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irror of
https://github.com/tldr-pages/tldr.git
synced 2025-08-11 13:15:46 +02:00
common/p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663)
* common/p*: add Korean translation * Update pages.ko/common/perldoc.md 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 * Update pages.ko/common/pcdovtoppm.md 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 --------- 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parent
fd7d9f925b
commit
2317407751
161 changed files with 3836 additions and 0 deletions
16
pages.ko/common/p10k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10k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10k
|
||||||
|
|
||||||
|
> powerlevel10k의 구성을 관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romkatv/powerlevel10k>.
|
||||||
|
|
||||||
|
- powerlevel10k를 대화형으로 구성:
|
||||||
|
|
||||||
|
`p10k configure`
|
||||||
|
|
||||||
|
- powerlevel10k 다시 불러오기:
|
||||||
|
|
||||||
|
`p10k reload`
|
||||||
|
|
||||||
|
- 도움말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10k help`
|
36
pages.ko/common/p4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p4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|||
|
# p4
|
||||||
|
|
||||||
|
> Perforce 버전 관리 시스템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perforce.com/manuals/cmdref>.
|
||||||
|
|
||||||
|
- Perforce 서비스에 로그인:
|
||||||
|
|
||||||
|
`p4 login -a`
|
||||||
|
|
||||||
|
- 클라이언트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4 client`
|
||||||
|
|
||||||
|
- 저장소에서 클라이언트 작업 공간으로 파일 복사:
|
||||||
|
|
||||||
|
`p4 sync`
|
||||||
|
|
||||||
|
- 변경 목록 설명 생성 또는 편집:
|
||||||
|
|
||||||
|
`p4 change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을 편집을 위해 열기:
|
||||||
|
|
||||||
|
`p4 edit -c {{변경_목록_번호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새 파일을 열어 저장소에 추가:
|
||||||
|
|
||||||
|
`p4 add`
|
||||||
|
|
||||||
|
- 변경 목록에 의해 수정된 파일 목록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4 describe -c {{변경_목록_번호}}`
|
||||||
|
|
||||||
|
- 변경 목록을 저장소에 제출:
|
||||||
|
|
||||||
|
`p4 submit -c {{변경_목록_번호}}`
|
20
pages.ko/common/p5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5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|||
|
# p5
|
||||||
|
|
||||||
|
> p5.js를 위한 템플릿 빌더 및 스케치 관리자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chiunhau/p5-manager>.
|
||||||
|
|
||||||
|
- 새로운 p5 컬렉션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5 new {{컬렉션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새로운 p5 프로젝트 생성 (컬렉션 디렉토리에서 실행해야 함):
|
||||||
|
|
||||||
|
`p5 generate {{프로젝트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p5 관리자 서버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5 server`
|
||||||
|
|
||||||
|
- 라이브러리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:
|
||||||
|
|
||||||
|
`p5 update`
|
25
pages.ko/common/p7zip.md
Normal file
25
pages.ko/common/p7zip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|||
|
# p7zip
|
||||||
|
|
||||||
|
> 높은 압축률을 자랑하는 7-Zip 파일 압축기의 래퍼.
|
||||||
|
> 내부적으로 7za 또는 7zr 명령을 실행합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7zip.sourceforge.net>.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을 아카이브하고 7z로 압축된 버전으로 대체:
|
||||||
|
|
||||||
|
`p7zip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을 아카이브하고 입력 파일 유지:
|
||||||
|
|
||||||
|
`p7zip -k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을 해제압축하고 원본 비압축 버전으로 대체:
|
||||||
|
|
||||||
|
`p7zip -d {{압축된_파일.ext}}.7z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을 해제압축하고 입력 파일 유지:
|
||||||
|
|
||||||
|
`p7zip -d -k {{압축된_파일.ext}}.7z`
|
||||||
|
|
||||||
|
- 일부 검사를 건너뛰고 압축 또는 해제압축 강제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7zip -f {{경로/대상/파일}}`
|
24
pages.ko/common/paci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aci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aci
|
||||||
|
|
||||||
|
> Bash 스크립트를 위한 패키지 관리자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tradebyte/paci>.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 가능한 패키지 및 버전 목록 업데이트 (다른 `paci` 명령어를 실행하기 전에 이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이 권장됨):
|
||||||
|
|
||||||
|
`paci refresh`
|
||||||
|
|
||||||
|
- 동작 설정 구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ci configure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패키지 검색:
|
||||||
|
|
||||||
|
`paci search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aci install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 업데이트:
|
||||||
|
|
||||||
|
`paci update {{패키지}}`
|
16
pages.ko/common/packer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ack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acker
|
||||||
|
|
||||||
|
> 자동화된 머신 이미지를 빌드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packer.io/>.
