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iff --git a/pages.ko/linux/ubuntu-security-status.md b/pages.ko/linux/ubuntu-security-statu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30cafb03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buntu-security-status.md @@ -0,0 +1,16 @@ +# ubuntu-security-status + +> 설치된 우분투 패키지에 대한 보안 지원 정보를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원되지 않는 패키지의 수를 표시: + +`ubuntu-security-status` + +- 더 이상 다운로드할 수 없는 패키지 나열: + +`ubuntu-security-status --unavailable` + +- 서드파티 패키지 나열: + +`ubuntu-security-status --thirdparty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devadm.md b/pages.ko/linux/udevad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011e1d66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devadm.md @@ -0,0 +1,32 @@ +# udevadm + +> Linux `udev` 관리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장치 이벤트 모니터링: + +`sudo udevadm monitor` + +- 커널에 의해 전송된 `uevent` 출력: + +`sudo udevadm monitor --kernel` + +- `udev`에 의해 처리된 후의 장치 이벤트 출력: + +`sudo udevadm monitor --udev` + +- 장치 `/dev/sda`의 속성 나열: + +`sudo udevadm info --attribute-walk {{/dev/sda}}` + +- 모든 `udev` 규칙 다시 로드: + +`sudo udevadm control --reload-rules` + +- 모든 `udev` 규칙 실행 트리거: + +`sudo udevadm trigger` + +- `/dev/sda` 로딩을 시뮬레이션하여 이벤트 실행 테스트: + +`sudo udevadm test {{/dev/sda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disksctl.md b/pages.ko/linux/udisksct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199bc026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disksctl.md @@ -0,0 +1,28 @@ +# udisksctl + +> `udisksd`와 상호 작용하여 스토리지 장치를 조회하고 조작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디스크 드라이브 및 블록 장치에 대한 상위 정보 표시: + +`udisksctl status` + +- 장치에 대한 자세한 정보 표시: + +`udisksctl info --block-device {{/dev/sdX}}` + +- 장치 파티션에 대한 자세한 정보 표시: + +`udisksctl info --block-device {{/dev/sdXN}}` + +- 장치 파티션을 마운트하고 마운트 지점을 출력: + +`udisksctl mount --block-device {{/dev/sdXN}}` + +- 장치 파티션을 마운트 해제: + +`udisksctl unmount --block-device {{/dev/sdXN}}` + +- 데몬의 이벤트 모니터링: + +`udisksctl monitor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fw.md b/pages.ko/linux/ufw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831bda5c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fw.md @@ -0,0 +1,37 @@ +# ufw + +> 간단한 방화벽. +> 방화벽 구성을 더욱 쉽게 만들어주는 `iptables`의 프론트엔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ufw 활성화: + +`ufw enable` + +- ufw 비활성화: + +`ufw disable` + +- 번호와 함께 ufw 규칙 표시: + +`ufw status numbered` + +- 이 호스트의 포트 5432에서 서비스 식별 주석과 함께 들어오는 트래픽 허용: + +`ufw allow {{5432}} comment "{{Service}}"` + +- 192.168.0.4에서 이 호스트의 모든 주소로의 포트 22에서 TCP 트래픽만 허용: + +`ufw allow proto {{tcp}} from {{192.168.0.4}} to {{any}} port {{22}}` + +- 이 호스트의 포트 80에서 트래픽 차단: + +`ufw deny {{80}}` + +- 포트 범위 8412:8500에 대한 모든 UDP 트래픽 차단: + +`ufw deny proto {{udp}} from {{any}} to {{any}} port {{8412:8500}}` + +- 특정 규칙 삭제. 