developer.pidgin.im/wiki/Using%20Finch>.
|
||||
|
||||
- finch 실행:
|
||||
|
||||
`finch`
|
||||
|
||||
- 종료:
|
||||
|
||||
`<Alt> + q OR <Ctrl> + c`
|
||||
|
||||
- 작업 메뉴 표시:
|
||||
|
||||
`<Alt> + a`
|
||||
|
||||
- n번째 창으로 이동:
|
||||
|
||||
`<Alt> + {{숫자_키}}`
|
||||
|
||||
- 현재 창 닫기:
|
||||
|
||||
`<Alt> + c`
|
||||
|
||||
- 창 이동 시작, 화살표 키로 이동, 완료 시 escape 누르기:
|
||||
|
||||
`<Alt> + m`
|
||||
|
||||
- 창 크기 조정 시작, 화살표 키로 크기 조정, 완료 시 escape 누르기:
|
||||
|
||||
`<Alt> + r`
|
20
pages.ko/linux/findfs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findf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findfs
|
||||
|
||||
> 파일시스템을 레이블 또는 UUID로 찾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irrors.edge.kernel.org/pub/linux/utils/util-linux>.
|
||||
|
||||
- 파일시스템 레이블로 블록 장치 검색:
|
||||
|
||||
`findfs LABEL={{레이블}}`
|
||||
|
||||
- 파일시스템 UUID로 검색:
|
||||
|
||||
`findfs UUID={{uuid}}`
|
||||
|
||||
- 파티션 레이블로 검색 (GPT 또는 MAC 파티션 테이블):
|
||||
|
||||
`findfs PARTLABEL={{파티션_레이블}}`
|
||||
|
||||
- 파티션 UUID로 검색 (GPT 파티션 테이블 전용):
|
||||
|
||||
`findfs PARTUUID={{파티션_uuid}}`
|
28
pages.ko/linux/findmnt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findmn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findmnt
|
||||
|
||||
> 파일 시스템을 찾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indmnt>.
|
||||
|
||||
- 모든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 나열:
|
||||
|
||||
`findmnt`
|
||||
|
||||
- 디바이스 검색:
|
||||
|
||||
`findmnt {{/dev/sdb1}}`
|
||||
|
||||
- 마운트 지점 검색:
|
||||
|
||||
`findmnt {{/}}`
|
||||
|
||||
- 특정 유형의 파일 시스템 찾기:
|
||||
|
||||
`findmnt -t {{ext4}}`
|
||||
|
||||
- 특정 레이블이 있는 파일 시스템 찾기:
|
||||
|
||||
`findmnt LABEL={{BigStorage}}`
|
||||
|
||||
- 마운트 테이블 내용을 자세히 확인하고 `/etc/fstab` 검증:
|
||||
|
||||
`findmnt --verify --verbose`
|
36
pages.ko/linux/firejail.md
Normal file
36
pages.ko/linux/firejail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firejail
|
||||
|
||||
> Linux의 내장 기능을 사용하여 프로세스를 안전하게 컨테이너로 샌드박스화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irejail>.
|
||||
|
||||
- 데스크톱 환경에 firejail 통합:
|
||||
|
||||
`sudo firecfg`
|
||||
|
||||
- 제한된 Mozilla Firefox 열기:
|
||||
|
||||
`firejail {{firefox}}`
|
||||
|
||||
- 알려진 인터페이스와 주소에서 제한된 Apache 서버 시작:
|
||||
|
||||
`firejail --net={{eth0}} --ip={{192.168.1.244}} {{/etc/init.d/apache2}} {{start}}`
|
||||
|
||||
- 실행 중인 샌드박스 나열:
|
||||
|
||||
`firejail --list`
|
||||
|
||||
- 실행 중인 샌드박스의 네트워크 활동 나열:
|
||||
|
||||
`firejail --netstats`
|
||||
|
||||
- 실행 중인 샌드박스 종료:
|
||||
|
||||
`firejail --shutdown={{7777}}`
|
||||
|
||||
- 인터넷 탐색을 위한 제한된 Firefox 세션 실행:
|
||||
|
||||
`firejail --seccomp --private --private-dev --private-tmp --protocol=inet firefox --new-instance --no-remote --safe-mode --private-window`
|
||||
|
||||
- 사용자 정의 호스트 파일 사용(`/etc/hosts` 파일 무시):
|
||||
|
||||
`firejail --hosts-file={{~/myhosts}} {{curl http://mysite.arpa}}`
|
37
pages.ko/linux/firewall-cmd.md
Normal file
37
pages.ko/linux/firewall-cmd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
# firewall-cmd
|
||||
|
||||
> firewalld 명령줄 클라이언트.