|
||||||
|
|
||||||
|
- 이미지 빌드:
|
||||||
|
|
||||||
|
`packer build {{경로/대상/config.json}}`
|
||||||
|
|
||||||
|
- Packer 이미지 구성의 구문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packer validate {{경로/대상/config.json}}`
|
||||||
|
|
||||||
|
- Packer 이미지 구성 포맷:
|
||||||
|
|
||||||
|
`packer fmt {{경로/대상/config.pkr.hcl}}`
|
32
pages.ko/common/packtpub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packtpub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|||
|
# packtpub
|
||||||
|
|
||||||
|
> packtpub.com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책을 다운로드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vladimyr/packtpub-cli>.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한 책 형식(기본값은 `pdf`)으로 오늘의 제공 책을 현재 디렉토리에 다운로드:
|
||||||
|
|
||||||
|
`packtpub download --type {{pdf|ebup|mobi}}`
|
||||||
|
|
||||||
|
- 오늘의 제공 책을 지정한 디렉토리에 다운로드:
|
||||||
|
|
||||||
|
`packtpub download --dir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||
|
|
||||||
|
- packtpub.com에 대한 대화형 로그인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acktpub login`
|
||||||
|
|
||||||
|
- packtpub.com에서 로그아웃:
|
||||||
|
|
||||||
|
`packtpub logout`
|
||||||
|
|
||||||
|
- 오늘의 제공 정보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acktpub view-offer`
|
||||||
|
|
||||||
|
- 기본 웹 브라우저에서 오늘의 제공 열기:
|
||||||
|
|
||||||
|
`packtpub view-offer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acktpub whoami`
|
24
pages.ko/common/packwiz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ackwiz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ackwiz
|
||||||
|
|
||||||
|
> Minecraft 모드팩을 생성, 편집 및 관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ackwiz.infra.link/reference/commands/packwiz/>.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디렉토리에서 대화식으로 새로운 모드팩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ckwiz init`
|
||||||
|
|
||||||
|
- Modrinth 또는 Curseforge에서 모드 추가:
|
||||||
|
|
||||||
|
`packwiz {{modrinth|curseforge}} add {{url|slug|검색_용어}}`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드팩의 모든 모드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ackwiz 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을 수동으로 편집한 후 `index.toml` 업데이트:
|
||||||
|
|
||||||
|
`packwiz refresh`
|
||||||
|
|
||||||
|
- Modrinth (`.mrpack`) 또는 Curseforge (Zip) 파일로 내보내기:
|
||||||
|
|
||||||
|
`packwiz {{modrinth|curseforge}} export`
|
28
pages.ko/common/pactl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pact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pactl
|
||||||
|
|
||||||
|
> 실행 중인 PulseAudio 사운드 서버 제어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pactl>.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운드 서버 정보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actl info`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싱크(또는 다른 유형 - 싱크는 출력이고 싱크 입력은 활성 오디오 스트림)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actl list {{sinks}} short`
|
||||||
|
|
||||||
|
- 기본 싱크(출력)를 1로 변경 (번호는 `list` 하위 명령을 통해 확인 가능):
|
||||||
|
|
||||||
|
`pactl set-default-sink {{1}}`
|
||||||
|
|
||||||
|
- 싱크 입력 627을 싱크 1로 이동:
|
||||||
|
|
||||||
|
`pactl move-sink-input {{627}} {{1}}`
|
||||||
|
|
||||||
|
- 싱크 1의 볼륨을 75%로 설정:
|
||||||
|
|
||||||
|
`pactl set-sink-volume {{1}} {{0.75}}`
|
||||||
|
|
||||||
|
- 기본 싱크의 음소거 전환 (특수 이름 `@DEFAULT_SINK@` 사용):
|
||||||
|
|
||||||
|
`pactl set-sink-mute {{@DEFAULT_SINK@}} toggle`
|
28
pages.ko/common/pageres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pagere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pageres
|
||||||
|
|
||||||
|
> 다양한 해상도로 웹사이트의 스크린샷을 캡처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sindresorhus/pageres-cli>.
