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irror of
https://github.com/tldr-pages/tldr.git
synced 2025-03-28 21:16:20 +01:00
systemctl-reboot,systemd-*: add and update Korean translation (#14032)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parent
18cd009db9
commit
433fd479b1
33 changed files with 720 additions and 0 deletions
12
pages.ko/linux/systemctl-reboot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systemctl-reboot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systemctl reboot
|
||||
|
||||
> 시스템 재부팅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ctl.html#reboot>.
|
||||
|
||||
- 시스템 재부팅:
|
||||
|
||||
`systemctl reboot`
|
||||
|
||||
- BIOS/UEFI 메뉴로 재부팅:
|
||||
|
||||
`systemctl reboot --firmware-setup`
|
12
pages.ko/linux/systemd-ac-power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systemd-ac-pow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systemd-ac-power
|
||||
|
||||
> 컴퓨터가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지 보고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ac-power.html>.
|
||||
|
||||
- 조용히 확인하고 AC 전원에 연결되어 있을 때 0 상태 코드를 반환하고, 그렇지 않을 경우 비영 상태 코드를 반환:
|
||||
|
||||
`systemd-ac-power`
|
||||
|
||||
- 추가적으로 `stdout`에 `yes` 또는 `no`를 출력:
|
||||
|
||||
`systemd-ac-power --verbose`
|
25
pages.ko/linux/systemd-analyze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systemd-analyz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
# systemd-analyze
|
||||
|
||||
> 시스템 관리자를 분석하고 디버그하는 도구.
|
||||
> 유닛(서비스, 마운트 포인트, 장치, 소켓)의 부팅 프로세스에 대한 타이밍 세부정보를 표시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analyze.html>.
|
||||
|
||||
- 초기화에 걸린 시간 순서대로 실행 중인 모든 유닛 나열:
|
||||
|
||||
`systemd-analyze blame`
|
||||
|
||||
- 시간에 민감한 유닛 체인의 트리 출력:
|
||||
|
||||
`systemd-analyze critical-chain`
|
||||
|
||||
- 각 시스템 서비스가 시작된 시간을 보여주는 SVG 파일 생성, 초기화에 소요된 시간을 강조 표시:
|
||||
|
||||
`systemd-analyze plot > {{경로/대상/file.svg}}`
|
||||
|
||||
- 의존성 그래프를 그려 SVG 파일로 변환:
|
||||
|
||||
`systemd-analyze dot | dot -T{{svg}} > {{경로/대상/file.svg}}`
|
||||
|
||||
- 실행 중인 유닛의 보안 점수 표시:
|
||||
|
||||
`systemd-analyze security`
|
28
pages.ko/linux/systemd-ask-password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systemd-ask-password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systemd-ask-password
|
||||
|
||||
> 시스템 비밀번호를 사용자에게 요청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ask-password.html>.
|
||||
|
||||
- 특정 메시지와 함께 시스템 비밀번호 요청:
|
||||
|
||||
`systemd-ask-password "{{메시지}}"`
|
||||
|
||||
- 비밀번호 요청에 식별자 지정:
|
||||
|
||||
`systemd-ask-password --id={{식별자}} "{{메시지}}"`
|
||||
|
||||
- 커널 키링 키 이름을 비밀번호 캐시로 사용:
|
||||
|
||||
`systemd-ask-password --keyname={{키_이름}} "{{메시지}}"`
|
||||
|
||||
- 비밀번호 요청에 사용자 정의 시간 초과 설정:
|
||||
|
||||
`systemd-ask-password --timeout={{초}} "{{메시지}}"`
|
||||
|
||||
- 에이전트 시스템을 강제로 사용하고 현재 TTY에서 묻지 않음:
|
||||
|
||||
`systemd-ask-password --no-tty "{{메시지}}"`
|
||||
|
||||
- 비밀번호를 표시하지 않고 커널 키링에 저장:
|
||||
|
||||
`systemd-ask-password --no-output --keyname={{키_이름}} "{{메시지}}"`
|
12
pages.ko/linux/systemd-cat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systemd-cat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systemd-cat
|
||||
|
||||
> 파이프라인 또는 프로그램의 출력 스트림을 systemd 저널과 연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cat.html>.
|
||||
|
||||
- 지정한 명령의 출력을 저널에 기록 (모든 출력 스트림이 캡처됨):
|
||||
|
||||
`systemd-cat {{명령}}`
|
||||
|
||||
- 파이프라인의 출력을 저널에 기록 (`stderr`는 터미널에 연결된 상태 유지):
|
||||
|
||||
`{{명령}} | systemd-cat`
|
16
pages.ko/linux/systemd-cgls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systemd-cgls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systemd-cgls
|
||||
|
||||
> 선택된 Linux 제어 그룹 계층의 내용을 트리 형태로 보여줍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cgls.html>.
