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iff --git a/pages.ko/linux/daemon.md b/pages.ko/linux/daemo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eb3b99ca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aemon.md @@ -0,0 +1,28 @@ +# daemon + +> 프로세스를 데몬으로 실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명령어를 데몬으로 실행: + +`daemon --name="{{이름}}" {{명령어}}` + +- 명령어를 데몬으로 실행하고, 충돌 시 재시작: + +`daemon --name="{{이름}}" --respawn {{명령어}}` + +- 충돌 시 재시작하는 데몬으로 명령어를 실행하며, 10초마다 두 번 시도: + +`daemon --name="{{이름}}" --respawn --attempts=2 --delay=10 {{명령어}}` + +- 로그를 특정 파일에 기록하며 명령어를 데몬으로 실행: + +`daemon --name="{{이름}}" --errlog={{경로/대상/파일.log}} {{명령어}}` + +- 데몬 종료 (SIGTERM): + +`daemon --name="{{이름}}" --stop` + +- 데몬 목록 나열: + +`daemon --list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aemonize.md b/pages.ko/linux/daemoniz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87b83253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aemonize.md @@ -0,0 +1,20 @@ +# daemonize + +> 유닉스 데몬으로 명령어(자체적으로 데몬화하지 않는)를 실행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명령어를 데몬으로 실행: + +`daemonize {{명령어}} {{명령어_인자}}` + +- PID를 지정된 파일에 작성: + +`daemonize -p {{경로/대상/PID_파일}} {{명령어}} {{명령어_인자}}` + +- 락 파일을 사용하여 한 번에 하나의 인스턴스만 실행되도록 보장: + +`daemonize -l {{경로/대상/락_파일}} {{명령어}} {{명령어_인자}}` + +- 지정된 사용자 계정을 사용: + +`sudo daemonize -u {{사용자}} {{명령어}} {{명령어_인자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atamash.md b/pages.ko/linux/datamas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a3d2d8bc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atamash.md @@ -0,0 +1,20 @@ +# datamash + +> 입력 텍스트 데이터 파일에 대해 기본적인 수치, 텍스트 및 통계 작업 수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한 열의 숫자에 대한 최대값, 최소값, 평균 및 중앙값 계산: + +`seq 3 | datamash max 1 min 1 mean 1 median 1` + +- 부동 소수점 숫자(소수점은 ","로 표시)를 포함한 한 열의 평균 계산: + +`echo -e '1.0\n2.5\n3.1\n4.3\n5.6\n5.7' | tr '.' ',' | datamash mean 1` + +- 지정된 소수 자릿수로 한 열의 숫자 평균 계산: + +`echo -e '1\n2\n3\n4\n5\n5' | datamash -R {{원하는_소수_자릿수}} mean 1` + +- "Na"와 "NaN"(문자열)을 무시하고 한 열의 숫자 평균 계산: + +`echo -e '1\n2\nNa\n3\nNaN' | datamash --narm mean 1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bclient.md b/pages.ko/linux/dbclien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357774ab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bclient.md @@ -0,0 +1,24 @@ +# dbclient + +> 경량 Dropbear 보안 셸 클라이언트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원격 호스트에 연결: + +`dbclient {{사용자}}@{{호스트}}` + +- [p]포트 2222로 원격 호스트에 연결: + +`dbclient {{사용자}}@{{호스트}} -p 2222` + +- Dropbear 형식의 특정 [i]dentity 키를 사용하여 원격 호스트에 연결: + +`dbclient -i {{경로/대상/키_파일}} {{사용자}}@{{호스트}}` + +- [t]ty 할당으로 원격 명령과 상호작용하며 원격 호스트에서 명령 실행: + +`dbclient {{사용자}}@{{호스트}} -t {{명령}} {{인수1 인수2 ...}}` + +- [A]gent 연결을 원격 호스트로 전달하며 연결: + +`dbclient -A {{사용자}}@{{호스트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bus-daemon.md b/pages.ko/linux/dbus-daemo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b1c3a0cc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bus-daemon.md @@ -0,0 +1,28 @@ +# dbus-daemon + +> 여러 프로그램이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D-Bus 메시지 데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구성 파일을 사용하여 데몬 실행: + +`dbus-daemon --config-file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표준 로그인 세션당 메시지 버스 구성으로 데몬 실행: + +`dbus-daemon --session` + +- 표준 시스템 전체 메시지 버스 구성으로 데몬 실행: + +`dbus-daemon --system` + +- 수신할 주소 설정 및 해당 구성 값 재정의: + +`dbus-daemon --address {{주소}}` + +- 프로세스 ID를 `stdout`에 출력: + +`dbus-daemon --print-pid` + +- 메시지를 시스템 로그에 기록하도록 메시지 버스를 강제 설정: + +`dbus-daemon --syslog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conf-read.md b/pages.ko/linux/dconf-rea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45b5fa94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conf-read.md @@ -0,0 +1,13 @@ +# dconf read + +> dconf 데이터베이스에서 키 값을 읽습니다. +> 같이 보기: `dconf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키 값을 출력: + +`dconf read {{/경로/대상/키}}` + +- 특정 키의 [d]기본 값을 출력: + +`dconf read -d {{/경로/대상/키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conf-reset.md b/pages.ko/linux/dconf-rese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e32e6359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conf-reset.md @@ -0,0 +1,13 @@ +# dconf reset + +> dconf 데이터베이스에서 키 값을 재설정. +> 같이 보기: `dconf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키 값을 재설정: + +`dconf reset {{/경로/대상/키}}` + +- 특정 디렉터리를 재설정: + +`dconf reset -f {{/경로/대상/폴더/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conf-write.md b/pages.ko/linux/dconf-writ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cabfdee8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conf-write.md @@ -0,0 +1,29 @@ +# dconf write + +> dconf 데이터베이스에 키 값을 작성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dconf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키 값 작성: + +`dconf write {{/경로/대상/키}} "{{값}}"` + +- 특정 문자열 키 값 작성: + +`dconf write {{/경로/대상/키}} "'{{문자열}}'"` + +- 특정 정수 키 값 작성: + +`dconf write {{/경로/대상/키}} "{{5}}"` + +- 특정 불리언 키 값 작성: + +`dconf write {{/경로/대상/키}} "{{true|false}}"` + +- 특정 배열 키 값 작성: + +`dconf write {{/경로/대상/키}} "[{{'첫번째', '두번째', ...}}]"` + +- 특정 빈 배열 키 값 작성: + +`dconf write {{/경로/대상/키}} "@as []"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conf.md b/pages.ko/linux/dconf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a04e1c8c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conf.md @@ -0,0 +1,29 @@ +# dconf + +> dconf 데이터베이스 관리. +> 같이 보기: `dconf-read`, `dconf-reset`, `dconf-write`, `gsettings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키 값을 출력: + +`dconf read {{/경로/대상/키}}` + +- 특정 경로의 하위 디렉토리 및 하위 키를 출력: + +`dconf list {{/경로/대상/폴더/}}` + +- 특정 키 값 쓰기: + +`dconf write {{/경로/대상/키}} "{{값}}"` + +- 특정 키 값 초기화: + +`dconf reset {{/경로/대상/키}}` + +- 특정 키/디렉토리의 변경 사항 감시: + +`dconf watch {{/경로/대상/키|/경로/대상/폴더/}}` + +- 특정 디렉토리를 INI 파일 형식으로 덤프: + +`dconf dump {{/경로/대상/폴더/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dcutil.md b/pages.ko/linux/ddcuti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f7844958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dcutil.md @@ -0,0 +1,21 @@ +# ddcutil + +> DDC/CI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설정을 제어합니다. +> 이 명령은 `i2c-dev` 커널 모듈이 로드되어 있어야 합니다. 