|
||||||
|
|
||||||
|
- 여러 URL의 다양한 해상도로 스크린샷 촬영:
|
||||||
|
|
||||||
|
`pageres {{https://example.com/}} {{https://example2.com/}} {{1366x768}} {{1600x900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URL에 대해 글로벌 옵션을 무시하고 특정 옵션 제공:
|
||||||
|
|
||||||
|
`pageres [{{https://example.com/}} {{1366x768}} --no-crop] [{{https://example2.com/}} {{1024x768}}] --crop`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자 정의 파일명 템플릿 제공:
|
||||||
|
|
||||||
|
`pageres {{https://example.com/}} {{1024x768}} --filename={{'<%= date %> - <%= url %>'}}`
|
||||||
|
|
||||||
|
- 페이지의 특정 요소 캡처:
|
||||||
|
|
||||||
|
`pageres {{https://example.com/}} {{1366x768}} --selector='{{.page-header}}'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요소 숨기기:
|
||||||
|
|
||||||
|
`pageres {{https://example.com/}} {{1366x768}} --hide='{{.page-header}}'`
|
||||||
|
|
||||||
|
- 로컬 파일의 스크린샷 캡처:
|
||||||
|
|
||||||
|
`pageres {{local_file_path.html}} {{1366x768}}`
|
28
pages.ko/common/pake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pak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pake
|
||||||
|
|
||||||
|
> Rust/Tauri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데스크탑 앱으로 변환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tw93/Pake>.
|
||||||
|
|
||||||
|
- 웹페이지 패키징:
|
||||||
|
|
||||||
|
`pake {{https://www.google.com/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창 크기로 웹페이지 패키징:
|
||||||
|
|
||||||
|
`pake --width {{800}} --height {{600}} {{https://www.google.com/}}`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자 지정 애플리케이션 이름과 아이콘으로 웹페이지 패키징:
|
||||||
|
|
||||||
|
`pake --name {{Google}} --icon {{경로/대상/icon.ico}} {{https://www.google.com/}}`
|
||||||
|
|
||||||
|
- 크기 조정이 불가능한 창으로 웹페이지 패키징:
|
||||||
|
|
||||||
|
`pake --no-resizable {{https://www.google.com/}}`
|
||||||
|
|
||||||
|
- 전체 화면 모드로 웹페이지 패키징:
|
||||||
|
|
||||||
|
`pake --fullscreen {{https://www.google.com/}}`
|
||||||
|
|
||||||
|
- 투명한 타이틀 바로 웹페이지 패키징:
|
||||||
|
|
||||||
|
`pake --transparent {{https://www.google.com/}}`
|
24
pages.ko/common/palmtopnm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almtopnm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almtopnm
|
||||||
|
|
||||||
|
> Palm 비트맵 파일을 PNM 이미지로 변환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almtopnm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Palm 비트맵을 PNM 이미지로 변환:
|
||||||
|
|
||||||
|
`palmtopnm {{경로/대상/파일.pal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nm}}`
|
||||||
|
|
||||||
|
- 입력 파일에 대한 정보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almtopnm -verbose {{경로/대상/파일.pal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nm}}`
|
||||||
|
|
||||||
|
- 입력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의 n번째 렌디션 변환:
|
||||||
|
|
||||||
|
`palmtopnm -rendition {{n}} {{경로/대상/파일.pal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nm}}`
|
||||||
|
|
||||||
|
- 입력 파일의 색상 히스토그램을 `stdout`에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almtopnm -showhist {{경로/대상/파일.pal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nm}}`
|
||||||
|
|
||||||
|
- 설정된 경우 입력 이미지의 투명 색상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almtopnm -transparent {{경로/대상/파일.palm}}`
|
24
pages.ko/common/pandoc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andoc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andoc
|
||||||
|
|
||||||
|
> 다양한 형식 간에 문서를 변환합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andoc.org/MANUAL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을 PDF로 변환 (출력 형식은 파일 확장자로 결정됨):
|
||||||
|
|
||||||
|
`pandoc {{경로/대상/입력.md}} {{-o|--output}} {{경로/대상/출력.pdf}}`
|
||||||
|
|
||||||
|
- 적절한 헤더/푸터가 있는 독립 실행형 파일로 변환 (LaTeX, HTML 등):
|
||||||
|
|
||||||
|
`pandoc {{경로/대상/입력.md}} {{-s|--standalone}} {{-o|--output}} {{경로/대상/출력.ht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형식 감지 및 변환을 수동으로 지정 (파일 이름 확장자를 사용한 자동 형식 감지를 무시하거나 파일 이름 확장자가 전혀 없는 경우):
|
||||||
|
|
||||||
|
`pandoc {{-f|-r|--from|--read}} {{docx|...}} {{경로/대상/입력}} {{-t|-w|--to|--write}} {{pdf|...}} {{-o|--output}} {{경로/대상/출력}}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원되는 모든 입력 형식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andoc --list-input-formats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원되는 모든 출력 형식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andoc --list-output-formats`
|
32
pages.ko/common/pants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pants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|||
|
# pants
|
||||||
|
|
||||||
|
> 빠르고 확장 가능하며 사용자 친화적이고 오픈 소스인 빌드 및 개발자 워크플로 도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pantsbuild.org/2.20/docs/using-pants/command-line-help>.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타겟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ants list ::`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테스트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ants test ::`
|
||||||
|
|
||||||
|
- 커밋되지 않은 파일만 수정, 포맷, 린트 수행:
|
||||||
|
|
||||||
|
`pants --changed-since=HEAD fix fmt lint`
|
||||||
|
|
||||||
|
- 커밋되지 않은 파일과 그 종속성에 대해서만 타입 체크:
|
||||||
|
|
||||||
|