|
||||
|
||||
- 시스템의 전체 제어 그룹 계층 표시:
|
||||
|
||||
`systemd-cgls`
|
||||
|
||||
- 특정 리소스 컨트롤러의 제어 그룹 트리 표시:
|
||||
|
||||
`systemd-cgls {{cpu|memory|io}}`
|
||||
|
||||
- 하나 이상의 systemd 유닛의 제어 그룹 계층 표시:
|
||||
|
||||
`systemd-cgls --unit {{unit1 unit2 ...}}`
|
25
pages.ko/linux/systemd-cgtop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systemd-cgtop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
# systemd-cgtop
|
||||
|
||||
> 로컬 Linux 제어 그룹 계층의 최상위 제어 그룹을 CPU, 메모리, 디스크 I/O 부하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.
|
||||
> 같이 보기: `top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cgtop.html>.
|
||||
|
||||
- 대화형 보기 시작:
|
||||
|
||||
`systemd-cgtop`
|
||||
|
||||
- 정렬 순서 변경:
|
||||
|
||||
`systemd-cgtop --order={{cpu|memory|path|tasks|io}}`
|
||||
|
||||
- CPU 사용량을 백분율 대신 시간으로 표시:
|
||||
|
||||
`systemd-cgtop --cpu=percentage`
|
||||
|
||||
- 업데이트 간격을 초(또는 이러한 시간 단위 중 하나: `ms`, `us`, `min`)로 변경:
|
||||
|
||||
`systemd-cgtop --delay={{간격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공간 프로세스만 계산 (커널 스레드는 제외):
|
||||
|
||||
`systemd-cgtop -P`
|
9
pages.ko/linux/systemd-confext.md
Normal file
9
pages.ko/linux/systemd-confext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
# systemd-confext
|
||||
|
||||
> 이 명령은 `systemd-sysext`의 별칭입니다.
|
||||
> `/usr` 및 `/opt`에서 작동하는 `systemd-sysext`와 같은 원리를 따르지만, `confext`는 오직 `/etc`만 확장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latest/systemd-sysext.html>.
|
||||
|
||||
- 원래 명령의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systemd-sysext`
|
24
pages.ko/linux/systemd-creds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ystemd-cred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systemd-creds
|
||||
|
||||
> 서비스 자격 증명을 나열, 표시, 암호화 및 복호화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creds.html>.
|
||||
|
||||
- 파일을 암호화하고 특정 이름 설정:
|
||||
|
||||
`systemd-creds encrypt --name={{이름}}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}} {{경로/대상/출력}}`
|
||||
|
||||
- 파일을 다시 복호화:
|
||||
|
||||
`systemd-creds decrypt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}}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}}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텍스트 암호화:
|
||||
|
||||
`echo -n {{텍스트}} | systemd-creds encrypt --name={{이름}} - {{경로/대상/출력}}`
|
||||
|
||||
- 텍스트를 암호화하고 서비스 파일에 추가 (자격 증명은 `$CREDENTIALS_DIRECTORY`에서 사용 가능):
|
||||
|
||||
`echo -n {{텍스트}} | systemd-creds encrypt --name={{이름}} --pretty - - >> {{서비스}}`
|
||||
|
||||
- 주어진 타임스탬프까지 유효한 자격 증명 생성:
|
||||
|
||||
`systemd-creds encrypt --not-after="{{타임스탬프}}"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}}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}}`
|
37
pages.ko/linux/systemd-cryptenroll.md
Normal file
37
pages.ko/linux/systemd-cryptenroll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
# systemd-cryptenroll
|
||||
|
||||
> LUKS2로 암호화된 장치를 잠금 해제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을 대화식으로 등록하거나 제거합니다. 별도로 지정하지 않으면 암호를 사용하여 장치를 잠금 해제합니다.
|
||||
> 시스템 부팅 시 파티션을 잠금 해제하려면 `/etc/crypttab` 파일이나 initramfs를 업데이트해야 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cryptenroll.html>.