같이 보기: `modprobe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호환 가능한 모든 디스플레이 나열: + +`ddcutil detect` + +- 디스플레이 1의 밝기(옵션 0x10)를 50%로 변경: + +`ddcutil --display {{1}} setvcp {{10}} {{50}}` + +- 디스플레이 1의 대비(옵션 0x12)를 5% 증가: + +`ddcutil -d {{1}} setvcp {{12}} {{+}} {{5}}` + +- 디스플레이 1의 설정 읽기: + +`ddcutil -d {{1}} getvcp {{ALL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drescue.md b/pages.ko/linux/ddrescu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7ac66028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drescue.md @@ -0,0 +1,12 @@ +# ddrescue + +> 손상된 블록 장치에서 데이터를 읽는 데이터 복구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장치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로그 파일 생성: + +`sudo ddrescue {{/dev/sdb}} {{경로/대상/이미지.dd}} {{경로/대상/로그.txt}}` + +- 디스크 A를 디스크 B로 클론하고 로그 파일 생성: + +`sudo ddrescue --force --no-scrape {{/dev/sdX}} {{/dev/sdY}} {{경로/대상/로그.txt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eb-get.md b/pages.ko/linux/deb-ge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d9b2dd17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eb-get.md @@ -0,0 +1,33 @@ +# deb-get + +> 타사 저장소 또는 직접 다운로드를 통해 배포된 `.deb` 패키지에 대한 `apt-get` 기능. +> `apt-get`을 사용하는 Linux 배포판과 함께 작동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사용 가능한 패키지 및 버전 목록 업데이트: + +`deb-get update` + +- 특정 패키지 검색: + +`deb-get search {{패키지}}` + +- 패키지 정보 표시: + +`deb-get show {{패키지}}` + +- 패키지 설치 또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: + +`deb-get install {{패키지}}` + +- 패키지 제거 (`purge`를 사용하면 구성 파일도 제거): + +`deb-get remove {{패키지}}` + +-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: + +`deb-get upgrade` + +- 사용 가능한 모든 패키지 나열: + +`deb-get list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ebchange.md b/pages.ko/linux/debchang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6bd0a2d9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ebchange.md @@ -0,0 +1,16 @@ +# debchange + +> Debian 소스 패키지의 debian/changelog 파일을 관리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비관리자 업로드를 위한 새 버전을 변경 로그에 추가: + +`debchange --nmu` + +- 현재 버전에 변경 로그 항목 추가: + +`debchange --append` + +- 지정된 ID의 버그를 종료하는 변경 로그 항목 추가: + +`debchange --closes {{버그_ID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ebman.md b/pages.ko/linux/debma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65fd40b4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ebman.md @@ -0,0 +1,16 @@ +# debman + +> 설치되지 않은 패키지에서 매뉴얼 페이지를 읽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패키지가 제공하는 명령어에 대한 매뉴얼 페이지 읽기: + +`debman -p {{패키지}} {{명령어}}` + +- 다운로드할 패키지 버전 지정: + +`debman -p {{패키지}}={{버전}} {{명령어}}` + +- `.deb` 파일에서 매뉴얼 페이지 읽기: + +`debman -f {{경로/대상/파일명.deb}} {{명령어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ebootstrap.md b/pages.ko/linux/debootstra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176996a9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ebootstrap.md @@ -0,0 +1,24 @@ +# debootstrap + +> 기본 Debian 시스템 생성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debian-root` 디렉터리 내에 Debian 안정 버전 시스템 생성: + +`sudo debootstrap stable {{경로/대상/debian-root/}} http://deb.debian.org/debian` + +- 필수 패키지만 포함하는 최소 시스템 생성: + +`sudo debootstrap --variant=minbase stable {{경로/대상/debian-root/}}` + +- 로컬 미러를 사용하여 `focal-root` 디렉터리 내에 Ubuntu 20.04 시스템 생성: + +`sudo debootstrap focal {{경로/대상/focal-root/}} {{file:///경로/대상/미러/}}` + +- 부트스트랩된 시스템으로 전환: + +`sudo chroot {{경로/대상/root}}` + +- 사용 가능한 릴리스 나열: + +`ls /usr/share/debootstrap/scripts/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eborphan.md b/pages.ko/linux/deborpha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5ccccdb1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eborphan.md @@ -0,0 +1,16 @@ +# deborphan + +> APT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는 운영 체제에서 고아 패키지를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다른 패키지에서 필요로 하지 않는 라이브러리 패키지("libs" 섹션에서) 표시: + +`deborphan` + +- "libs" 섹션의 고아 패키지와 라이브러리 이름처럼 보이는 이름을 가진 고아 패키지 나열: + +`deborphan --guess-all` + +- 다른 패키지에서 추천하거나 제안하지만 필수는 아닌 패키지 찾기: + +`deborphan --nice-mod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ebsecan.md b/pages.ko/linux/debseca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46a3b6e1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ebsecan.md @@ -0,0 +1,24 @@ +# debsecan + +> Debian 보안 분석기, 특정 Debian 설치에서 취약점을 나열하는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호스트에서 취약한 설치 패키지 나열: + +`debsecan` + +- 특정 스위트의 취약한 설치 패키지 나열: + +`debsecan --suite {{릴리스_코드_이름}}` + +- 수정된 취약점만 나열: + +`debsecan --suite {{릴리스_코드_이름}} --only-fixed` + +- 불안정("sid") 버전의 수정된 취약점만 나열하고 루트로 메일 발송: + +`debsecan --suite {{sid}} --only-fixed --format {{report}} --mailto {{root}} --update-history` + +- 취약한 설치 패키지 업그레이드: + +`sudo apt upgrade $(debsecan --only-fixed --format {{packages}})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ebtap.md b/pages.ko/linux/debta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acec3ae4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ebtap.md @@ -0,0 +1,21 @@ +# debtap + +> Debian 패키지를 Arch Linux 패키지로 변환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pacman-upgrade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debtap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(최초 실행 전): + +`sudo debtap --update` + +- 지정된 패키지 변환: + +`debtap {{경로/대상/패키지.deb}}` + +- 메타데이터 파일 편집을 제외한 모든 질문을 건너뛰고 지정된 패키지 변환: + +`debtap --quiet {{경로/대상/패키지.deb}}` + +- PKGBUILD 파일 생성: + +`debtap --pkgbuild {{경로/대상/패키지.deb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ebugfs.md b/pages.ko/linux/debugf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0cb1efab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ebugfs.md @@ -0,0 +1,28 @@ +# debugfs + +> 대화형 ext2/ext3/ext4 파일 시스템 