`pants --changed-since=HEAD --changed-dependents=transitive check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된 타겟에 대한 배포 가능한 패키지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nts package {{경로/대상/폴더:타겟-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새로운 소스 파일에 대한 BUILD 파일 타겟 자동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nts tailor ::`
|
||||||
|
|
||||||
|
- 도움말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ants help`
|
16
pages.ko/common/paperkey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aperkey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aperkey
|
||||||
|
|
||||||
|
> OpenPGP 키 아카이버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jabberwocky.com/software/paperkey/>.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비밀 키를 가져와 비밀 데이터를 포함한 텍스트 파일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perkey --secret-key {{경로/대상/비밀_키.gpg}} --output {{경로/대상/비밀_데이터.txt}}`
|
||||||
|
|
||||||
|
- `secret_data.txt`에 있는 비밀 키 데이터를 가져와 공개 키와 결합하여 비밀 키 재구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perkey --pubring {{경로/대상/공개_키.gpg}} --secrets {{경로/대상/비밀_데이터.txt}} --output {{비밀_키.gpg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비밀 키를 내보내고 비밀 데이터를 포함한 텍스트 파일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gpg --export-secret-key {{키}} | paperkey --output {{경로/대상/비밀_데이터.txt}}`
|
20
pages.ko/common/par2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ar2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|||
|
# par2
|
||||||
|
|
||||||
|
> PAR 2.0 호환 패리티 아카이브(.par2 파일)를 사용한 파일 검증 및 복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Parchive/par2cmdline/>.
|
||||||
|
|
||||||
|
- 설정된 비율의 여유를 사용하여 패리티 아카이브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r2 create -r{{1..100}} --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선택한 수의 볼륨 파일(색인 파일 추가)을 사용하여 패리티 아카이브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r2 create -n{{1..32768}} --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패리티 아카이브로 파일 검증:
|
||||||
|
|
||||||
|
`par2 verify -- {{경로/대상/파일.par2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패리티 아카이브로 파일 복구:
|
||||||
|
|
||||||
|
`par2 repair -- {{경로/대상/파일.par2}}`
|
28
pages.ko/common/parallel-lint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parallel-lin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parallel-lint
|
||||||
|
|
||||||
|
> PHP 파일의 구문을 병렬로 검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JakubOnderka/PHP-Parallel-Lint>.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디렉토리의 구문 검사:
|
||||||
|
|
||||||
|
`parallel-lint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된 병렬 프로세스 수를 사용하여 디렉토리 구문 검사:
|
||||||
|
|
||||||
|
`parallel-lint -j {{프로세스_수}}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디렉토리를 제외하고 디렉토리 구문 검사:
|
||||||
|
|
||||||
|
`parallel-lint --exclude {{경로/대상/제외_폴더}}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||
|
|
||||||
|
- 쉼표로 구분된 확장자 목록을 사용하여 파일 디렉토리의 구문 검사:
|
||||||
|
|
||||||
|
`parallel-lint -e {{php,html,phpt}}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||
|
|
||||||
|
- 디렉토리의 구문 검사를 수행하고 결과를 JSON으로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arallel-lint --json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||
|
|
||||||
|
- 디렉토리의 구문 검사를 수행하고 오류가 있는 행에 대한 Git Blame 결과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arallel-lint --blame {{경로/대상/폴더}}`
|
36
pages.ko/common/parallel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parallel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|||
|
# parallel
|
||||||
|
|
||||||
|
> 여러 CPU 코어에서 명령 실행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gnu.org/software/parallel>.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코어를 사용하여 여러 파일을 동시에 gzip 압축:
|
||||||
|
|
||||||
|
`parallel gzip :::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||||||
|
|
||||||
|
- `stdin`에서 인수를 읽어, 동시에 4개의 작업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ls *.txt | parallel -j4 gzip`
|
||||||
|
|
||||||
|
- JPEG 이미지를 PNG로 변환, 치환 문자열 사용:
|
||||||
|
|
||||||
|
`parallel convert {} {.}.png ::: *.jpg`
|
||||||
|
|
||||||
|
- 평행 xargs, 가능한 많은 인수를 하나의 명령에 cram:
|
||||||
|
|
||||||
|
`{{인수들}} | parallel -X {{명령어}}`
|
||||||
|
|
||||||
|
- `stdin`을 약 1M 블록으로 나누고, 각 블록을 새 명령의 `stdin`으로 전달:
|
||||||
|
|
||||||
|
`cat {{큰_파일.txt}} | parallel --pipe --block 1M {{명령어}}`
|
||||||
|
|
||||||
|
- SSH를 통해 여러 머신에서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arallel -S {{머신1}},{{머신2}} {{명령어}} ::: {{인수1}} {{인수2}}`
|
||||||
|
|
||||||
|
- 텍스트 파일에 있는 링크로부터 4개의 파일을 동시에 다운로드, 진행 상황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arallel -j4 --bar --eta wget -q {} :::: {{경로/대상/링크.txt}}`
|
||||||
|
|
||||||
|
- `parallel`이 실행 중인 작업을 `stderr`에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arallel -t {{명령어}} ::: {{인수들}}`
|
36
pages.ko/common/parquet-tools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parquet-tools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|||
|
# parquet-tools
|
||||||
|
|
||||||
|
> Parquet 파일을 표시하고 검사하며 조작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apache/parquet-mr>.