|
||||
|
||||
- 새 비밀번호 등록 (`cryptsetup luksAddKey`와 유사):
|
||||
|
||||
`systemd-cryptenroll --password {{경로/대상/luks2_블록_장치}}`
|
||||
|
||||
- 새 복구 키 등록 (즉, 대체로 사용할 수 있는 무작위 생성 암호):
|
||||
|
||||
`systemd-cryptenroll --recovery-key {{경로/대상/luks2_블록_장치}}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토큰 목록 나열 또는 새 PKCS#11 토큰 등록:
|
||||
|
||||
`systemd-cryptenroll --pkcs11-token-uri {{list|auto|pkcs11_토큰_uri}} {{경로/대상/luks2_블록_장치}}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FIDO2 장치 목록 나열 또는 새 FIDO2 장치 등록 (`auto`는 토큰이 하나만 연결되어 있을 때 장치 이름으로 사용 가능):
|
||||
|
||||
`systemd-cryptenroll --fido2-device {{list|auto|경로/대상/fido2_hidraw_장치}} {{경로/대상/luks2_블록_장치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인증(생체 인식)과 함께 새 FIDO2 장치 등록:
|
||||
|
||||
`systemd-cryptenroll --fido2-device {{auto|경로/대상/fido2_hidraw_장치}} --fido2-with-user-verification yes {{경로/대상/luks2_블록_장치}}`
|
||||
|
||||
- FIDO2 장치를 사용하여 잠금 해제하고 새 FIDO2 장치 등록:
|
||||
|
||||
`systemd-cryptenroll --unlock-fido2-device {{경로/대상/fido2_hidraw_잠금_해제_장치}} --fido2-device {{경로/대상/fido2_hidraw_등록_장치}} {{경로/대상/luks2_블록_장치}}`
|
||||
|
||||
- TPM2 보안 칩 등록 (보안 부팅 정책 PCR만) 및 추가적인 영문자 PIN 필요:
|
||||
|
||||
`systemd-cryptenroll --tpm2-device {{auto|경로/대상/tpm2_블록_장치}} --tpm2-with-pin yes {{경로/대상/luks2_블록_장치}}`
|
||||
|
||||
- 모든 빈 비밀번호/모든 비밀번호/모든 FIDO2 장치/모든 PKCS#11 토큰/모든 TPM2 보안 칩/모든 복구 키/모든 방법 제거:
|
||||
|
||||
`systemd-cryptenroll --wipe-slot {{empty|password|fido2|pkcs#11|tpm2|recovery|all}} {{경로/대상/luks2_블록_장치}}`
|
20
pages.ko/linux/systemd-delta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ystemd-delta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systemd-delta
|
||||
|
||||
> 재정의된 systemd 관련 설정 파일을 찾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delta.html>.
|
||||
|
||||
- 모든 재정의된 설정 파일 표시:
|
||||
|
||||
`systemd-delta`
|
||||
|
||||
- 특정 유형의 파일만 표시 (쉼표로 구분된 목록):
|
||||
|
||||
`systemd-delta --type {{masked|equivalent|redirected|overridden|extended|unchanged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접두사로 시작하는 경로의 파일만 표시 (참고: 접두사는 systemd 설정 파일이 있는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디렉토리입니다):
|
||||
|
||||
`systemd-delta {{/etc|/run|/usr/lib|...}}`
|
||||
|
||||
- 접미사를 추가하여 검색 경로를 더 제한 (접두사는 선택 사항):
|
||||
|
||||
`systemd-delta {{접두사}}/{{tmpfiles.d|sysctl.d|systemd/system|...}}`
|
24
pages.ko/linux/systemd-detect-virt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ystemd-detect-vir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systemd-detect-virt
|
||||
|
||||
> 가상화된 환경에서 실행 여부를 감지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detect-virt.html>.
|
||||
|
||||
- 감지 가능한 가상화 기술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systemd-detect-virt --list`
|
||||
|
||||
- 가상화 여부를 감지하고 결과를 출력하며, VM이나 컨테이너에서 실행 중이면 0 상태 코드를 반환하고, 그렇지 않으면 0이 아닌 코드를 반환:
|
||||
|
||||
`systemd-detect-virt`
|
||||
|
||||
-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고 조용히 확인:
|
||||
|
||||
`systemd-detect-virt --quiet`
|
||||
|
||||
- 컨테이너 가상화만 감지:
|
||||
|
||||
`systemd-detect-virt --container`
|
||||
|
||||
- 하드웨어 가상화만 감지:
|
||||
|
||||
`systemd-detect-virt --vm`
|
28
pages.ko/linux/systemd-dissect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systemd-dissec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systemd-dissect
|
||||
|
||||
> 파일 시스템 OS 디스크 이미지, 특히 Discoverable Disk Images (DDIs)를 검사하고 상호작용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latest/systemd-dissect.html>.