디버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 시스템을 읽기 전용 모드로 열기: + +`debugfs {{/dev/sdXN}}` + +- 파일 시스템을 읽기/쓰기 모드로 열기: + +`debugfs -w {{/dev/sdXN}}` + +- 지정된 파일에서 명령을 읽어 실행하고 종료: + +`debugfs -f {{경로/대상/명령_파일}} {{/dev/sdXN}}` + +- debugfs 콘솔에서 파일 시스템 통계 보기: + +`stats` + +- 파일 시스템 닫기: + +`close -a` + +- 사용 가능한 모든 명령 나열: + +`lr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ebuginfod-find.md b/pages.ko/linux/debuginfod-fin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075e8bff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ebuginfod-find.md @@ -0,0 +1,8 @@ +# debuginfod-find + +> 디버그 정보 관련 데이터를 요청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build_id`를 기반으로 데이터 요청: + +`debuginfod-find -vv debuginfo {{빌드_ID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ebuild.md b/pages.ko/linux/debuil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ecbe4e14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ebuild.md @@ -0,0 +1,16 @@ +# debuild + +> 소스에서 Debian 패키지를 빌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디렉토리에서 패키지 빌드: + +`debuild` + +- 바이너리 패키지만 빌드: + +`debuild -b` + +- 패키지 빌드 후 lintian을 실행하지 않음: + +`debuild --no-lintian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elpart.md b/pages.ko/linux/delpar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7bcad6c1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elpart.md @@ -0,0 +1,8 @@ +# delpart + +> Linux 커널에게 파티션을 잊도록 요청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커널에게 `/dev/sda`의 첫 번째 파티션을 잊도록 요청: + +`sudo delpart {{/dev/sda}} {{1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ex.md b/pages.ko/linux/dex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95ab805c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ex.md @@ -0,0 +1,32 @@ +# dex + +> DesktopEntry Execution은 응용 프로그램 유형의 DesktopEntry 파일을 생성하고 실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자동 시작 폴더의 모든 프로그램 실행: + +`dex --autostart` + +- 지정된 폴더의 모든 프로그램 실행: + +`dex --autostart --search-paths {{경로/대상/폴더1}}:{{경로/대상/폴더2}}:{{경로/대상/폴더3}}:` + +- GNOME 특정 자동 시작에서 실행될 프로그램 미리보기: + +`dex --autostart --environment {{GNOME}}` + +- 일반 자동 시작에서 실행될 프로그램 미리보기: + +`dex --autostart --dry-run` + +- DesktopEntry 속성 `Name`의 값 미리보기: + +`dex --property {{Name}} {{경로/대상/파일.desktop}}` + +- 현재 디렉토리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DesktopEntry 생성: + +`dex --create {{경로/대상/파일.desktop}}` + +- 주어진 터미널에서 단일 프로그램 실행 (`Terminal=true`가 데스크탑 파일에 있는 경우): + +`dex --term {{터미널}} {{경로/대상/파일.desktop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f.md b/pages.ko/linux/df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93cf6511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f.md @@ -0,0 +1,28 @@ +# df + +> 파일 시스템 디스크 공간 사용 개요를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파일 시스템과 디스크 사용량 표시: + +`df` + +- 모든 파일 시스템과 디스크 사용량을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표시: + +`df {{-h|--human-readable}}` + +- 주어진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파일 시스템과 디스크 사용량 표시: + +`df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 + +- 사용 가능한 inode 수에 대한 통계 포함: + +`df {{-i|--inodes}}` + +- 특정 유형을 제외한 파일 시스템 표시: + +`df {{-x|--exclude-type}} {{squashfs}} {{-x|--exclude-type}} {{tmpfs}}` + +- 파일 시스템 유형 표시: + +`df {{-T|--print-type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get.md b/pages.ko/linux/dge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322857ee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get.md @@ -0,0 +1,16 @@ +# dget + +> Debian 패키지 다운로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바이너리 패키지 다운로드: + +`dget {{패키지}}` + +- `.dsc` 파일에서 패키지 소스를 다운로드하고 추출: + +`dget {{http://deb.debian.org/debian/pool/main/h/haskell-tldr/haskell-tldr_0.4.0-2.dsc}}` + +- `.dsc` 파일에서 패키지 소스 tarball을 다운로드하지만 추출하지 않음: + +`dget -d {{http://deb.debian.org/debian/pool/main/h/haskell-tldr/haskell-tldr_0.4.0-2.dsc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hcpcd.md b/pages.ko/linux/dhcpc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f43f7805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hcpcd.md @@ -0,0 +1,12 @@ +# dhcpcd + +> DHCP 클라이언트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주소 임대 해제: + +`sudo dhcpcd --release` + +- DHCP 서버에 새 임대 요청: + +`sudo dhcpcd --rebind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ff3.md b/pages.ko/linux/diff3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8cdd271d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ff3.md @@ -0,0 +1,12 @@ +# diff3 + +> 세 개의 파일을 줄 단위로 비교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 비교: + +`diff3 {{경로/대상/파일1}} {{경로/대상/파일2}} {{경로/대상/파일3}}` + +- 충돌을 강조하여 모든 변경 사항 표시: + +`diff3 --show-all {{경로/대상/파일1}} {{경로/대상/파일2}} {{경로/대상/파일3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ffimg.md b/pages.ko/linux/diffimg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bd9da159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ffimg.md @@ -0,0 +1,9 @@ +# diffimg + +> 두 이미지 간의 교차점을 계산합니다. +> 참고: 지원되는 확장자는 `.png`, `.gif`, `.jpg`, `.ps`입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입력 이미지 간의 교차점을 계산하고, 각 픽셀이 입력 이미지의 해당 픽셀 간 차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출력: + +`diffimg {{경로/대상/입력_이미지1.ext}} {{경로/대상/입력_이미지2.ext}} {{경로/대상/출력_이미지.ext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r.md b/pages.ko/linux/di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660fd3cc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r.md @@ -0,0 +1,25 @@ +# dir + +> 한 줄에 하나의 파일씩 디렉토리 내용을 나열하며, 특수 문자는 백슬래시 이스케이프 시퀀스로 표시됩니다. +> `ls -C --escape`와 같이 작동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숨김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 나열: + +`dir --all` + +- 파일 작성자 정보를 포함하여 나열 (`-l` 필요): + +`dir -l --author` + +- 지정된 블롭 패턴과 일치하는 파일을 제외하고 나열: + +`dir --hide={{패턴}}` + +- 하위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나열: + +`dir --recursive` + +- 도움말 표시: + +`dir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rb.md b/pages.ko/linux/dirb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d2dcb8d6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rb.md @@ -0,0 +1,20 @@ +# dirb + +> HTTP 기반 웹 서버의 디렉토리와 파일을 스캔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단어 목록을 사용하여 웹 서버 스캔: + +`dirb {{https://example.org}}` + +- 사용자 정의 단어 목록을 사용하여 웹 서버 스캔: + +`dirb {{https://example.org}} {{경로/대상/단어목록.txt}}` + +- 비재귀적으로 웹 서버 스캔: + +`dirb {{https://example.org}} -r` + +- 지정된 사용자 에이전트와 쿠키를 사용하여 웹 서버 스캔: + +`dirb {{https://example.org}} -a {{사용자_에이전트_스트링}} -c {{쿠키_스트링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rbuster.md b/pages.ko/linux/dirbust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6ee0d323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rbuster.md @@ -0,0 +1,24 @@ +# dirbuster + +> 서버에서 디렉터리와 파일명을 무차별 대입으로 찾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GUI 모드로 시작: + +`dirbuster -u {{http://example.com}}` + +- 헤드리스(무 GUI) 모드로 시작: + +`dirbuster -H -u {{http://example.com}}` + +- 파일 확장자 목록 설정: + +`dirbuster -e {{txt,html}}` + +- 자세한 출력 활성화: + +`dirbuster -v` + +- 보고서 위치 설정: + +`dirbuster -r {{경로/대상/보고서.txt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strobox-create.md b/pages.ko/linux/distrobox-creat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ae62fa46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strobox-create.md @@ -0,0 +1,13 @@ +# distrobox-create + +> Distrobox 컨테이너 생성. 같이 보기: `tldr distrobox`. +> 생성된 컨테이너는 호스트와 밀접하게 통합되어 사용자의 HOME 디렉토리, 외부 저장소, 외부 USB 장치, 그래픽 애플리케이션(X11/Wayland), 오디오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Ubuntu 이미지로 Distrobox 컨테이너 생성: + +`distrobox-create {{컨테이너_이름}} --image {{ubuntu:latest}}` + +- Distrobox 컨테이너 복제: + +`distrobox-create --clone {{컨테이너_이름}} {{복제된_컨테이너_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strobox-enter.md b/pages.ko/linux/distrobox-ent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ed27fda4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strobox-enter.md @@ -0,0 +1,17 @@ +# distrobox-enter + +> Distrobox 컨테이너에 진입합니다. 같이 보기: `tldr distrobox`. +> 기본 실행 명령어는 사용자의 SHELL이지만, 다른 셸 또는 전체 명령어를 지정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. 스크립트,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내에서 사용 시, `--headless` 모드를 사용하여 tty 및 상호작용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Distrobox 컨테이너에 진입: + +`distrobox-enter {{컨테이너_이름}}` + +- Distrobox 컨테이너에 진입하고 로그인 시 명령어 실행: + +`distrobox-enter {{컨테이너_이름}} -- {{sh -l}}` + +- tty를 인스턴스화하지 않고 Distrobox 컨테이너에 진입: + +`distrobox-enter --name {{컨테이너_이름}} -- {{uptime -p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strobox-export.md b/pages.ko/linux/distrobox-expor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3319651d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strobox-export.md @@ -0,0 +1,24 @@ +# distrobox-export + +> 컨테이너에서 호스트 OS로 앱/서비스/바이너리를 내보냅니다. 같이 보기: `tldr distrobox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컨테이너에서 호스트로 앱 내보내기 (데스크톱 항목/아이콘이 호스트 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 나타납니다): + +`distrobox-export --app {{패키지}} --extra-flags "--foreground"` + +- 컨테이너에서 호스트로 바이너리 내보내기: + +`distrobox-export --bin {{경로/대상/바이너리}} --export-path {{경로/대상/호스트_바이너리}}` + +- 컨테이너에서 호스트로 바이너리 내보내기 (예: `$HOME/.local/bin`): + +`distrobox-export --bin {{경로/대상/바이너리}} --export-path {{경로/대상/내보내기}}` + +- 컨테이너에서 호스트로 서비스 내보내기 (`--sudo`는 해당 서비스를 컨테이너 내에서 루트 권한으로 실행): + +`distrobox-export --service {{패키지}} --extra-flags "--allow-newer-config" --sudo` + +- 내보낸 응용 프로그램 제거/삭제: + +`distrobox-export --app {{패키지}} --delet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strobox-host-exec.md b/pages.ko/linux/distrobox-host-exe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9cdb8200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strobox-host-exec.md @@ -0,0 +1,12 @@ +# distrobox-host-exec + +> Distrobox 컨테이너 내부에서 호스트의 명령을 실행합니다. 같이 보기: `tldr distrobox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Distrobox 컨테이너 내부에서 호스트 시스템의 명령 실행: + +`distrobox-host-exec "{{명령}}"` + +- 컨테이너 내부에서 호스트 시스템의 `ls` 명령 실행: + +`distrobox-host-exec ls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strobox-list.md b/pages.ko/linux/distrobox-lis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3e6dcb7e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strobox-list.md @@ -0,0 +1,13 @@ +# distrobox-list + +> 모든 Distrobox 컨테이너 나열. 같이 보기: `tldr distrobox`. +> Distrobox 컨테이너는 일반 Podman 또는 Docker 컨테이너와 별도로 나열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Distrobox 컨테이너 나열: + +`distrobox-list` + +- 자세한 정보를 포함하여 모든 Distrobox 컨테이너 나열: + +`distrobox-list --verbos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strobox-rm.md b/pages.ko/linux/distrobox-r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44ca33a3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strobox-rm.md @@ -0,0 +1,12 @@ +# distrobox-rm + +> Distrobox 컨테이너 제거. 같이 보기: `tldr distrobox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Distrobox 컨테이너 제거 (팁: 제거하기 전에 컨테이너를 중지하세요): + +`distrobox-rm {{컨테이너_이름}}` + +- Distrobox 컨테이너 강제 제거: + +`distrobox-rm {{컨테이너_이름}} --forc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strobox-stop.md b/pages.ko/linux/distrobox-sto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bd741e38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strobox-stop.md @@ -0,0 +1,12 @@ +# distrobox-stop + +> Distrobox 컨테이너 중지. 같이 보기: `tldr distrobox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Distrobox 컨테이너 중지: + +`distrobox-stop {{컨테이너_이름}}` + +- 확인 없이 비대화형으로 Distrobox 컨테이너 중지: + +`distrobox-stop --name {{컨테이너_이름}} --yes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strobox-upgrade.md b/pages.ko/linux/distrobox-upgrad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4169a9ae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strobox-upgrade.md @@ -0,0 +1,16 @@ +# distrobox-upgrade + +> 하나 또는 여러 Distrobox 컨테이너를 업그레이드합니다. 