규칙 번호는 `ufw status numbered` 명령으로 확인 가능: + +`ufw delete {{규칙_번호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l.md b/pages.ko/linux/u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9cf869c2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l.md @@ -0,0 +1,13 @@ +# ul + +> 텍스트에 밑줄을 그립니다. +> 문자열의 각 문자는 개별적으로 밑줄을 그어야 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의 내용을 밑줄이 적용된 상태로 표시: + +`ul {{파일.txt}}` + +- 대시 `-`로 만든 밑줄을 사용하여 파일의 내용을 표시: + +`ul -i {{파일.txt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name.md b/pages.ko/linux/unam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df8a671a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name.md @@ -0,0 +1,36 @@ +# uname + +> Uname은 실행 중인 머신 및 운영 체제 정보를 출력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정보 출력: + +`uname --all` + +- 현재 커널 이름 출력: + +`uname --kernel-name` + +- 현재 네트워크 노드 호스트명 출력: + +`uname --nodename` + +- 현재 커널 릴리스 출력: + +`uname --kernel-release` + +- 현재 커널 버전 출력: + +`uname --kernel-version` + +- 현재 머신 하드웨어 이름 출력: + +`uname --machine` + +- 현재 프로세서 유형 출력: + +`uname --processor` + +- 현재 운영 체제 이름 출력: + +`uname --operating-system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ncompress.md b/pages.ko/linux/uncompres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7a705305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ncompress.md @@ -0,0 +1,20 @@ +# uncompress + +> Unix `compress` 명령으로 압축된 파일을 해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파일 압축 해제: + +`uncompress {{경로/대상/파일1.Z 경로/대상/파일2.Z ...}}` + +-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무시하고 특정 파일 압축 해제: + +`uncompress -f {{경로/대상/파일1.Z 경로/대상/파일2.Z ...}}` + +- `stdout`에 출력 (파일은 변경되지 않고 `.Z` 파일도 생성되지 않음): + +`uncompress -c {{경로/대상/파일1.Z 경로/대상/파일2.Z ...}}` + +- 자세히 모드 (압축 감소 또는 확장 비율을 `stderr`에 출력): + +`uncompress -v {{경로/대상/파일1.Z 경로/대상/파일2.Z ...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nix2dos.md b/pages.ko/linux/unix2do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52d277f7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nix2dos.md @@ -0,0 +1,22 @@ +# unix2dos + +> Unix 스타일 줄 끝을 DOS 스타일로 변경. +> LF를 CRLF로 대체. +> 같이 보기: `unix2mac`, `dos2unix`, `mac2unix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의 줄 끝 변경: + +`unix2dos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DOS 스타일 줄 끝으로 복사본 생성: + +`unix2dos {{-n|--newfile}} {{경로/대상/파일}} {{경로/대상/새_파일}}` + +- 파일 정보 표시: + +`unix2dos {{-i|--info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바이트 순서 표시(Byte Order Mark) 유지/추가/제거: + +`unix2dos --{{keep-bom|add-bom|remove-bom}}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nix2mac.md b/pages.ko/linux/unix2ma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914a0793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nix2mac.md @@ -0,0 +1,22 @@ +# unix2mac + +> Unix 스타일의 줄 끝을 macOS 스타일로 변경. +> LF를 CR로 대체. +> 같이 보기: `unix2dos`, `dos2unix`, `mac2unix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의 줄 끝을 변경: + +`unix2mac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macOS 스타일의 줄 끝을 가진 복사본 생성: + +`unix2mac {{-n|--newfile}} {{경로/대상/파일}} {{경로/대상/새_파일}}` + +- 파일 정보 표시: + +`unix2mac {{-i|--info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바이트 순서 표식 유지/추가/제거: + +`unix2mac --{{keep-bom|add-bom|remove-bom}}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nopkg.md b/pages.ko/linux/unopkg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884b0279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nopkg.md @@ -0,0 +1,30 @@ +# unopkg + +> LibreOffice 확장 관리자. +> 확장 프로그램 다운로드: . +> 같이 보기: `libreoffice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확장을 추가하고 배포: + +`unopkg add {{경로/대상/확장}}` + +- 확장 제거: + +`unopkg remove {{확장_ID}}` + +- 배포된 확장에 대한 정보 표시: + +`unopkg list` + +- 확장 대화 상자(GUI) 열기: + +`unopkg gui` + +- 모든 배포된 확장 재설치: + +`unopkg reinstall` + +- 