|
||||
|
||||
- OS 이미지에 대한 일반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ystemd-dissect {{경로/대상/image.raw}}`
|
||||
|
||||
- OS 이미지 마운트:
|
||||
|
||||
`systemd-dissect --mount {{경로/대상/image.raw}} {{/mnt/image}}`
|
||||
|
||||
- OS 이미지 언마운트:
|
||||
|
||||
`systemd-dissect --umount {{/mnt/image}}`
|
||||
|
||||
- 이미지 내 파일 목록 나열:
|
||||
|
||||
`systemd-dissect --list {{경로/대상/image.raw}}`
|
||||
|
||||
- OS 이미지를 자동으로 할당된 루프백 블록 장치에 연결하고 경로 출력:
|
||||
|
||||
`systemd-dissect --attach {{경로/대상/image.raw}}`
|
||||
|
||||
- 루프백 블록 장치에서 OS 이미지 분리:
|
||||
|
||||
`systemd-dissect --detach {{경로/대상/장치}}`
|
24
pages.ko/linux/systemd-escape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ystemd-escap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systemd-escape
|
||||
|
||||
> systemd 유닛 이름에서 사용할 문자열을 이스케이프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escape.html>.
|
||||
|
||||
- 주어진 텍스트 이스케이프:
|
||||
|
||||
`systemd-escape {{텍스트}}`
|
||||
|
||||
- 이스케이프 처리 역전:
|
||||
|
||||
`systemd-escape --unescape {{텍스트}}`
|
||||
|
||||
- 주어진 텍스트를 경로로 처리:
|
||||
|
||||
`systemd-escape --path {{텍스트}}`
|
||||
|
||||
- 이스케이프된 텍스트에 주어진 접미사 추가:
|
||||
|
||||
`systemd-escape --suffix {{접미사}} {{텍스트}}`
|
||||
|
||||
- 템플릿을 사용하여 이스케이프된 텍스트 삽입:
|
||||
|
||||
`systemd-escape --template {{템플릿}} {{텍스트}}`
|
36
pages.ko/linux/systemd-firstboot.md
Normal file
36
pages.ko/linux/systemd-firstboot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systemd-firstboot
|
||||
|
||||
> 시스템의 첫 부팅 시 또는 부팅 전에 기본 시스템 설정 초기화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firstboot.html>.
|
||||
|
||||
- 호스트 시스템의 루트 디렉토리 대신 지정된 디렉토리에서 작동:
|
||||
|
||||
`sudo systemd-firstboot --root={{경로/대상/루트_디렉토리}}`
|
||||
|
||||
- 시스템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:
|
||||
|
||||
`sudo systemd-firstboot --keymap={{키맵}}`
|
||||
|
||||
- 시스템 호스트명 설정:
|
||||
|
||||
`sudo systemd-firstboot --hostname={{호스트명}}`
|
||||
|
||||
- 루트 사용자의 비밀번호 설정:
|
||||
|
||||
`sudo systemd-firstboot --root-password={{비밀번호}}`
|
||||
|
||||
- 특정 기본 설정을 사용자에게 인터랙티브하게 요청:
|
||||
|
||||
`sudo systemd-firstboot --prompt={{설정}}`
|
||||
|
||||
- 관련 파일이 이미 존재해도 강제로 설정 작성:
|
||||
|
||||
`sudo systemd-firstboot --force`
|
||||
|
||||
- `systemd-firstboot`에 의해 설정된 기존 파일 모두 제거:
|
||||
|
||||
`sudo systemd-firstboot --reset`
|
||||
|
||||
- 시스템의 루트 사용자의 비밀번호 제거:
|
||||
|
||||
`sudo systemd-firstboot --delete-root-password`
|
24
pages.ko/linux/systemd-hwdb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ystemd-hwdb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systemd-hwdb
|
||||
|
||||
> 하드웨어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hwdb.html>.
|
||||
|
||||
- `/etc/udev`의 바이너리 하드웨어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systemd-hwdb update`
|
||||
|
||||
- 하드웨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특정 모달리아스에 대한 결과 출력:
|
||||
|
||||
`systemd-hwdb query {{모달리아스}}`
|
||||
|
||||
- 구문 오류 발생 시 0이 아닌 종료 값을 반환하며 바이너리 하드웨어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systemd-hwdb --strict update`
|
||||
|
||||
- `/usr/lib/udev`의 바이너리 하드웨어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systemd-hwdb --usr update`
|
||||
|
||||
- 지정된 루트 경로의 바이너리 하드웨어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systemd-hwdb --root={{경로/대상/루트}} update`
|
24
pages.ko/linux/systemd-id128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ystemd-id128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systemd-id128
|
||||
|
||||
> sd-128 식별자를 생성하고 출력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id128.html>.