같이 보기: `tldr distrobox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컨테이너의 기본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업그레이드: + +`distrobox-upgrade {{컨테이너_이름}}` + +- 모든 컨테이너를 기본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: + +`distrobox-upgrade --all` + +- 특정 컨테이너를 기본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업그레이드: + +`distrobox-upgrade {{컨테이너1 컨테이너2 ...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istrobox.md b/pages.ko/linux/distrobox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7e4e5874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istrobox.md @@ -0,0 +1,37 @@ +# distrobox + +> 터미널 내에서 컨테이너로 리눅스 배포판을 사용하세요. 이를 통해 패키지를 설치하고 사용하며, 호스트 OS와의 긴밀한 통합, 스토리지(`home` 디렉토리) 및 하드웨어를 공유합니다. +> 참고: Podman 또는 Docker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생성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컨테이너 생성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distrobox-create` + +- 컨테이너 정보 나열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distrobox-list` + +- 컨테이너에 들어가는 방법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distrobox-enter` + +- 컨테이너 내부에서 호스트에서 명령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distrobox-host-exec` + +- 컨테이너에서 호스트로 앱/서비스/바이너리를 내보내는 방법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distrobox-export` + +- 컨테이너 업그레이드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distrobox-upgrade` + +- 컨테이너 중지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distrobox-stop` + +- 컨테이너 제거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distrobox-rm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kms.md b/pages.ko/linux/dkm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69bbd65c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kms.md @@ -0,0 +1,20 @@ +# dkms + +> 커널 모듈의 동적 빌드를 위한 프레임워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설치된 모듈 나열: + +`dkms status` + +- 현재 실행 중인 커널에 대해 모든 모듈 다시 빌드: + +`dkms autoinstall` + +- 현재 실행 중인 커널에 대해 acpi_call 모듈의 버전 1.2.1 설치: + +`dkms install -m {{acpi_call}} -v {{1.2.1}}` + +- 모든 커널에서 acpi_call 모듈의 버전 1.2.1 제거: + +`dkms remove -m {{acpi_call}} -v {{1.2.1}} --all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m-tool.md b/pages.ko/linux/dm-too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c29450c3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m-tool.md @@ -0,0 +1,20 @@ +# dm-tool + +> 디스플레이 관리자와 통신하는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데스크톱 세션을 열어두고 로그인한 사용자가 인증하면 복원되도록 하면서 그리터 표시: + +`dm-tool switch-to-greeter` + +- 현재 세션 잠금: + +`dm-tool lock` + +- 특정 사용자로 전환하며 필요 시 인증 프롬프트 표시: + +`dm-tool switch-to-user {{사용자명}} {{세션}}` + +- 실행 중인 LightDM 세션 내에서 동적 시트 추가: + +`dm-tool add-seat {{xlocal}} {{이름}}={{값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menu.md b/pages.ko/linux/dmenu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00694c9c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menu.md @@ -0,0 +1,25 @@ +# dmenu + +> 동적 메뉴. +> 각 항목이 새 줄에 있는 텍스트 입력에서 메뉴 생성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ls` 명령어의 출력을 메뉴로 표시: + +`{{ls}} | dmenu` + +- 새 줄(`\n`)로 구분된 사용자 정의 항목으로 메뉴 표시: + +`echo -e "{{red}}\n{{green}}\n{{blue}}" | dmenu` + +- 여러 항목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을 파일에 저장: + +`echo -e "{{red}}\n{{green}}\n{{blue}}" | dmenu > {{color.txt}}` + +- 특정 모니터에서 dmenu 실행: + +`ls | dmenu -m {{1}}` + +- 화면 아래쪽에 dmenu 표시: + +`ls | dmenu -b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mesg.md b/pages.ko/linux/dmesg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2df4f6c4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mesg.md @@ -0,0 +1,36 @@ +# dmesg + +> 커널 메시지를 `stdout`에 출력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커널 메시지 표시: + +`sudo dmesg` + +- 커널 오류 메시지 표시: + +`sudo dmesg --level err` + +- 커널 메시지를 표시하고 새로운 메시지를 계속 읽기 (`tail -f`와 유사, 커널 3.5.0 이상에서 사용 가능): + +`sudo dmesg -w` + +- 이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물리적 메모리 용량 표시: + +`sudo dmesg | grep -i memory` + +- 한 페이지씩 커널 메시지 표시: + +`sudo dmesg | less` + +- 타임스탬프와 함께 커널 메시지 표시 (커널 3.5.0 이상에서 사용 가능): + +`sudo dmesg -T` + +-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커널 메시지 표시 (커널 3.5.0 이상에서 사용 가능): + +`sudo dmesg -H` + +- 출력에 색상 적용 (커널 3.5.0 이상에서 사용 가능): + +`sudo dmesg -L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midecode.md b/pages.ko/linux/dmidecod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89880299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midecode.md @@ -0,0 +1,29 @@ +# dmidecode + +> DMI(또는 SMBIOS로 알려진) 테이블의 내용을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표시합니다. +> 루트 권한이 필요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DMI 테이블 내용을 표시: + +`sudo dmidecode` + +- BIOS 버전 표시: + +`sudo dmidecode -s bios-version` + +- 시스템의 일련번호 표시: + +`sudo dmidecode -s system-serial-number` + +- BIOS 정보 표시: + +`sudo dmidecode -t bios` + +- CPU 정보 표시: + +`sudo dmidecode -t processor` + +- 메모리 정보 표시: + +`sudo dmidecode -t memory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nf-config-manager.md b/pages.ko/linux/dnf-config-manag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cdc2a208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nf-config-manager.md @@ -0,0 +1,28 @@ +# dnf config-manager + +> Fedora 기반 시스템에서 DNF 구성 옵션과 저장소를 관리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URL에서 저장소 추가(그리고 활성화): + +`dnf config-manager --add-repo={{저장소_URL}}` + +- 현재 구성 값 출력: + +`dnf config-manager --dump` + +- 특정 저장소 활성화: + +`dnf config-manager --set-enabled {{저장소_ID}}` + +- 지정된 저장소 비활성화: + +`dnf config-manager --set-disabled {{저장소_ID1 저장소_ID2 ...}}` + +- 저장소에 대한 구성 옵션 설정: + +`dnf config-manager --setopt={{옵션}}={{값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dnf config-manager --help-cmd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nf.md b/pages.ko/linux/dnf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d9cdc0c4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nf.md @@ -0,0 +1,37 @@ +# dnf + +> RHEL, Fedora 및 CentOS를 위한 패키지 관리 도구(yum을 대체). +> 다른 패키지 관리자의 동등한 명령을 보려면 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설치된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: + +`sudo dnf upgrade` + +- 키워드를 통해 패키지 검색: + +`dnf search {{키워드1 키워드2 ...