도움말 표시: + +`unopkg {{-h|--help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nshadow.md b/pages.ko/linux/unshadow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e29e5c4d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nshadow.md @@ -0,0 +1,12 @@ +# unshadow + +> 시스템이 섀도우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전통적인 유닉스 비밀번호 파일을 얻기 위해 John the Ripper 프로젝트에서 제공하는 유틸리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시스템의 `/etc/shadow`와 `/etc/passwd` 결합: + +`sudo unshadow /etc/passwd /etc/shadow` + +- 임의의 섀도우 및 비밀번호 [f]파일 결합: + +`sudo unshadow {{경로/대상/passwd}} {{경로/대상/shadow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nshare.md b/pages.ko/linux/unshar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0001721d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nshare.md @@ -0,0 +1,12 @@ +# unshare + +> 사용자 정의 네임스페이스에서 명령을 실행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연결된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공유하지 않고 명령 실행: + +`unshare --net {{명령어}} {{명령어_인자들}}` + +- 마운트, 프로세스, 네트워크를 공유하지 않고 자식 프로세스로 명령 실행: + +`unshare --mount --pid --net --fork {{명령어}} {{명령어_인자들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nsquashfs.md b/pages.ko/linux/unsquashf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09e92332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nsquashfs.md @@ -0,0 +1,28 @@ +# unsquashfs + +> squashfs 파일 시스템의 압축을 풀고, 파일을 추출하거나 나열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squashfs 파일 시스템을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`squashfs-root`에 추출: + +`unsquashfs {{파일_시스템.squashfs}}` + +- squashfs 파일 시스템을 지정된 디렉토리에 추출: + +`unsquashfs -dest {{경로/대상/폴더}} {{파일_시스템.squashfs}}` + +- 파일이 추출될 때 파일 이름 표시: + +`unsquashfs -info {{파일_시스템.squashfs}}` + +- 파일이 추출될 때 파일 이름과 속성 표시: + +`unsquashfs -linfo {{파일_시스템.squashfs}}` + +- squashfs 파일 시스템 내부의 파일 나열 (추출하지 않고): + +`unsquashfs -ls {{파일_시스템.squashfs}}` + +- squashfs 파일 시스템 내부의 파일과 속성 나열 (추출하지 않고): + +`unsquashfs -lls {{파일_시스템.squashfs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nzipsfx.md b/pages.ko/linux/unzipsfx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3178f89e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nzipsfx.md @@ -0,0 +1,24 @@ +# unzipsfx + +> Zip 파일에 자동 추출 스텁을 추가하여 자동 추출 압축 바이너리 파일을 생성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Zip 아카이브의 자동 추출 바이너리 파일 생성: + +`cat unzipsfx {{경로/대상/아카이브.zip}} > {{파일명}} && chmod 755 {{파일명}}` + +- 현재 디렉토리에서 자동 추출 바이너리 추출: + +`{{./경로/대상/바이너리)}}` + +- 오류가 있는지 자동 추출 바이너리 테스트: + +`{{./경로/대상/바이너리)}} -t` + +- 추출 없이 자동 추출 바이너리 내 파일의 내용 출력: + +`{{./경로/대상/바이너리)}} -c {{경로/대상/파일명}}` + +- 자동 추출 바이너리 내 Zip 아카이브의 주석 출력: + +`{{./경로/대상/바이너리)}} -z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pdate-alternatives.md b/pages.ko/linux/update-alternative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099202bd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pdate-alternatives.md @@ -0,0 +1,24 @@ +# update-alternatives + +> 심볼릭 링크를 편리하게 관리하여 기본 명령을 결정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심볼릭 링크 추가: + +`sudo update-alternatives --install {{경로/대상/심볼릭링크}} {{명령_이름}} {{경로/대상/명령_바이너리}} {{우선순위}}` + +- `java`에 대한 심볼릭 링크 구성: + +`sudo update-alternatives --config {{java}}` + +- 심볼릭 링크 제거: + +`sudo update-alternatives --remove {{java}} {{/opt/java/jdk1.8.0_102/bin/java}}` + +- 지정된 명령에 대한 정보 표시: + +`update-alternatives --display {{java}}` + +- 모든 명령과 현재 선택된 항목 표시: + +`update-alternatives --get-selections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pdate-rc.d.md b/pages.ko/linux/update-rc.