|
||||
|
||||
- 새로운 랜덤 식별자 생성:
|
||||
|
||||
`systemd-id128 new`
|
||||
|
||||
- 현재 머신의 식별자 출력:
|
||||
|
||||
`systemd-id128 machine-id`
|
||||
|
||||
- 현재 부팅의 식별자 출력:
|
||||
|
||||
`systemd-id128 boot-id`
|
||||
|
||||
- 현재 서비스 호출의 식별자 출력 (systemd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):
|
||||
|
||||
`systemd-id128 invocation-id`
|
||||
|
||||
- 새로운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고 UUID 형식으로 출력 (하이픈으로 구분된 다섯 그룹의 숫자):
|
||||
|
||||
`systemd-id128 new --uuid`
|
29
pages.ko/linux/systemd-inhibit.md
Normal file
29
pages.ko/linux/systemd-inhibi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9 @@
|
|||
# systemd-inhibit
|
||||
|
||||
> 특정 전원 상태로의 진입을 금지.
|
||||
> 인히비터 잠금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절전 및 종료 요청을 차단하거나 지연시키고 자동 유휴 처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inhibit.html>.
|
||||
|
||||
- 활성화된 모든 인히비션 잠금과 생성 이유 나열:
|
||||
|
||||
`systemd-inhibit --list`
|
||||
|
||||
- 지정된 초 동안 `sleep` 명령으로 시스템 종료 차단:
|
||||
|
||||
`systemd-inhibit --what shutdown sleep {{5}}`
|
||||
|
||||
- 다운로드가 완료될 때까지 시스템이 절전 또는 유휴 상태로 가지 않도록 유지:
|
||||
|
||||
`systemd-inhibit --what sleep:idle wget {{https://example.com/file}}`
|
||||
|
||||
- 스크립트가 종료될 때까지 노트북 덮개 닫힘 스위치 무시:
|
||||
|
||||
`systemd-inhibit --what sleep:handle-lid-switch {{경로/대상/스크립트}}`
|
||||
|
||||
- 명령이 실행되는 동안 전원 버튼 누름 무시:
|
||||
|
||||
`systemd-inhibit --what handle-power-key {{명령}}`
|
||||
|
||||
- 누가, 왜 인히비터를 생성했는지 설명 (기본값: `--who`의 경우 명령과 인수, `--why`의 경우 '알 수 없는 이유'):
|
||||
|
||||
`systemd-inhibit --who {{$USER}} --why {{이유}} --what {{작업}} {{명령}}`
|
21
pages.ko/linux/systemd-machine-id-setup.md
Normal file
21
pages.ko/linux/systemd-machine-id-setup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
# systemd-machine-id-setup
|
||||
|
||||
> 설치 시 `/etc/machine-id`에 저장된 머신 ID를 프로비저닝된 ID 또는 무작위로 생성된 ID로 초기화.
|
||||
> 참고: 이러한 명령은 높은 권한이 필요하므로 항상 `sudo`를 사용하여 실행해야 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machine-id-setup.html>.
|
||||
|
||||
- 생성되거나 커밋된 머신 ID 출력:
|
||||
|
||||
`systemd-machine-id-setup --print`
|
||||
|
||||
- 이미지 정책 지정:
|
||||
|
||||
`systemd-machine-id-setup --image-policy={{your_policy}}`
|
||||
|
||||
- 출력을 JSON 형식으로 표시:
|
||||
|
||||
`sudo systemd-machine-id-setup --json=pretty`
|
||||
|
||||
- 디렉터리 트리 대신 디스크 이미지에서 작업 수행:
|
||||
|
||||
`systemd-machine-id-setup --image={{/경로/대상/이미지}}`
|
32
pages.ko/linux/systemd-mount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systemd-mount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systemd-mount
|
||||
|
||||
> 일시적인 마운트 또는 자동 마운트 포인트를 설정하고 제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mount.html>.
|
||||
|
||||
- 파일 시스템(이미지 또는 블록 장치)을 `/run/media/system/LABEL`에 마운트. LABEL은 파일 시스템 레이블이거나 레이블이 없는 경우 장치 이름:
|
||||
|
||||
`systemd-mount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장치}}`
|
||||
|
||||
- 파일 시스템(이미지 또는 블록 장치)을 특정 위치에 마운트:
|
||||
|
||||
`systemd-mount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장치}} {{경로/대상/마운트_포인트}}`
|
||||
|
||||
- 마운트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을 가진 모든 로컬, 알려진 블록 장치 나열:
|
||||
|
||||
`systemd-mount --list`
|
||||
|
||||
- 첫 번째 접근 시 실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는 자동 마운트 포인트 생성:
|
||||
|
||||
`systemd-mount --automount=yes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장치}}`
|
||||
|
||||
- 하나 이상의 장치 언마운트:
|
||||
|
||||
`systemd-mount --umount {{경로/대상/마운트_포인트_또는_장치1}} {{경로/대상/마운트_포인트_또는_장치2}}`
|
||||
|
||||
- 특정 파일 시스템 유형으로 파일 시스템(이미지 또는 블록 장치) 마운트:
|
||||
|
||||
`systemd-mount --type={{파일_시스템_유형}}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장치}} {{경로/대상/마운트_포인트}}`
|
||||
|
||||
- 추가 마운트 옵션으로 파일 시스템(이미지 또는 블록 장치) 마운트:
|
||||
|
||||
`systemd-mount --options={{마운트_옵션}}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장치}} {{경로/대상/마운트_포인트}}`
|
17
pages.ko/linux/systemd-notify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systemd-notify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systemd-notify
|
||||
|
||||
> 시작 완료 및 기타 데몬 상태 변경 사항을 서비스 관리자에게 알림.