|
||||
> 런타임 또는 영구 방화벽 구성 상태를 조회 및 수정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firewalld.org/documentation/man-pages/firewall-cmd>.
|
||||
|
||||
- 런타임 구성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방화벽 영역과 규칙 조회:
|
||||
|
||||
`firewall-cmd --list-all-zones`
|
||||
|
||||
- 인터페이스를 block 영역으로 영구적으로 이동하여 모든 통신 차단:
|
||||
|
||||
`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{{block}} --change-interface={{enp1s0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영역에서 서비스의 포트를 영구적으로 열기 (예: `public` 영역에서 포트 443):
|
||||
|
||||
`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{{public}} --add-service={{https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영역에서 서비스의 포트를 영구적으로 닫기 (예: `public` 영역에서 포트 80):
|
||||
|
||||
`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{{public}} --remove-service={{http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영역에서 들어오는 패킷의 포트를 영구적으로 포워딩 (예: `public` 영역에서 포트 443을 8443으로):
|
||||
|
||||
`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{{public}} --add-rich-rule='rule family="{{ipv4|ipv6}}" forward-port port="{{443}}" protocol="{{udp|tcp}}" to-port="{{8443}}"'`
|
||||
|
||||
- firewalld를 다시 로드하여 런타임 변경 사항을 제거하고 영구 구성을 즉시 적용:
|
||||
|
||||
`firewall-cmd --reload`
|
||||
|
||||
- 런타임 구성 상태를 영구 구성으로 저장:
|
||||
|
||||
`firewall-cmd --runtime-to-permanent`
|
||||
|
||||
- 비상시 패닉 모드 활성화. 모든 트래픽이 차단되고 활성 연결이 종료됨:
|
||||
|
||||
`firewall-cmd --panic-on`
|
36
pages.ko/linux/fixfiles.md
Normal file
36
pages.ko/linux/fixfiles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fixfiles
|
||||
|
||||
> 파일의 SELinux 보안 컨텍스트를 수정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ixfiles>.
|
||||
|
||||
- onboot와 함께 지정되면, 이 fixfiles는 `/.autorelabel` 파일에 현재 날짜를 기록하여 나중에 레이블링 속도를 높이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. restore와 함께 사용하면 오늘 수정된 파일에만 영향을 줍니다:
|
||||
|
||||
`fixfiles -B`
|
||||
|
||||
- 사용자 지정 가능한 파일에 대해 `file_context`와 일치하도록 컨텍스트를 [F]orce 리셋:
|
||||
|
||||
`fixfiles -F`
|
||||
|
||||
- 확인 없이 `/tmp` 폴더를 삭제:
|
||||
|
||||
`fixfiles -f`
|
||||
|
||||
- [R]pm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특정 패키지 내 모든 파일을 찾아 파일 컨텍스트 복원:
|
||||
|
||||
`fixfiles -R {{rpm_패키지1,rpm_패키지2 ...}}`
|
||||
|
||||
- `PREVIOUS_FILECONTEXT` 파일과 현재 설치된 파일의 차이를 비교하고, 영향을 받은 모든 파일의 컨텍스트를 복원:
|
||||
|
||||
`fixfiles -C PREVIOUS_FILECONTEXT`
|
||||
|
||||
- find `--newermt` 명령어에 전달될 특정 날짜 이후에 생성된 파일에만 작동:
|
||||
|
||||
`fixfiles -N {{YYYY-MM-DD HH:MM}}`
|
||||
|
||||
- 다시 레이블링하기 전에 파일 시스템을 [M]ount 바인딩하여, 마운트된 파일 또는 폴더의 컨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도록 설정:
|
||||
|
||||
`fixfiles -M`
|
||||
|
||||
- 진행 상태에서 자세히로 [v]자세히 설정을 변경하고 `-p` 대신 `-v`로 `restorecon` 실행:
|
||||
|
||||
`fixfiles -v`
|
37
pages.ko/linux/flameshot.md
Normal file
37
pages.ko/linux/flameshot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
# flameshot
|
||||
|
||||
> GUI가 있는 스크린샷 도구.