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fa45725b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pdate-rc.d.md @@ -0,0 +1,21 @@ +# update-rc.d + +> System-V 스타일의 init 스크립트 링크를 설치하고 제거합니다. +> Init 스크립트는 `/etc/init.d/`에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서비스 설치: + +`update-rc.d {{mysql}} defaults` + +- 서비스 활성화: + +`update-rc.d {{mysql}} enable` + +- 서비스 비활성화: + +`update-rc.d {{mysql}} disable` + +- 서비스를 강제로 제거: + +`update-rc.d -f {{mysql}} remov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pdatedb.md b/pages.ko/linux/updatedb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f1cc2e88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pdatedb.md @@ -0,0 +1,13 @@ +# updatedb + +> `locate`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. +> 일반적으로 cron에 의해 일일 실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데이터베이스 내용 새로고침: + +`sudo updatedb` + +- 파일 이름을 찾는 즉시 표시: + +`sudo updatedb --verbos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pdpkgsums.md b/pages.ko/linux/updpkgsum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6c8b338d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pdpkgsums.md @@ -0,0 +1,17 @@ +# updpkgsums + +> `PKGBUILD`의 소스 체크섬을 업데이트합니다. +> 기존 해시 알고리즘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, SHA256이 사용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PKGBUILD`의 체크섬 업데이트: + +`updpkgsums` + +- 도움말 표시: + +`updpkgsums -h` + +- 버전 표시: + +`updpkgsums -v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pnpc.md b/pages.ko/linux/upnp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64bfd0ab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pnpc.md @@ -0,0 +1,20 @@ +# upnpc + +> UPnP 프로토콜을 통해 라우터의 포트 포워딩 규칙을 구성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외부 TCP 포트 80을 로컬 머신의 포트 8080으로 포워딩: + +`upnpc -a {{192.168.0.1}} 8080 80 tcp` + +- 외부 TCP 포트 80에 대한 포트 리디렉션 삭제: + +`upnpc -d 80 tcp` + +- 네트워크의 UPnP 장치 정보 가져오기: + +`upnpc -s` + +- 기존 리디렉션 나열: + +`upnpc -l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power.md b/pages.ko/linux/upow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fbdee2a9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power.md @@ -0,0 +1,24 @@ +# upower + +> 전원 및 배터리 정보와 통계를 제공하는 시스템 유틸리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전원 및 배터리 정보 표시: + +`upower --dump` + +- 모든 전원 장치 나열: + +`upower --enumerate` + +- 전원 상태 변화를 감시하고 출력: + +`upower --monitor` + +- 자세한 전원 상태 변화를 감시하고 출력: + +`upower --monitor-detail` + +- 버전 표시: + +`upower --version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precords.md b/pages.ko/linux/uprecord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1c6732ca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precords.md @@ -0,0 +1,24 @@ +# uprecords + +> 시스템의 역사적인 가동 시간 기록을 요약하여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상위 10개의 역사적인 가동 시간 기록 요약 표시: + +`uprecords` + +- 상위 25개의 기록 표시: + +`uprecords -m {{25}}` + +- 커널 버전 대신 재부팅 간의 다운타임 표시: + +`uprecords -d` + +- 가장 최근의 재부팅 내역 표시: + +`uprecords -B` + +- 정보를 생략하지 않고 표시: + +`uprecords -w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rpme.md