}}` + +- 패키지에 대한 세부 정보 표시: + +`dnf info {{패키지}}` + +- 새 패키지 설치 (`-y`를 사용하여 모든 프롬프트 자동 확인): + +`sudo dnf install {{패키지1 패키지2 ...}}` + +- 패키지 제거: + +`sudo dnf remove {{패키지1 패키지2 ...}}` + +- 설치된 패키지 나열: + +`dnf list --installed` + +- 특정 명령을 제공하는 패키지 찾기: + +`dnf provides {{명령}}` + +- 모든 과거 작업 보기: + +`dnf history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nf5.md b/pages.ko/linux/dnf5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ac17c7d7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nf5.md @@ -0,0 +1,38 @@ +# dnf5 + +> RHEL, Fedora, CentOS를 위한 패키지 관리 도구(dnf를 대체하며, dnf는 yum을 대체). +> DNF5는 C++로 다시 작성된 DNF 패키지 관리자로, 성능이 향상되고 크기가 작아졌습니다. +> 다른 패키지 관리자의 동등한 명령을 보려면 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설치된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: + +`sudo dnf5 upgrade` + +- 키워드로 패키지 검색: + +`dnf5 search {{키워드1 키워드2 ...}}` + +- 패키지에 대한 세부 정보 표시: + +`dnf5 info {{패키지}}` + +- 새 패키지 설치 (`-y`를 사용하여 모든 메시지 자동 확인): + +`sudo dnf5 install {{패키지1 패키지2 ...}}` + +- 패키지 제거: + +`sudo dnf5 remove {{패키지1 패키지2 ...}}` + +- 설치된 패키지 나열: + +`dnf5 list --installed` + +- 특정 명령을 제공하는 패키지 찾기: + +`dnf5 provides {{명령어}}` + +- 캐시된 데이터 제거 또는 만료: + +`sudo dnf5 clean all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nsdomainname.md b/pages.ko/linux/dnsdomainnam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ba29e3e2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nsdomainname.md @@ -0,0 +1,9 @@ +# dnsdomainname + +> 시스템의 DNS 도메인 이름을 표시합니다. +> 참고: 이 도구는 `gethostname`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호스트명을 얻고, `getaddrinfo`를 사용하여 정규화된 이름으로 해석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시스템의 DNS 도메인 이름 표시: + +`dnsdomainnam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nsmap.md b/pages.ko/linux/dnsma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163d42f0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nsmap.md @@ -0,0 +1,20 @@ +# dnsmap + +> dnsmap 명령은 도메인의 일반적인 하위 도메인(e.g. smtp.domain.org)을 스캔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내부 단어 목록을 사용하여 하위 도메인 스캔: + +`dnsmap {{example.com}}` + +- 확인할 하위 도메인 목록 지정: + +`dnsmap {{example.com}} -w {{경로/대상/단어목록.txt}}` + +- 결과를 CSV 파일에 저장: + +`dnsmap {{example.com}} -c {{경로/대상/파일.csv}}` + +- 잘못된 양성으로 인식되는 2개의 IP 무시(최대 5개 가능): + +`dnsmap {{example.com}} -i {{123.45.67.89,98.76.54.32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nsrecon.md b/pages.ko/linux/dnsreco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383aa766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nsrecon.md @@ -0,0 +1,32 @@ +# dnsrecon + +> DNS 열거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도메인을 스캔하고 결과를 SQLite 데이터베이스에 저장: + +`dnsrecon --domain {{example.com}} --db {{경로/대상/데이터베이스.sqlite}}` + +- 도메인을 스캔하며 네임서버를 지정하고 존 전송 수행: + +`dnsrecon --domain {{example.com}} --name_server {{nameserver.example.com}} --type axfr` + +- 도메인을 스캔하며 서브도메인 및 호스트명의 사전으로 무차별 공격 수행: + +`dnsrecon --domain {{example.com}} --dictionary {{경로/대상/사전.txt}} --type brt` + +- 도메인을 스캔하며 SPF 레코드에서 IP 범위의 역방향 조회를 수행하고 JSON 파일에 결과 저장: + +`dnsrecon --domain {{example.com}} -s --json` + +- 도메인을 스캔하며 Google 열거를 수행하고 CSV 파일에 결과 저장: + +`dnsrecon --domain {{example.com}} -g --csv` + +- 도메인을 스캔하며 DNS 캐시 스누핑 수행: + +`dnsrecon --domain {{example.com}} --type snoop --name_server {{nameserver.example.com}} --dictionary {{경로/대상/사전.txt}}` + +- 도메인을 스캔하며 존 워킹 수행: + +`dnsrecon --domain {{example.com}} --type zonewalk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nstracer.md b/pages.ko/linux/dnstrac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6972da89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nstracer.md @@ -0,0 +1,28 @@ +# dnstracer + +> dnstracer 명령은 DNS가 정보를 어디서 얻는지 확인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로컬 DNS가 www.example.com에 대한 정보를 어디서 얻었는지 확인: + +`dnstracer {{www.example.com}}` + +- 이미 알고 있는 특정 DNS에서 시작: + +`dnstracer -s {{dns.example.org}} {{www.example.com}}` + +- IPv4 서버만 쿼리: + +`dnstracer -4 {{www.example.com}}` + +- 실패 시 각 요청을 5번 재시도: + +`dnstracer -r {{5}} {{www.example.com}}` + +- 실행 중 모든 단계 표시: + +`dnstracer -v {{www.example.com}}` + +- 실행 후 수신된 모든 응답의 개요 표시: + +`dnstracer -o {{www.example.com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o-release-upgrade.md b/pages.ko/linux/do-release-upgrad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dfba1a27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o-release-upgrade.md @@ -0,0 +1,16 @@ +# do-release-upgrade + +> Ubuntu 릴리스 업그레이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최신 릴리스로 업그레이드: + +`sudo do-release-upgrade` + +- 최신 개발 릴리스로 업그레이드: + +`sudo do-release-upgrade --devel-release` + +- 최신 제안된 릴리스로 업그레이드: + +`sudo do-release-upgrade --proposed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ockerd.md b/pages.ko/linux/docker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dfc0a4a2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ockerd.md @@ -0,0 +1,24 @@ +# dockerd + +> Docker 컨테이너를 시작하고 관리하는 지속적인 프로세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Docker 데몬 실행: + +`dockerd` + +- Docker 데몬을 실행하고 특정 소켓(UNIX 및 TCP)을 수신하도록 설정: + +`dockerd --host unix://{{경로/대상/tmp.sock}} --host tcp://{{IP}}` + +- 특정 데몬 PID 파일로 실행: + +`dockerd --pidfile {{경로/대상/PID_파일}}` + +- 디버그 모드로 실행: + +`dockerd --debug` + +- 특정 로그 레벨로 실행: + +`dockerd --log-level {{debug|info|warn|error|fatal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olphin.md b/pages.ko/linux/dolphi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7b0d92cd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olphin.md @@ -0,0 +1,33 @@ +# dolphin + +> KDE의 파일 관리자로, 파일 및 디렉토리를 관리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nautilus`, `caja`, `thunar`, `ranger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 관리자 실행: + +`dolphin` + +- 특정 디렉토리 열기: + +`dolphin {{경로/대상/폴더1 경로/대상/폴더2 ...}}` + +- 특정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선택하여 열기: + +`dolphin --select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1 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2 ...