|
||||
> 텍스트, 도형, 색상, imgur 같은 기본 이미지 편집을 지원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flameshot.org>.
|
||||
|
||||
- 전체 화면 스크린샷 생성:
|
||||
|
||||
`flameshot full`
|
||||
|
||||
- 상호작용 방식으로 스크린샷 생성:
|
||||
|
||||
`flameshot gui`
|
||||
|
||||
- 특정 경로에 스크린샷 저장:
|
||||
|
||||
`flameshot gui --path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간소화된 모드로 상호작용 방식의 스크린샷 생성:
|
||||
|
||||
`flameshot launcher`
|
||||
|
||||
- 특정 모니터에서 스크린샷 생성:
|
||||
|
||||
`flameshot screen --number {{2}}`
|
||||
|
||||
- 스크린샷을 생성하고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flameshot gui --raw`
|
||||
|
||||
- 스크린샷을 생성하고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
|
||||
`flameshot gui --clipboard`
|
||||
|
||||
- 특정 밀리초 지연 후 스크린샷 생성:
|
||||
|
||||
`flameshot full --delay {{5000}}`
|
24
pages.ko/linux/flash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flash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flash
|
||||
|
||||
> 터미널에서 플래시 카드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tallguyjenks/fla.sh>.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플래시 카드 덱 선택 메뉴 열기:
|
||||
|
||||
`flash`
|
||||
|
||||
- 플래시 카드 시스템에 대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flash -i`
|
||||
|
||||
- 기본 미리보기 도구를 `bat`에서 `cat`으로 변경:
|
||||
|
||||
`flash -p {{cat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flash -h`
|
||||
|
||||
- 버전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flash -v`
|
24
pages.ko/linux/flashrom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flashrom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flashrom
|
||||
|
||||
> 플래시 칩을 읽고, 쓰고, 검증하고, 지웁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lashrom>.
|
||||
|
||||
- 칩을 검사하여 배선이 올바른지 확인:
|
||||
|
||||
`flashrom --programmer {{프로그래머}}`
|
||||
|
||||
- 플래시를 읽고 파일로 저장:
|
||||
|
||||
`flashrom -p {{프로그래머}} --read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파일을 플래시에 쓰기:
|
||||
|
||||
`flashrom -p {{프로그래머}} --write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플래시를 파일과 대조하여 검증:
|
||||
|
||||
`flashrom -p {{프로그래머}} --verify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Raspberry Pi를 사용하여 칩 검사:
|
||||
|
||||
`flashrom -p {{linux_spi:dev=/dev/spidev0.0}}`
|
8
pages.ko/linux/fluidsynth.md
Normal file
8
pages.ko/linux/fluidsynth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
# fluidsynth
|
||||
|
||||
> MIDI 파일에서 오디오 합성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FluidSynth/fluidsynth/wiki/UserManual>.