b/pages.ko/linux/urpm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4b1aaec5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rpme.md @@ -0,0 +1,17 @@ +# urpme + +> Mageia에서 패키지를 제거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urpmi`, `urpmi.update`, `urpmi.addmedia`, `urpmi.removemedia`, `urpmf`, `urpmq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패키지 제거: + +`sudo urpme {{패키지}}` + +- 고아 패키지 제거 (주의: 중요한 패키지가 의도치 않게 제거될 수 있습니다): + +`sudo urpme --auto-orphans` + +- 패키지 및 의존성 제거: + +`sudo urpme --auto-orphans {{패키지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rpmf.md b/pages.ko/linux/urpmf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8dce2ae9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rpmf.md @@ -0,0 +1,21 @@ +# urpmf + +> 파일을 패키지에서 찾고 Mageia에서 해당 정보를 조회. +> 같이 보기: `urpmi`, `urpme`, `urpmi.addmedia`, `urpmi.removemedia`, `urpmi.update`, `urpmq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을 포함하는 패키지 검색: + +`urpmf {{파일명}}` + +- 요약에 특정 키워드 [a]그리고 다른 키워드를 모두 포함하는 패키지 검색: + +`urpmf --summary {{키워드1}} -a {{키워드2}}` + +- 설명에 특정 키워드 [o]또는 다른 키워드를 포함하는 패키지 검색: + +`urpmf --description {{키워드1}} -o {{키워드2}}` + +- 이름에 특정 키워드를 대소문자 구분 없이 포함하지 않는 패키지를 ":" 대신 "|"를 [F]ield 구분자로 사용하여 검색: + +`urpmf --description ! {{키워드}} -F'|'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rpmi.addmedia.md b/pages.ko/linux/urpmi.addmedia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1d4c38c3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rpmi.addmedia.md @@ -0,0 +1,22 @@ +# urpmi.addmedia + +> Mageia에 미디어 추가. +> 참고: Mageia 문서에서는 미디엄과 저장소를 동의어로 사용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urpmi`, `urpmi.update`, `urpme`, `urpmi.removemedia`, `urpmf`, `urpmq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미디엄 추가: + +`sudo urpmi.addmedia {{미디엄}} {{ftp://ftp.site.com/path/to/Mageia/RPMS}}` + +- 하드 드라이브에서 미디엄 추가 (먼저 해당 디렉터리에서 `genhdlist2` 실행): + +`sudo urpmi.addmedia --distrib HD file:/{{경로/대상/저장소}}` + +- 선택한 미러에서 중요한 미디어 추가: + +`sudo urpmi.addmedia --distrib ftp://{{미러_웹사이트}}/mirror/mageia/distrib/{{버전}}/{{아키텍처}}` + +- 미러 목록에서 자동으로 미러 선택: + +`sudo urpmi.addmedia --distrib --mirrorlist {{미러리스트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rpmi.md b/pages.ko/linux/urpmi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017ba987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rpmi.md @@ -0,0 +1,25 @@ +# urpmi + +> Mageia에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urpm.update`, `urpme`, `urpmi.addmedia`, `urpmi.removemedia`, `urpmf`, `urpmq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저장소 또는 로컬 RPM 파일에서 패키지 설치: + +`sudo urpmi {{패키지|경로/대상/파일.rpm}}` + +- 패키지를 다운로드만 하고 설치하지 않음: + +`urpmi --no-install {{패키지}}` + +- 설치된 모든 패키지 업데이트 (`urpmi.update -a`를 실행하여 사용 가능한 업데이트 확인): + +`sudo urpmi --auto-select` + +-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머신에서 `/etc/urpmi/parallel.cfg`에 따라 패키지 업데이트: + +`sudo urpmi --parallel local {{패키지}}` + +- 모든 고아 패키지를 수동으로 설치됨으로 표시: + +`sudo urpmi $(urpmq --auto-orphans -f)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rpmi.removemedia.md b/pages.ko/linux/urpmi.removemedia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03b659fd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rpmi.removemedia.md @@ -0,0 +1,18 @@ +# urpmi.removemedia + +> Mageia에서 미디어 제거. +> 참고: Mageia 문서에서는 미디엄과 저장소를 동의어로 