|
||||||
|
|
||||||
|
- Parquet 파일 내용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arquet-tools cat {{경로/대상/parquet}}`
|
||||||
|
|
||||||
|
- Parquet 파일의 처음 몇 줄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arquet-tools head {{경로/대상/parquet}}`
|
||||||
|
|
||||||
|
- Parquet 파일의 스키마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arquet-tools schema {{경로/대상/parquet}}`
|
||||||
|
|
||||||
|
- Parquet 파일의 메타데이터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arquet-tools meta {{경로/대상/parquet}}`
|
||||||
|
|
||||||
|
- Parquet 파일의 내용과 메타데이터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arquet-tools dump {{경로/대상/parquet}}`
|
||||||
|
|
||||||
|
- 여러 Parquet 파일을 하나의 대상 파일로 병합:
|
||||||
|
|
||||||
|
`parquet-tools merge {{경로/대상/parquet1}} {{경로/대상/parquet2}} {{경로/대상/대상_parquet}}`
|
||||||
|
|
||||||
|
- Parquet 파일의 행 수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arquet-tools rowcount {{경로/대상/parquet}}`
|
||||||
|
|
||||||
|
- Parquet 파일의 열 및 오프셋 색인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arquet-tools column-index {{경로/대상/parquet}}`
|
32
pages.ko/common/particle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particle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|||
|
# particle
|
||||||
|
|
||||||
|
> Particle 장치를 조작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docs.particle.io/tutorials/developer-tools/cli>.
|
||||||
|
|
||||||
|
- Particle CLI에 로그인하거나 계정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rticle setup`
|
||||||
|
|
||||||
|
- 장치 목록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article 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대화형으로 새 Particle 프로젝트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rticle project create`
|
||||||
|
|
||||||
|
- Particle 프로젝트 컴파일:
|
||||||
|
|
||||||
|
`particle compile {{장치_유형}} {{경로/대상/소스_코드.ino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앱을 원격으로 사용하도록 장치 업데이트:
|
||||||
|
|
||||||
|
`particle flash {{장치_이름}} {{경로/대상/프로그램.bin}}`
|
||||||
|
|
||||||
|
- 최신 펌웨어로 장치를 시리얼로 업데이트:
|
||||||
|
|
||||||
|
`particle flash --serial {{경로/대상/방화벽.bin}}`
|
||||||
|
|
||||||
|
- 장치에서 함수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article call {{장치_이름}} {{함수_이름}} {{함수_인자}}`
|
28
pages.ko/common/pass-otp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pass-otp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pass otp
|
||||||
|
|
||||||
|
> 일회용 비밀번호(OTP) 토큰 관리를 위한 pass 확장 기능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tadfisher/pass-otp#readme>.