}}` + +- 새 창 열기: + +`dolphin --new-window` + +- 특정 디렉토리를 분할 뷰로 열기: + +`dolphin --split {{경로/대상/폴더1}} {{경로/대상/폴더2}}` + +- 데몬 실행 (D-Bus 인터페이스 사용 시에만 필요): + +`dolphin --daemon` + +- 도움말 표시: + +`dolphin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os2unix.md b/pages.ko/linux/dos2unix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52d2118a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os2unix.md @@ -0,0 +1,22 @@ +# dos2unix + +> DOS 스타일의 줄 바꿈을 Unix 스타일로 변경. +> CRLF를 LF로 대체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unix2dos`, `unix2mac`, `mac2unix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의 줄 바꿈 변경: + +`dos2unix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Unix 스타일의 줄 바꿈으로 복사본 생성: + +`dos2unix {{-n|--newfile}} {{경로/대상/파일}} {{경로/대상/새_파일}}` + +- 파일 정보 표시: + +`dos2unix {{-i|--info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바이트 순서 표시(BOM) 유지/추가/제거: + +`dos2unix --{{keep-bom|add-bom|remove-bom}}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phys-swapfile.md b/pages.ko/linux/dphys-swapfil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55c41edf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phys-swapfile.md @@ -0,0 +1,16 @@ +# dphys-swapfile + +> Debian 기반 Linux 시스템에서 스왑 파일을 관리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스왑 파일 비활성화: + +`dphys-swapfile swapoff` + +- 스왑 파일 활성화: + +`dphys-swapfile swapon` + +- 새 스왑 파일 생성: + +`dphys-swapfile setup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pigs.md b/pages.ko/linux/dpig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372c668d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pigs.md @@ -0,0 +1,24 @@ +# dpigs + +> `apt` 기반 시스템에서 설치된 패키지 중 가장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패키지를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시스템에서 가장 큰 N개의 패키지 표시: + +`dpigs --lines={{N}}` + +- 기본 dpkg [s]tatus 파일 대신 지정된 [f]파일 사용: + +`dpigs --status=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시스템에 설치된 바이너리 패키지의 가장 큰 [S]소스 패키지 표시: + +`dpigs --source` + +- 패키지 크기를 사람이 읽기 쉬운 [H]형식으로 표시: + +`dpigs --human-readable` + +- 도움말 표시: + +`dpigs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pkg-deb.md b/pages.ko/linux/dpkg-deb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f387d3ef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pkg-deb.md @@ -0,0 +1,24 @@ +# dpkg-deb + +> Debian 아카이브를 패키징, 압축 해제 및 정보 제공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패키지 정보 표시: + +`dpkg-deb --info {{경로/대상/파일.deb}}` + +- 패키지의 이름과 버전을 한 줄로 표시: + +`dpkg-deb --show {{경로/대상/파일.deb}}` + +- 패키지의 내용 나열: + +`dpkg-deb --contents {{경로/대상/파일.deb}}` + +- 패키지의 내용을 디렉토리에 추출: + +`dpkg-deb --extract {{경로/대상/파일.deb}}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지정된 디렉토리에서 패키지 생성: + +`dpkg-deb --build {{경로/대상/폴더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pkg-query.md b/pages.ko/linux/dpkg-quer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33796021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pkg-query.md @@ -0,0 +1,24 @@ +# dpkg-query + +> 설치된 패키지에 대한 정보 표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설치된 모든 패키지 나열: + +`dpkg-query --list` + +- 패턴과 일치하는 설치된 패키지 나열: + +`dpkg-query --list '{{libc6*}}'` + +- 패키지에 의해 설치된 모든 파일 나열: + +`dpkg-query --listfiles {{libc6}}` + +- 패키지에 대한 정보 표시: + +`dpkg-query --status {{libc6}}` + +- 패턴과 일치하는 파일을 소유한 패키지 검색: + +`dpkg-query --search {{/etc/ld.so.conf.d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pkg-reconfigure.md b/pages.ko/linux/dpkg-reconfigur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b32c8085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pkg-reconfigure.md @@ -0,0 +1,8 @@ +# dpkg-reconfigure + +> 이미 설치된 패키지를 재구성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하나 이상의 패키지를 재구성: + +`dpkg-reconfigure {{패키지1 패키지2 ...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pkg.md b/pages.ko/linux/dpkg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82fba083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pkg.md @@ -0,0 +1,34 @@ +# dpkg + +> Debian 패키지 관리자. +> `deb`와 같은 일부 하위 명령에는 자체 사용 설명서가 있습니다. +> 다른 패키지 관리자의 동등한 명령을 보려면 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패키지 설치: + +`dpkg -i {{경로/대상/파일.deb}}` + +- 패키지 제거: + +`dpkg -r {{패키지}}` + +- 설치된 패키지 나열: + +`dpkg -l {{패턴}}` + +- 패키지의 내용 나열: + +`dpkg -L {{패키지}}` + +- 로컬 패키지 파일의 내용 나열: + +`dpkg -c {{경로/대상/파일.deb}}` + +- 특정 파일이 어떤 패키지에 속해 있는지 확인: + +`dpkg -S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설치되었거나 이미 제거된 패키지 및 구성 파일 삭제: + +`dpkg -P {{패키지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racut.md b/pages.ko/linux/dracu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79890d99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racut.md @@ -0,0 +1,21 @@ +# dracut + +> Linux 커널을 부팅하기 위한 initramfs 이미지를 생성합니다. +> Dracut은 기본적으로 `/etc/dracut.conf`, `/etc/dracut.conf.d/*.conf`, `/usr/lib/dracut/dracut.conf.d/*.conf`의 구성 파일에서 옵션을 사용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커널에 대한 initramfs 이미지를 옵션을 덮어쓰지 않고 생성: + +`dracut` + +- 현재 커널에 대한 initramfs 이미지를 생성하고 기존 이미지를 덮어씀: + +`dracut --force` + +- 특정 커널에 대한 initramfs 이미지 생성: + +`dracut --kver {{커널_버전}}` + +- 사용 가능한 모듈 나열: + +`dracut --list-modules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rawing.md b/pages.ko/linux/drawing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0a988775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rawing.md @@ -0,0 +1,16 @@ +# drawing + +> GNOME 데스크탑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료 기본 래스터 이미지 편집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Drawing 시작: + +`drawing` + +- 특정 파일 열기: + +`drawing {{경로/대상/이미지1 경로/대상/이미지2 ...}}` + +- 새 창에서 특정 파일 열기: + +`drawing --new-window {{경로/대상/이미지1 경로/대상/이미지2 ...