사용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urpmi`, `urpme`, `urpmi.addmedia`, `urpmi.update`, `urpmf`, `urpmq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미디엄 제거: + +`sudo urpmi.removemedia {{미디엄}}` + +- 모든 미디어 제거: + +`sudo urpmi.removemedia -a` + +- 미디어 이름에 대해 유사하게 일치하는 미디어 제거: + +`sudo urpmi.removemedia -y {{키워드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rpmi.update.md b/pages.ko/linux/urpmi.updat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e3efd8d6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rpmi.update.md @@ -0,0 +1,22 @@ +# urpmi.update + +> Mageia에서 패키지 저장소의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합니다. +> 참고: Mageia 문서에서는 medium과 저장소를 동의어로 사용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urpmi`, `urpme`, `urpmi.addmedia`, `urpmi.removemedia`, `urpmf`, `urpmq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활성 미디어 업데이트: + +`urpmi.update -a` + +- 특정 미디어 업데이트 (비활성 미디어 포함): + +`urpmi.update {{미디어1 미디어2 ...}}` + +-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모든 미디어 업데이트: + +`urpmi.update {{키워드}}` + +- 모든 구성된 미디어 업데이트: + +`urpmi.update 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rpmq.md b/pages.ko/linux/urpmq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7c5cb8a4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rpmq.md @@ -0,0 +1,33 @@ +# urpmq + +> Mageia에서 패키지 및 미디어에 대한 정보를 조회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urpmi`, `urpmi.update`, `urpmi.addmedia`, `urpmi.removemedia`, `urpmf`, `urpme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설치 가능한 패키지에 대한 정보 표시: + +`urpmq -i {{패키지}}` + +- 패키지의 직접적인 의존성 표시: + +`urpmq --requires {{패키지}}` + +- 패키지의 직접 및 간접 의존성 표시: + +`urpmq --requires-recursive {{패키지}}` + +- RPM [f]파일에 필요한 설치되지 않은 패키지 및 소스 나열: + +`sudo urpmq --requires-recursive -m --sources {{경로/대상/파일.rpm}}` + +- URL과 함께 모든 구성된 미디어 나열(비활성 미디어 포함): + +`urpmq --list-media --list-url` + +- 패키지 검색 시 [g]그룹, 버전 및 [r]릴리즈 출력: + +`urpmq -g -r --fuzzy {{키워드}}` + +- 패키지의 정확한 이름을 사용하여 검색: + +`urpmq -g -r {{패키지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rxvt.md b/pages.ko/linux/urxv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d3ef526a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rxvt.md @@ -0,0 +1,25 @@ +# urxvt + +> Rxvt-unicode. +> 사용자 정의 가능한 터미널 에뮬레이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새로운 urxvt 창 열기: + +`urxvt` + +- 특정 폴더에서 실행: + +`urxvt -cd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새로운 urxvt 창에서 명령어 실행: + +`urxvt -e {{명령어}}` + +- 명령어 실행 후 창을 유지: + +`urxvt --hold -e {{명령어}}` + +- `sh` 셸 내에서 명령어 실행: + +`urxvt -e {{sh}} -c {{명령어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sbip.md b/pages.ko/linux/usbi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cf18c097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sbip.md @@ -0,0 +1,36 @@ +# usbip + +> 원격으로 USB 장치를 사용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로컬 USB 장치와 해당 버스 ID 나열: + +`usbip list --local` + +- 서버에서 `usbip` 데몬 시작: + +`systemctl start usbipd` + +- 서버에서 USB 장치를 `usbip`에 바인드: + +`sudo usbip bind --busid={{버스_ID}}` + +- 클라이언트에서 `usbip`에 필요한 커널 모듈 로드: + +`sudo modprobe vhci-hcd` + +- 클라이언트에서 `usbip` 장치에 연결(버스 ID는 서버와 동일합니다): + +`sudo usbip attach -r {{IP_주소}} --busid={{버스_ID}}` + +- 연결된 장치 나열: + +`usbip port` + +- 장치에서 분리: + +`sudo usbip detach --port={{포트}}` + +- 장치의 바인드 해제: + +`usbip unbind --busid={{버스_ID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seradd.md