|
||||
> 이 명령은 systemd 서비스 스크립트 외부에서는 쓸모가 없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notify.html>.
|
||||
|
||||
- 서비스가 초기화를 완료하고 완전히 시작되었음을 systemd에 알림. 서비스가 들어오는 요청을 처리할 준비가 되었을 때 호출해야 함:
|
||||
|
||||
`systemd-notify --booted`
|
||||
|
||||
- 서비스가 들어오는 연결을 처리하거나 작업을 수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systemd에 신호:
|
||||
|
||||
`systemd-notify --ready`
|
||||
|
||||
- systemd에 사용자 정의 상태 메시지 제공 (`systemctl status`에 의해 표시됨):
|
||||
|
||||
`systemd-notify --status="{{여기에 사용자 정의 상태 메시지를 추가하세요...}}"`
|
20
pages.ko/linux/systemd-nspawn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ystemd-nspawn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systemd-nspawn
|
||||
|
||||
> 경량 컨테이너에서 명령이나 운영 체제를 실행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latest/systemd-nspawn.html>.
|
||||
|
||||
- 컨테이너에서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systemd-nspawn --directory {{경로/대상/컨테이너_루트}}`
|
||||
|
||||
- 컨테이너에서 전체 Linux 기반 운영 체제 실행:
|
||||
|
||||
`systemd-nspawn --boot --directory {{경로/대상/컨테이너_루트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명령을 컨테이너에서 PID 2로 실행 (PID 1 대신)하고, 초기화 프로세스 스텁 사용:
|
||||
|
||||
`systemd-nspawn --directory {{경로/대상/컨테이너_루트}} --as-pid2`
|
||||
|
||||
- 머신 이름과 호스트 이름 지정:
|
||||
|
||||
`systemd-nspawn --machine={{컨테이너_이름}} --hostname={{컨테이너_호스트}} --directory {{경로/대상/컨테이너_루트}}`
|
20
pages.ko/linux/systemd-path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ystemd-path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systemd-path
|
||||
|
||||
> 시스템 및 사용자 경로를 나열하고 조회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path.html>.
|
||||
|
||||
- 알려진 경로와 현재 값을 나열:
|
||||
|
||||
`systemd-path`
|
||||
|
||||
- 지정된 경로를 조회하고 값을 표시:
|
||||
|
||||
`systemd-path "{{경로_이름}}"`
|
||||
|
||||
- 출력된 경로에 `{{suffix_string}}` 접미사를 추가:
|
||||
|
||||
`systemd-path --suffix {{suffix_string}}`
|
||||
|
||||
- 짧은 버전 문자열을 출력하고 종료:
|
||||
|
||||
`systemd-path --version`
|
18
pages.ko/linux/systemd-repart.md
Normal file
18
pages.ko/linux/systemd-repart.md
Normal file
|
@ -0,0 +1,18 @@
|
|||
# systemd-repart
|
||||
|
||||
> 자동으로 파티션을 확장하고 추가.
|
||||
> repart.d에 설명된 구성 파일을 기반으로 파티션을 확장하고 추가합니다.
|
||||
>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 크기를 자동으로 조정하지 않습니다. 파일 시스템 확장을 위해 systemd-growfs를 참조하세요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repart.html>.
|
||||
|
||||
- 루트 파티션 (/)을 사용 가능한 모든 디스크 공간으로 확장:
|
||||
|
||||
`systemd-repart`
|
||||
|
||||
- 변경 사항을 적용하지 않고 보기:
|
||||
|
||||
`systemd-repart --dry-run=yes`
|
||||
|
||||
- 루트 파티션 크기를 10기가바이트로 확장:
|
||||
|
||||
`systemd-repart --size=10G --root /`
|
9
pages.ko/linux/systemd-resolve.md
Normal file
9
pages.ko/linux/systemd-resolve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
# systemd-resolve
|
||||
|
||||
> 도메인 이름, IPv4 및 IPv6 주소, DNS 리소스 레코드 및 서비스를 해석.