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ropbearconvert.md b/pages.ko/linux/dropbearconver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8b15cce8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ropbearconvert.md @@ -0,0 +1,12 @@ +# dropbearconvert + +> Dropbear와 OpenSSH 개인 키 형식 간 변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OpenSSH 개인 키를 Dropbear 형식으로 변환: + +`dropbearconvert openssh dropbear {{경로/대상/입력_키}} {{경로/대상/출력_키}}` + +- Dropbear 개인 키를 OpenSSH 형식으로 변환: + +`dropbearconvert dropbear openssh {{경로/대상/입력_키}} {{경로/대상/출력_키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ropbearkey.md b/pages.ko/linux/dropbearke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33d46879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ropbearkey.md @@ -0,0 +1,20 @@ +# dropbearkey + +> Dropbear 형식으로 SSH 키를 생성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[t]유형 ed25519의 SSH 키를 생성하여 키 [f]파일에 저장: + +`dropbearkey -t {{ed25519}} -f {{경로/대상/키_파일}}` + +- [t]유형 ecdsa의 SSH 키를 생성하여 키 [f]파일에 저장: + +`dropbearkey -t {{ecdsa}} -f {{경로/대상/키_파일}}` + +- 4096비트 키 [s]크기의 [t]유형 RSA SSH 키를 생성하여 키 [f]파일에 저장: + +`dropbearkey -t {{rsa}} -s {{4096}} -f {{경로/대상/키_파일}}` + +- 키 [f]파일의 개인 키 지문과 공개 키 출력: + +`dropbearkey -y -f {{경로/대상/키_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stat.md b/pages.ko/linux/dsta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65b962c1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stat.md @@ -0,0 +1,28 @@ +# dstat + +> 시스템 리소스 통계 생성을 위한 다재다능한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CPU, 디스크, 네트워크, 페이징 및 시스템 통계 표시: + +`dstat` + +- 5초마다 통계를 표시하고 4번만 업데이트: + +`dstat {{5}} {{4}}` + +- CPU 및 메모리 통계만 표시: + +`dstat --cpu --mem` + +- 사용 가능한 모든 dstat 플러그인 나열: + +`dstat --list` + +- 가장 많은 메모리와 CPU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표시: + +`dstat --top-mem --top-cpu` + +- 배터리 백분율 및 남은 배터리 시간 표시: + +`dstat --battery --battery-remain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uc.md b/pages.ko/linux/du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7b358018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uc.md @@ -0,0 +1,29 @@ +# duc + +> 디스크 사용량을 색인화, 검사 및 시각화하는 도구 모음. +> Duc는 파일 시스템의 폴더 누적 크기를 데이터베이스로 유지하여 이를 쿼리하거나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멋진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게 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/usr` 폴더를 색인하고 기본 데이터베이스 위치 `~/.duc.db`에 기록: + +`duc index {{/usr}}` + +- `/usr/local` 아래의 모든 파일과 폴더를 나열하고 상대적 파일 크기를 [g]그래프로 표시: + +`duc ls --classify --graph {{/usr/local}}` + +- `/usr/local` 아래의 모든 파일과 폴더를 트리뷰로 재귀적으로 나열: + +`duc ls --classify --graph --recursive {{/usr/local}}` + +- 선버스트 그래프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탐색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시작: + +`duc gui {{/usr}}` + +- 파일 시스템을 탐색하기 위한 ncurses 콘솔 인터페이스 실행: + +`duc ui {{/usr}}` + +- 데이터베이스 정보 덤프: + +`duc info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umpe2fs.md b/pages.ko/linux/dumpe2f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b9e9ddb3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umpe2fs.md @@ -0,0 +1,25 @@ +# dumpe2fs + +> ext2/ext3/ext4 파일시스템의 슈퍼블록 및 블록 그룹 정보를 출력합니다. +> `umount {{장치}}`를 사용하여 이 명령을 실행하기 전에 파티션을 마운트 해제하세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ext2, ext3 및 ext4 파일시스템 정보 표시: + +`dumpe2fs {{/dev/sdXN}}` + +- 파일시스템에서 불량으로 예약된 블록 표시: + +`dumpe2fs -b {{/dev/sdXN}}` + +- 인식할 수 없는 기능 플래그가 있어도 파일시스템 정보를 강제로 표시: + +`dumpe2fs -f {{/dev/sdXN}}` + +- 슈퍼블록 정보만 표시하고 블록 그룹 설명자 세부 정보는 표시하지 않음: + +`dumpe2fs -h {{/dev/sdXN}}` + +- 그룹의 세부 정보 블록 번호를 16진수 형식으로 출력: + +`dumpe2fs -x {{/dev/sdXN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unstctl.md b/pages.ko/linux/dunstct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91384970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unstctl.md @@ -0,0 +1,20 @@ +# dunstctl + +> `dunst` 제어 명령어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알림 일시 중지: + +`dunstctl set-paused true` + +- 알림 일시 중지 해제: + +`dunstctl set-paused false` + +- 모든 알림 닫기: + +`dunstctl close-all` + +- 도움말 표시: + +`dunstctl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unstify.md b/pages.ko/linux/dunstif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29782561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unstify.md @@ -0,0 +1,21 @@ +# dunstify + +> `notify-send`의 확장 기능을 가진 알림 도구로, `dunst`를 중심으로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합니다. +> `notify-send`의 모든 옵션을 수용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제목과 메시지로 알림 표시: + +`dunstify "{{제목}}" "{{메시지}}"` + +- 지정된 긴급도로 알림 표시: + +`dunstify "{{제목}}" "{{메시지}}" -u {{low|normal|critical}}` + +- 메시지 ID 지정 (같은 ID의 이전 메시지를 덮어씀): + +`dunstify "{{제목}}" "{{메시지}}" -r {{123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dunstify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uperemove.md b/pages.ko/linux/duperemov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4a46ad37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uperemove.md @@ -0,0 +1,22 @@ +# duperemove + +> 중복 파일 시스템 익스텐트를 찾아 중복 제거를 예약합니다. +> 익스텐트는 파일 시스템 내 파일의 작은 부분입니다. +> 일부 파일 시스템에서는 파일의 내용이 동일할 경우 하나의 익스텐트를 여러 번 참조할 수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디렉토리에서 중복 익스텐트를 검색하고 표시: + +`duperemove -r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Btrfs 또는 XFS(실험적) 파일 시스템에서 중복 익스텐트를 중복 제거: + +`duperemove -r -d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해시 파일을 사용하여 익스텐트 해시를 저장 (메모리 사용량 감소 및 이후 실행에서 재사용 가능): + +`duperemove -r -d --hashfile={{경로/대상/해시파일}}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I/O 스레드(해싱 및 중복 제거 단계) 및 CPU 스레드(중복 익스텐트 찾기 단계) 제한: + +`duperemove -r -d --hashfile={{경로/대상/해시파일}} --io-threads={{N}} --cpu-threads={{N}} {{경로/대상/폴더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dysk.md b/pages.ko/linux/dysk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feca1543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dysk.md @@ -0,0 +1,24 @@ +# dysk + +> 파일 시스템 정보를 표 형식으로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일반 디스크에 대한 표준 개요 확인: + +`dysk` + +- 여유 크기로 정렬: + +`dysk --sort free` + +- HDD 디스크만 포함: + +`dysk --filter 'disk = HDD'` + +- SSD 디스크 제외: + +`dysk --filter 'disk <> SSD'` + +- 높은 사용률 또는 낮은 여유 공간을 가진 디스크 표시: + +`dysk --filter 'use > 65% | free < 50G'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