b/pages.ko/linux/userad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d6d3137d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seradd.md @@ -0,0 +1,33 @@ +# useradd + +> 새 사용자 생성. +> 같이 보기: `users`, `userdel`, `usermod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새 사용자 생성: + +`sudo useradd {{사용자명}}` + +- 특정 사용자 ID로 새 사용자 생성: + +`sudo useradd {{-u|--uid}} {{ID}} {{사용자명}}` + +- 특정 셸로 새 사용자 생성: + +`sudo useradd {{-s|--shell}} {{경로/대상/셸}} {{사용자명}}` + +- 추가 그룹에 속하는 새 사용자 생성 (공백 없이 작성): + +`sudo useradd {{-G|--groups}} {{그룹1,그룹2,...}} {{사용자명}}` + +- 기본 홈 디렉터리를 가진 새 사용자 생성: + +`sudo useradd {{-m|--create-home}} {{사용자명}}` + +- 템플릿 디렉터리 파일로 채워진 홈 디렉터리를 가진 새 사용자 생성: + +`sudo useradd {{-k|--skel}} {{경로/대상/템플릿_디렉터리}} {{-m|--create-home}} {{사용자명}}` + +- 홈 디렉터리 없이 새 시스템 사용자 생성: + +`sudo useradd {{-r|--system}} {{사용자명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serdbctl.md b/pages.ko/linux/userdbct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b8efe95d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serdbctl.md @@ -0,0 +1,24 @@ +# userdbctl + +> 시스템의 사용자, 그룹 및 그룹 멤버십을 검사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알려진 사용자 기록 나열: + +`userdbctl user` + +- 특정 사용자 세부 정보 표시: + +`userdbctl user {{사용자명}}` + +- 모든 알려진 그룹 나열: + +`userdbctl group` + +- 특정 그룹 세부 정보 표시: + +`userdbctl group {{그룹명}}` + +- 현재 시스템에 사용자/그룹 정의를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 나열: + +`userdbctl services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serdel.md b/pages.ko/linux/userde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42a26622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serdel.md @@ -0,0 +1,17 @@ +# userdel + +>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거나 사용자를 그룹에서 제거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users`, `useradd`, `usermod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사용자 삭제: + +`sudo userdel {{사용자명}}` + +- 다른 루트 디렉토리에서 사용자 삭제: + +`sudo userdel {{-R|--root}} {{경로/대상/다른/루트}} {{사용자명}}` + +- 홈 디렉토리 및 메일 스풀과 함께 사용자 삭제: + +`sudo userdel {{-r|--remove}} {{사용자명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sermod.md b/pages.ko/linux/usermo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aba68952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sermod.md @@ -0,0 +1,25 @@ +# usermod + +> 사용자 계정을 수정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users`, `useradd`, `userdel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사용자명을 변경: + +`sudo usermod {{-l|--login}} {{새로운_사용자명}} {{사용자명}}` + +- 사용자 ID 변경: + +`sudo usermod {{-u|--uid}} {{ID}} {{사용자명}}` + +- 사용자 셸 변경: + +`sudo usermod {{-s|--shell}} {{경로/대상/셸}} {{사용자명}}` + +- 사용자를 보조 그룹에 추가 (공백 없음에 유의): + +`sudo usermod {{-a|--append}} {{-G|--groups}} {{그룹1,그룹2,...}} {{사용자명}}` + +- 사용자 홈 디렉터리 변경: + +`sudo usermod {{-m|--move-home}} {{-d|--home}} {{경로/대상/새로운_홈}} {{사용자명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tmpdump.md b/pages.ko/linux/utmpdum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9946fd33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tmpdump.md @@ -0,0 +1,12 @@ +# utmpdump + +> btmp, utmp 및 wtmp 회계 파일을 덤프하고 로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/var/log/wtmp` 파일을 일반 텍스트로 `stdout`에 덤프: + +`utmpdump {{/var/log/wtmp}}` + +- 이전에 덤프한 파일을 `/var/log/wtmp`에 로드: + +`utmpdump -r {{덤프파일}} > {{/var/log/wtmp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uid.md b/pages.ko/linux/uui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36319d86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uid.md @@ -0,0 +1,33 @@ +# uuid + +> 범용 고유 식별자(UUID) 생성 및 디코드. +> 같이 보기: `uuidgen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UUIDv1 생성 (시간 및 시스템의 하드웨어 주소 기반, 사용 가능한 경우): + +`uuid` + +- UUIDv4 생성 (무작위 데이터 기반): + +`uuid -v {{4}}` + +- 여러 개의 UUIDv4를 한 번에 생성: + +`uuid -v {{4}} -n {{UUID_개수}}` + +- UUIDv4를 생성하고 출력 형식 지정: + +`uuid -v {{4}} -F {{BIN|STR|SIV}}` + +- UUIDv4를 생성하고 출력을 파일에 저장: + +`uuid -v {{4}} -o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주어진 네임스페이스 접두사로 UUIDv5 생성 (제공된 객체 이름 기반): + +`uuid -v {{5}} ns:{{DNS|URL|OID|X500}} {{객체_이름}}` + +- 주어진 UUID 디코드: + +`uuid -d {{uuid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uidd.md b/pages.ko/linux/uuid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ebf526ac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uidd.md @@ -0,0 +1,16 @@ +# uuidd + +> UUID 생성을 위한 데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무작위 UUID 생성: + +`uuidd --random` + +- 다수의 무작위 UUID 생성: + +`uuidd --random --uuids {{UUID_개수}}` + +- 현재 시간과 시스템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한 시간 기반 UUID 생성: + +`uuidd --tim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uidgen.md b/pages.ko/linux/uuidge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a2128643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uidgen.md @@ -0,0 +1,17 @@ +# uuidgen + +> 고유 식별자(UUID)를 생성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uuid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무작위 UUIDv4 생성: + +`uuidgen --random` + +- 현재 시간을 기반으로 UUIDv1 생성: + +`uuidgen --time` + +- 지정된 네임스페이스 접두사를 가진 이름의 UUIDv5 생성: + +`uuidgen --sha1 --namespace {{@dns|@url|@oid|@x500}} --name {{객체_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uidparse.md b/pages.ko/linux/uuidpars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5fd60d3b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uidparse.md @@ -0,0 +1,33 @@ +# uuidparse + +> 범용 고유 식별자(UUID) 파싱. +> 같이 보기: `uuidgen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UUID를 파싱하고 표 형식으로 출력: + +`uuidparse {{uuid1 uuid2 ...}}` + +- `stdin`에서 UUID 파싱: + +`{{명령어}} | uuidparse` + +- JSON 출력 형식 사용: + +`uuidparse --json {{uuid1 uuid2 ...}}` + +- 헤더 줄을 출력하지 않음: + +`uuidparse --noheadings {{uuid1 uuid2 ...}}` + +- 원시 출력 형식 사용: + +`uuidparse --raw {{uuid1 uuid2 ...}}` + +- 출력할 네 가지 열을 지정: + +`uuidparse --output {{UUID,VARIANT,TYPE,TIME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uuidparse -h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uvcdynctrl.md b/pages.ko/linux/uvcdynctr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b2fe0ac1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uvcdynctrl.md @@ -0,0 +1,32 @@ +# uvcdynctrl + +> uvcvideo에서 동적 제어를 관리하는 libwebcam 명령줄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사용 가능한 모든 카메라 나열: + +`uvcdynctrl -l` + +- 특정 디바이스 사용 (`video0`이 기본값): + +`uvcdynctrl -d {{디바이스_이름}}` + +- 사용 가능한 제어 목록 나열: + +`uvcdynctrl -c` + +- 새로운 제어 값 설정 (음수 값을 위해서는 `-- -값` 사용): + +`uvcdynctrl -s {{제어_이름}} {{값}}` + +- 현재 제어 값 가져오기: + +`uvcdynctrl -g {{제어_이름}}` + +- 현재 제어 상태를 파일에 저장: + +`uvcdynctrl -W {{파일명}}` + +- 파일에서 제어 상태 로드: + +`uvcdynctrl -L {{파일명}}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