|
||||
|
||||
- MIDI 파일 재생:
|
||||
|
||||
`fluidsynth --audio-driver={{pipewire|pulseaudio}} {{경로/대상/사운드폰트.sf2}} {{경로/대상/파일.midi}}`
|
16
pages.ko/linux/fold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fold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fold
|
||||
|
||||
> 고정 폭 출력 장치를 위한 긴 줄을 접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gnu.org/software/coreutils/fold>.
|
||||
|
||||
- 고정 폭으로 줄을 접기:
|
||||
|
||||
`fold --width {{폭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바이트 단위로 폭 계산 (기본값은 열 단위로 계산):
|
||||
|
||||
`fold --bytes --width {{바이트_단위_폭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폭 제한 내에서 가장 오른쪽 공백 뒤에서 줄을 나누기:
|
||||
|
||||
`fold --spaces --width {{폭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28
pages.ko/linux/foreman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foreman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foreman
|
||||
|
||||
> Procfile 기반 애플리케이션 관리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oreman>.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토리의 Procfile로 애플리케이션 시작:
|
||||
|
||||
`foreman start`
|
||||
|
||||
- 지정된 Procfile로 애플리케이션 시작:
|
||||
|
||||
`foreman start -f {{Procfile}}`
|
||||
|
||||
- 특정 애플리케이션 시작:
|
||||
|
||||
`foreman start {{프로세스}}`
|
||||
|
||||
- Procfile 형식 검증:
|
||||
|
||||
`foreman check`
|
||||
|
||||
- 프로세스 환경과 함께 일회성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foreman run {{명령}}`
|
||||
|
||||
- "worker"라는 이름의 프로세스를 제외한 모든 프로세스 시작:
|
||||
|
||||
`foreman start -m all=1,{{worker}}=0`
|
16
pages.ko/linux/fprintd-delete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fprintd-delet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fprintd-delete
|
||||
|
||||
> 데이터베이스에서 지문을 제거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printd-delete>.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의 모든 지문 제거:
|
||||
|
||||
`fprintd-delete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의 특정 지문 제거:
|
||||
|
||||
`fprintd-delete {{사용자명}} --finger {{left-thumb|left-index-finger|left-middle-finger|left-ring-finger|left-little-finger|right-thumb|right-index-finger|right-middle-finger|right-ring-finger|right-little-finger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fprintd-delete`
|
24
pages.ko/linux/fprintd-enroll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fprintd-enrol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fprintd-enroll
|
||||
|
||||
> 지문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printd-enroll>.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의 오른손 검지 지문 등록:
|
||||
|
||||
`fprintd-enroll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의 특정 손가락 지문 등록:
|
||||
|
||||
`fprintd-enroll --finger {{왼쪽-엄지|왼쪽-검지|왼쪽-중지|왼쪽-약지|왼쪽-새끼|오른쪽-엄지|오른쪽-검지|오른쪽-중지|오른쪽-약지|오른쪽-새끼}}`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의 오른손 검지 지문 등록:
|
||||
|
||||
`fprintd-enroll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의 특정 손가락 지문 등록:
|
||||
|
||||
`fprintd-enroll --finger {{손가락_이름}}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fprintd-enroll --help`
|
16
pages.ko/linux/fprintd-list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fprintd-list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fprintd-list
|
||||
|
||||
> 등록된 지문 목록을 나열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printd-list>.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에 대한 등록된 지문을 나열:
|
||||
|
||||
`fprintd-list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등록된 지문을 나열:
|
||||
|
||||
`fprintd-list {{사용자명1 사용자명2 ...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fprintd-list`
|
28
pages.ko/linux/fprintd-verify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fprintd-verify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fprintd-verify
|
||||
|
||||
>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문을 검증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printd-verify>.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의 모든 저장된 지문 검증:
|
||||
|
||||
`fprintd-verify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의 특정 지문 검증:
|
||||
|
||||
`fprintd-verify --finger {{left-thumb|left-index-finger|left-middle-finger|left-ring-finger|left-little-finger|right-thumb|right-index-finger|right-middle-finger|right-ring-finger|right-little-finger}}`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의 지문 검증:
|
||||
|
||||
`fprint-verify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의 특정 지문 검증:
|
||||
|
||||
`fprintd-verify --finger {{손가락_이름}}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문과 일치하지 않으면 프로세스 실패:
|
||||
|
||||
`fprint-verify --g-fatal-warnings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fprintd-verify --help`
|
8
pages.ko/linux/fprintd.md
Normal file
8
pages.ko/linux/fprintd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
# fprintd
|
||||
|
||||
> 지문 관리 데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fprint.freedesktop.org/>.