|
||||
> 참고: 이 도구는 `systemd`의 새로운 버전에서 `resolvectl`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ystemd-resolve>.
|
||||
|
||||
- `resolvectl`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resolvectl`
|
36
pages.ko/linux/systemd-run.md
Normal file
36
pages.ko/linux/systemd-run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systemd-run
|
||||
|
||||
> 프로그램을 일시적 범위 단위, 서비스 단위, 경로, 소켓 또는 타이머로 트리거된 서비스 단위로 실행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run.html>.
|
||||
|
||||
- 일시적 서비스를 시작:
|
||||
|
||||
`sudo systemd-run {{명령어}} {{인수1 인수2 ...}}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의 서비스 관리자에서 (권한 없이) 일시적 서비스를 시작:
|
||||
|
||||
`systemd-run --user {{명령어}} {{인수1 인수2 ...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정의 단위 이름과 설명을 사용하여 일시적 서비스를 시작:
|
||||
|
||||
`sudo systemd-run --unit={{이름}} --description={{문자열}} {{명령어}} {{인수1 인수2 ...}}`
|
||||
|
||||
- 종료 후 정리되지 않는 일시적 서비스와 사용자 정의 환경 변수를 사용하여 시작:
|
||||
|
||||
`sudo systemd-run --remain-after-exit --set-env={{이름}}={{값}} {{명령어}} {{인수1 인수2 ...}}`
|
||||
|
||||
- 주기적으로 일시적 서비스를 실행하는 일시적 타이머 시작 (캘린더 이벤트 형식은 `man systemd.time` 참조):
|
||||
|
||||
`sudo systemd-run --on-calendar={{캘린더_이벤트}} {{명령어}} {{인수1 인수2 ...}}`
|
||||
|
||||
- 터미널을 프로그램과 공유하여 상호작용 입력/출력을 허용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 실행 세부정보를 유지:
|
||||
|
||||
`systemd-run --remain-after-exit --pty {{명령어}}`
|
||||
|
||||
- 프로세스의 속성 (예: CPUQuota, MemoryMax)을 설정하고 종료될 때까지 대기:
|
||||
|
||||
`systemd-run --property MemoryMax={{메모리_바이트}} --property CPUQuota={{CPU_시간_비율}}% --wait {{명령어}}`
|
||||
|
||||
- 셸 파이프라인에서 프로그램 사용:
|
||||
|
||||
`{{명령어1}} | systemd-run --pipe {{명령어2}} | {{명령어3}}`
|
24
pages.ko/linux/systemd-socket-activate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ystemd-socket-activat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systemd-socket-activate
|
||||
|
||||
> systemd 서비스의 소켓 활성화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latest/systemd-socket-activate.html>.
|
||||
|
||||
- 특정 소켓이 연결되었을 때 서비스를 활성화:
|
||||
|
||||
`systemd-socket-activate {{경로/대상/socket.service}}`
|
||||
|
||||
- 서비스에 대해 여러 소켓을 활성화:
|
||||
|
||||
`systemd-socket-activate {{경로/대상/socket1.service}} {{경로/대상/socket2.service}}`
|
||||
|
||||
- 활성화되는 서비스에 환경 변수를 전달:
|
||||
|
||||
`{{SYSTEMD_SOCKET_ACTIVATION=1}} systemd-socket-activate {{경로/대상/socket.service}}`
|
||||
|
||||
- 알림 소켓과 함께 서비스를 활성화:
|
||||
|
||||
`systemd-socket-activate {{경로/대상/socket.socket}} {{경로/대상/service.service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포트로 서비스를 활성화:
|
||||
|
||||
`systemd-socket-activate {{경로/대상/socket.service}} -l {{8080}}`
|
21
pages.ko/linux/systemd-stdio-bridge.md
Normal file
21
pages.ko/linux/systemd-stdio-bridg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
# systemd-stdio-bridge
|
||||
|
||||
> `stdin`/`stdout`와 D-Bus 사이에 프록시를 구현합니다.
|
||||
> 참고: 시작 시 `stdin`/`stdout`을 통해 열린 연결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으며, 지정된 버스로 새로운 연결을 생성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latest/systemd-stdio-bridge.html>.
|
||||
|
||||
- `stdin`/`stdout`을 로컬 시스템 버스로 전달:
|
||||
|
||||
`systemd-stdio-bridge`
|
||||
|
||||
- `stdin`/`stdout`을 특정 사용자의 D-Bus로 전달:
|
||||
|
||||
`systemd-stdio-bridge --{{사용자_명}}`
|
||||
|
||||
- 특정 컨테이너 내에서 `stdin`/`stdout`을 로컬 시스템 버스로 전달:
|
||||
|
||||
`systemd-stdio-bridge --machine={{mycontainer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지정 D-Bus 주소로 `stdin`/`stdout` 전달:
|
||||
|
||||
`systemd-stdio-bridge --bus-path=unix:path={{/custom/dbus/socket}}`
|
24
pages.ko/linux/systemd-sysext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ystemd-sysex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systemd-sysext
|
||||
|
||||
> 시스템 확장 이미지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sysext.html>.