|
||||||
|
|
||||||
|
- otpauth URI 토큰을 입력 받고 새로운 pass 파일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ss otp insert {{경로/대상/pass}}`
|
||||||
|
|
||||||
|
- otpauth URI 토큰을 입력 받고 기존 pass 파일에 추가:
|
||||||
|
|
||||||
|
`pass otp append {{경로/대상/pass}}`
|
||||||
|
|
||||||
|
- pass 파일의 OTP 토큰을 사용하여 2FA 코드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ass otp {{경로/대상/pass}}`
|
||||||
|
|
||||||
|
- pass 파일의 OTP 토큰을 사용하여 2FA 코드를 복사하고 출력하지 않음:
|
||||||
|
|
||||||
|
`pass otp --clip {{경로/대상/pass}}`
|
||||||
|
|
||||||
|
- pass 파일에 저장된 OTP 토큰을 사용하여 QR 코드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ass otp uri --qrcode {{경로/대상/pass}}`
|
||||||
|
|
||||||
|
- 발행자 및 계정을 지정하여 OTP 비밀 값을 입력 받고 기존 pass 파일에 추가 (적어도 하나는 지정해야 함):
|
||||||
|
|
||||||
|
`pass otp append --secret --issuer {{발행자_이름}} --account {{계정_이름}} {{경로/대상/pass}}`
|
37
pages.ko/common/pass.md
Normal file
37
pages.ko/common/pass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|||
|
# pass
|
||||||
|
|
||||||
|
> 비밀번호나 기타 민감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기.
|
||||||
|
> 모든 데이터는 GPG로 암호화되며, Git 저장소로 관리됩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passwordstore.org>.
|
||||||
|
|
||||||
|
- 하나 이상의 GPG ID를 사용하여 저장소 초기화 (또는 재암호화):
|
||||||
|
|
||||||
|
`pass init {{gpg_id_1}} {{gpg_id_2}}`
|
||||||
|
|
||||||
|
- 새 비밀번호 및 추가 정보 저장 (새 줄에서 Ctrl + D를 눌러 완료):
|
||||||
|
|
||||||
|
`pass insert --multiline {{경로/대상/데이터}}`
|
||||||
|
|
||||||
|
- 항목 편집:
|
||||||
|
|
||||||
|
`pass edit {{경로/대상/데이터}}`
|
||||||
|
|
||||||
|
- 비밀번호(데이터 파일의 첫 번째 줄)를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||
|
|
||||||
|
`pass -c {{경로/대상/데이터}}`
|
||||||
|
|
||||||
|
- 전체 저장소 트리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ass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된 길이의 새로운 무작위 비밀번호 생성 및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||
|
|
||||||
|
`pass generate -c {{경로/대상/데이터}} {{숫자}}`
|
||||||
|
|
||||||
|
- 새로운 Git 저장소 초기화 (pass에 의해 이루어진 모든 변경 사항은 자동으로 커밋됨):
|
||||||
|
|
||||||
|
`pass git init`
|
||||||
|
|
||||||
|
- 비밀번호 저장소를 대신하여 Git 명령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ass git {{명령}}`
|
20
pages.ko/common/passwd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asswd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|||
|
# passwd
|
||||||
|
|
||||||
|
> 사용자의 비밀번호 변경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passwd>.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대화식으로 변경:
|
||||||
|
|
||||||
|
`passwd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사용자의 비밀번호 변경:
|
||||||
|
|
||||||
|
`passwd {{사용자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자의 현재 상태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passwd {{-S|--status}}`
|
||||||
|
|
||||||
|
- 계정의 비밀번호를 비워서 비밀번호 없이 설정:
|
||||||
|
|
||||||
|
`passwd {{-d|--delete}}`
|
24
pages.ko/common/paste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ast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aste
|
||||||
|
|
||||||
|
> 파일의 라인을 병합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gnu.org/software/coreutils/paste>.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라인을 TAB을 구분자로 사용하여 하나의 라인으로 합치기:
|
||||||
|
|
||||||
|
`paste -s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한 구분자를 사용하여 모든 라인을 하나의 라인으로 합치기:
|
||||||
|
|
||||||
|
`paste -s -d {{구분자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두 파일을 각각의 열로 나란히 병합하고, TAB을 구분자로 사용하기:
|
||||||
|
|
||||||
|
`paste {{경로/대상/파일1}} {{경로/대상/파일2}}`
|
||||||
|
|
||||||
|
- 두 파일을 각각의 열로 나란히 병합하고, 지정한 구분자를 사용하기:
|
||||||
|
|
||||||
|
`paste -d {{구분자}} {{경로/대상/파일1}} {{경로/대상/파일2}}`
|
||||||
|
|
||||||
|
- 두 파일을 번갈아 가며 라인을 추가하여 병합하기:
|
||||||
|
|
||||||
|
`paste -d '\n' {{경로/대상/파일1}} {{경로/대상/파일2}}`
|
24
pages.ko/common/pastel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aste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astel
|
||||||
|
|
||||||
|
> 색상을 생성, 분석, 변환 및 조작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sharkdp/pastel>.