|
||||
|
||||
- `fprintd`의 man 페이지 표시:
|
||||
|
||||
`man fprintd`
|
28
pages.ko/linux/fpsync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fpsync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fpsync
|
||||
|
||||
> 여러 동기화 프로세스를 로컬 또는 여러 원격 워커에서 SSH를 통해 실행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part.org/fpsync/>.
|
||||
|
||||
- 디렉토리를 다른 위치로 재귀적으로 동기화:
|
||||
|
||||
`fpsync -v {{/경로/대상/소스/}} {{/경로/대상/목적지/}}`
|
||||
|
||||
-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최종 패스로 동기화 (각 동기화 작업에 rsync의 `--delete` 옵션 활성화):
|
||||
|
||||
`fpsync -v -E {{/경로/대상/소스/}} {{/경로/대상/목적지/}}`
|
||||
|
||||
-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8개의 동시 동기화 작업을 사용하여 목적지로 동기화:
|
||||
|
||||
`fpsync -v -n 8 -E {{/경로/대상/소스/}} {{/경로/대상/목적지/}}`
|
||||
|
||||
-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8개의 동시 동기화 작업을 두 개의 원격 워커(machin1 및 machine2)에 분산하여 목적지로 동기화:
|
||||
|
||||
`fpsync -v -n 8 -E -w login@machine1 -w login@machine2 -d {{/경로/대상/공유/디렉토리}} {{/경로/대상/소스/}} {{/경로/대상/목적지/}}`
|
||||
|
||||
-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4개의 로컬 워커를 사용하여 각 동기화 작업당 최대 1000개의 파일과 100MB를 전송하며 목적지로 동기화:
|
||||
|
||||
`fpsync -v -n 4 -f 1000 -s $((100 * 1024 * 1024)) {{/경로/대상/소스/}} {{/경로/대상/목적지/}}`
|
||||
|
||||
- 특정 `.snapshot*` 파일을 제외한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동기화 (참고: 옵션과 값은 파이프 문자로 구분해야 함):
|
||||
|
||||
`fpsync -v -O "-x|.snapshot*" {{/경로/대상/소스/}} {{/경로/대상/목적지/}}`
|
20
pages.ko/linux/free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fre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free
|
||||
|
||||
> 시스템의 사용 가능 및 사용 중인 메모리 양을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ree>.
|
||||
|
||||
- 시스템 메모리 표시:
|
||||
|
||||
`free`
|
||||
|
||||
- 메모리를 바이트/KB/MB/GB 단위로 표시:
|
||||
|
||||
`free -{{b|k|m|g}}`
|
||||
|
||||
-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로 메모리 표시:
|
||||
|
||||
`free -h`
|
||||
|
||||
- 매 2초마다 출력 새로고침:
|
||||
|
||||
`free -s {{2}}`
|
16
pages.ko/linux/fsck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fsck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fsck
|
||||
|
||||
>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거나 복구합니다. 명령어 실행 시 파일 시스템은 마운트 해제되어 있어야 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sck>.