|
||||
|
||||
- 설치된 확장 이미지 나열:
|
||||
|
||||
`systemd-sysext list`
|
||||
|
||||
- 시스템 확장 이미지를 `/usr/` 및 `/opt/`에 병합:
|
||||
|
||||
`systemd-sysext merge`
|
||||
|
||||
- 현재 병합 상태 확인:
|
||||
|
||||
`systemd-sysext status`
|
||||
|
||||
- 현재 설치된 모든 시스템 확장 이미지를 `/usr/` 및 `/opt/`에서 제거:
|
||||
|
||||
`systemd-sysext unmerge`
|
||||
|
||||
- 시스템 확장 이미지 새로 고침 (`unmerge` 및 `merge`의 조합):
|
||||
|
||||
`systemd-sysext refresh`
|
17
pages.ko/linux/systemd-sysusers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systemd-sysusers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systemd-sysusers
|
||||
|
||||
> 시스템 사용자 및 그룹 생성.
|
||||
> 구성 파일이 지정되지 않으면 `sysusers.d` 디렉토리의 파일이 사용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sysusers.html>.
|
||||
|
||||
- 특정 구성 파일에서 사용자 및 그룹 생성:
|
||||
|
||||
`systemd-sysusers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구성 파일을 처리하고 실제로 실행하지 않고 수행될 작업을 출력:
|
||||
|
||||
`systemd-sysusers --dry-run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모든 구성 파일의 내용을 출력 (각 파일 앞에는 해당 파일 이름이 주석으로 출력됨):
|
||||
|
||||
`systemd-sysusers --cat-config`
|
25
pages.ko/linux/systemd-tmpfiles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systemd-tmpfile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
# systemd-tmpfiles
|
||||
|
||||
> 휘발성 및 임시 파일과 디렉토리를 생성, 삭제 및 정리합니다.
|
||||
> 이 명령어는 시스템 부팅 시 systemd 서비스에 의해 자동으로 호출되며, 수동으로 실행할 필요는 거의 없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tmpfiles.html>.
|
||||
|
||||
- 설정에 따라 파일과 디렉토리 생성:
|
||||
|
||||
`systemd-tmpfiles --create`
|
||||
|
||||
- 나이 매개변수가 설정된 파일과 디렉토리 정리:
|
||||
|
||||
`systemd-tmpfiles --clean`
|
||||
|
||||
- 설정에 따라 파일과 디렉토리 제거:
|
||||
|
||||
`systemd-tmpfiles --remove`
|
||||
|
||||
- 사용자별 설정 적용:
|
||||
|
||||
`systemd-tmpfiles --create --user`
|
||||
|
||||
- 초기 부팅 시 실행할 라인 실행:
|
||||
|
||||
`systemd-tmpfiles --create --boot`
|
20
pages.ko/linux/systemd-tty-ask-password-agent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ystemd-tty-ask-password-agen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systemd-tty-ask-password-agent
|
||||
|
||||
> 보류 중인 systemd 비밀번호 요청 목록을 표시하거나 처리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software/systemd/man/systemd-tty-ask-password-agent.html>.
|
||||
|
||||
- 현재 보류 중인 모든 시스템 비밀번호 요청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systemd-tty-ask-password-agent --list`
|
||||
|
||||
- 비밀번호 요청을 지속적으로 처리:
|
||||
|
||||
`systemd-tty-ask-password-agent --watch`
|
||||
|
||||
- 호출하는 TTY에서 사용자에게 질문하여 현재 보류 중인 시스템 비밀번호 요청 처리:
|
||||
|
||||
`systemd-tty-ask-password-agent --query`
|
||||
|
||||
- 호출하는 TTY에서 사용자에게 질문하는 대신 wall로 비밀번호 요청 전달:
|
||||
|
||||
`systemd-tty-ask-password-agent --wall`
|
7
pages.ko/linux/systemd-umount.md
Normal file
7
pages.ko/linux/systemd-umount.md
Normal file
|
@ -0,0 +1,7 @@
|
|||
# systemd-umount
|
||||
|
||||
> 이 명령은 `systemd-mount --umount`의 별칭입니다.
|
||||
|
||||
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systemd-mount`
|
Loading…
Add table
Reference in a new issu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