|
||||||
|
|
||||||
|
- 색상을 한 형식에서 다른 형식으로 변환. 여기서는 RGB에서 HSL로 변환:
|
||||||
|
|
||||||
|
`pastel format {{hsl}} {{ff8000}}`
|
||||||
|
|
||||||
|
- 터미널에서 색상을 표시하고 분석:
|
||||||
|
|
||||||
|
`pastel color "{{rgb(255,50,127)}}"`
|
||||||
|
|
||||||
|
- 화면에서 색상 선택:
|
||||||
|
|
||||||
|
`pastel pick`
|
||||||
|
|
||||||
|
-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N개의 색상 세트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stel distinct {{8}}`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X11/CSS 색상 이름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astel list`
|
25
pages.ko/common/patch.md
Normal file
25
pages.ko/common/patch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|||
|
# patch
|
||||||
|
|
||||||
|
> diff 파일을 사용하여 파일(들)을 패치.
|
||||||
|
> diff 파일은 `diff` 명령으로 생성되어야 함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patch>.
|
||||||
|
|
||||||
|
- diff 파일을 사용하여 패치 적용 (파일 이름이 diff 파일에 포함되어야 함):
|
||||||
|
|
||||||
|
`patch < {{패치.diff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파일에 패치 적용:
|
||||||
|
|
||||||
|
`patch {{경로/대상/파일}} < {{패치.diff}}`
|
||||||
|
|
||||||
|
- 다른 파일에 결과를 작성하여 파일 패치:
|
||||||
|
|
||||||
|
`patch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}} -o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}} < {{패치.diff}}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디렉토리에 패치 적용:
|
||||||
|
|
||||||
|
`patch -p1 < {{패치.diff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패치의 반대로 적용:
|
||||||
|
|
||||||
|
`patch -R < {{패치.diff}}`
|
25
pages.ko/common/patchwork.md
Normal file
25
pages.ko/common/patchwork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|||
|
# patchwork
|
||||||
|
|
||||||
|
> `그래프비즈` 파일에서 `squareified treemap` 네트워크 그래프의 이미지를 렌더링합니다.
|
||||||
|
> 레이아웃: `dot`, `neato`, `twopi`, `circo`, `fdp`, `sfdp`, `osage` 및 `patchwork`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raphviz.org/doc/info/command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입력 파일 이름과 출력 형식(대문자 -O)을 기반으로 PNG 이미지를 렌더링:
|
||||||
|
|
||||||
|
`patchwork -T {{png}} -O {{경로/대상/입력.gv}}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된 출력 파일 이름(소문자 -o)으로 SVG 이미지를 렌더링:
|
||||||
|
|
||||||
|
`patchwork -T {{svg}} -o {{경로/대상/이미지.svg}} {{경로/대상/입력.gv}}`
|
||||||
|
|
||||||
|
- 출력을 PS, PDF, SVG, Fig, PNG, GIF, JPEG, JSON 또는 DOT 형식으로 렌더링:
|
||||||
|
|
||||||
|
`patchwork -T {{형식}} -O {{경로/대상/입력.gv}}`
|
||||||
|
|
||||||
|
- `stdin` 및 `stdout`을 사용하여 `gif` 이미지 렌더링:
|
||||||
|
|
||||||
|
`echo "{{digraph {this -> that} }}" | patchwork -T {{gif}} > {{경로/대상/이미지.gif}}`
|
||||||
|
|
||||||
|
- 도움말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atchwork -?`
|
20
pages.ko/common/pathchk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athchk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|||
|
# pathchk
|
||||||
|
|
||||||
|
> 경로명의 유효성과 이식성을 확인합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gnu.org/software/coreutils/pathchk>.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시스템에서 경로명의 유효성을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pathchk {{경로1 경로2 …}}`
|
||||||
|
|
||||||
|
- 더 넓은 범위의 POSIX 호환 시스템에서 경로명의 유효성을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pathchk -p {{경로1 경로2 …}}`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POSIX 호환 시스템에서 경로명의 유효성을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pathchk --portability {{경로1 경로2 …}}`
|
||||||
|
|
||||||
|
- 빈 경로나 선행 대시(-)만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pathchk -P {{경로1 경로2 …}}`
|
28
pages.ko/common/pax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pax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pax
|
||||||
|
|
||||||
|
> 아카이빙 및 복사 유틸리티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pax.1p>.