|
||||
|
||||
- 파일 시스템 `/dev/sdXN`의 손상된 블록을 보고:
|
||||
|
||||
`sudo fsck {{/dev/sdXN}}`
|
||||
|
||||
- 파일 시스템 `/dev/sdXN`의 손상된 블록을 보고, 각 블록을 복구할지 사용자에게 상호작용으로 선택하게 함:
|
||||
|
||||
`sudo fsck -r {{/dev/sdXN}}`
|
||||
|
||||
- 파일 시스템 `/dev/sdXN`의 손상된 블록을 보고, 자동으로 복구:
|
||||
|
||||
`sudo fsck -a {{/dev/sdXN}}`
|
20
pages.ko/linux/fscrypt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fscryp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fscrypt
|
||||
|
||||
> Linux 파일 시스템 암호화를 관리하는 Go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google/fscrypt>.
|
||||
|
||||
- fscrypt를 사용하기 위해 루트 파일 시스템 준비:
|
||||
|
||||
`fscrypt setup`
|
||||
|
||||
- 디렉터리에 파일 시스템 암호화 활성화:
|
||||
|
||||
`fscrypt encrypt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암호화된 디렉터리 잠금 해제:
|
||||
|
||||
`fscrypt unlock {{경로/대상/암호화된_폴더}}`
|
||||
|
||||
- 암호화된 디렉터리 잠금:
|
||||
|
||||
`fscrypt lock {{경로/대상/암호화된_폴더}}`
|
17
pages.ko/linux/fstrim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fstrim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fstrim
|
||||
|
||||
>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되지 않는 블록을 삭제합니다.
|
||||
> SSD 및 microSD 카드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서만 지원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strim>.
|
||||
|
||||
- 지원되는 모든 마운트된 파티션의 사용되지 않는 블록 삭제:
|
||||
|
||||
`sudo fstrim --all`
|
||||
|
||||
- 지정된 파티션의 사용되지 않는 블록 삭제:
|
||||
|
||||
`sudo fstrim {{/}}`
|
||||
|
||||
- 삭제 후 통계 표시:
|
||||
|
||||
`sudo fstrim --verbose {{/}}`
|
28
pages.ko/linux/fuser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fus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fuser
|
||||
|
||||
> 파일이나 소켓을 현재 사용 중인 프로세스 ID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fuser>.
|
||||
|
||||
- 파일이나 폴더에 접근 중인 프로세스 찾기:
|
||||
|
||||
`fuser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
|
||||
|
||||
- 더 많은 필드 표시 (`USER`, `PID`, `ACCESS`, `COMMAND`):
|
||||
|
||||
`fuser --verbose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
|
||||
|
||||
- TCP 소켓을 사용하는 프로세스 식별:
|
||||
|
||||
`fuser --namespace tcp {{포트}}`
|
||||
|
||||
- 파일이나 폴더에 접근 중인 모든 프로세스 종료 (`SIGKILL` 신호 전송):
|
||||
|
||||
`fuser --kill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
|
||||
|
||||
- 특정 파일이나 폴더가 포함된 파일 시스템에 접근 중인 프로세스 찾기:
|
||||
|
||||
`fuser --mount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
|
||||
|
||||
- 특정 포트에서 TCP 연결을 가진 모든 프로세스 종료:
|
||||
|
||||
`fuser --kill {{포트}}/tcp`
|
20
pages.ko/linux/fwupdmgr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fwupdmgr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fwupdmgr
|
||||
|
||||
> `fwupd`를 사용하여 UEFI를 포함한 장치 펌웨어 업데이트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fwupd.org/>.
|
||||
|
||||
- fwupd에 의해 감지된 모든 장치 표시:
|
||||
|
||||
`fwupdmgr get-devices`
|
||||
|
||||
- LVFS에서 최신 펌웨어 메타데이터 다운로드:
|
||||
|
||||
`fwupdmgr refresh`
|
||||
|
||||
- 시스템의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업데이트 나열:
|
||||
|
||||
`fwupdmgr get-updates`
|
||||
|
||||
- 펌웨어 업데이트 설치:
|
||||
|
||||
`fwupdmgr update`
|
Loading…
Add table
Reference in a new issu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