|
||||||
|
|
||||||
|
- 아카이브 내용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ax -f {{아카이브.tar}}`
|
||||||
|
|
||||||
|
- `gzip` 아카이브 내용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ax -zf {{아카이브.tar.gz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로부터 아카이브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x -wf {{타겟.tar}}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||||||
|
|
||||||
|
- 출력 리디렉션을 사용해 파일로부터 아카이브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ax -w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 > {{타겟.tar}}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디렉토리에 아카이브 추출:
|
||||||
|
|
||||||
|
`pax -rf {{소스.tar}}`
|
||||||
|
|
||||||
|
- 원본 메타데이터를 유지하면서 디렉토리에 복사; `target/`은 존재해야 함:
|
||||||
|
|
||||||
|
`pax -rw {{경로/대상/파일1}} {{경로/대상/폴더1 경로/대상/폴더2 ...}} {{target/}}`
|
21
pages.ko/common/pbzip2.md
Normal file
21
pages.ko/common/pbzip2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|||
|
# pbzip2
|
||||||
|
|
||||||
|
> `bzip2` 파일 압축기의 병렬 구현.
|
||||||
|
> 같이 보기: `bzip2`, `tar`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pbzip2>.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 압축:
|
||||||
|
|
||||||
|
`pbzip2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된 프로세서 수를 사용하여 파일 압축:
|
||||||
|
|
||||||
|
`pbzip2 -p{{4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 [d]압축:
|
||||||
|
|
||||||
|
`pbzip2 --decompress {{경로/대상/압축_파일.bz2}}`
|
||||||
|
|
||||||
|
- 도움말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bzip2 -h`
|
24
pages.ko/common/pcapfix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capfix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capfix
|
||||||
|
|
||||||
|
> 손상되거나 손괴된 PCAP 및 PcapNG 파일 복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f00l.de/pcapfix/>.
|
||||||
|
|
||||||
|
- PCAP/PCapNG 파일 복구 (참고: PCAP 파일의 경우 각 패킷의 처음 262144바이트만 스캔):
|
||||||
|
|
||||||
|
`pcapfix {{경로/대상/파일.pca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전체 PCAP 파일 복구:
|
||||||
|
|
||||||
|
`pcapfix --deep-scan {{경로/대상/파일.pcap}}`
|
||||||
|
|
||||||
|
- PCAP/PcapNG 파일을 복구하고 복구된 파일을 지정된 위치에 저장:
|
||||||
|
|
||||||
|
`pcapfix --outfile {{경로/대상/복구된파일.pcap}} {{경로/대상/파일.pcap}}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된 파일을 자동 인식 무시하고 PcapNG 파일로 처리:
|
||||||
|
|
||||||
|
`pcapfix --pcapng {{경로/대상/파일.pca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을 복구하고 과정을 자세히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capfix --verbose {{경로/대상/파일.pcap}}`
|
8
pages.ko/common/pcdindex.md
Normal file
8
pages.ko/common/pcdindex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|||
|
# pcdindex
|
||||||
|
|
||||||
|
> 이 명령은 `pcdovtoppm`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cdindex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이름으로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||
|
|
||||||
|
`tldr pcdovtoppm`
|
20
pages.ko/common/pcdovtoppm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cdovtoppm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|||
|
# pcdovtoppm
|
||||||
|
|
||||||
|
> 사진 CD의 개요 파일을 기반으로 색인 이미지를 생성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cdovtoppm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PCD 개요 파일에서 PPM 색인 이미지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cdovtoppm {{경로/대상/파일.pcd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||||||
|
|
||||||
|
- 출력 이미지의 최대 너비와 출력에 포함된 각 이미지의 최대 크기 지정:
|
||||||
|
|
||||||
|
`pcdovtoppm -m {{너비}} -s {{크기}} {{경로/대상/파일.pcd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||||||
|
|
||||||
|
- 가로로 배치할 이미지의 최대 수와 최대 색상 수 지정:
|
||||||
|
|
||||||
|
`pcdovtoppm -a {{이미지_수}} -c {{색상_수}} {{경로/대상/파일.pcd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||||||
|
|
||||||
|
- 주석에 사용할 폰트를 지정하고 배경을 흰색으로 칠하기:
|
||||||
|
|
||||||
|
`pcdovtoppm -f {{폰트}} -w {{경로/대상/파일.pcd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16
pages.ko/common/pcxtoppm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cxtoppm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cxtoppm
|
||||||
|
|
||||||
|
> PCX 파일을 PPM 이미지로 변환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cxtoppm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PCX 파일을 PPM 이미지로 변환:
|
||||||
|
|
||||||
|
`pcxtoppm {{경로/대상/파일.pcx}} > {{경로/대상/파일.ppm}}`
|
||||||
|
|
||||||
|
- PCX 파일이 팔레트를 제공하더라도 미리 정의된 표준 팔레트를 사용:
|
||||||
|
|
||||||
|
`pcxtoppm -stdpalette {{경로/대상/파일.pcx}} > {{경로/대상/파일.ppm}}`
|
||||||
|
|
||||||
|
- PCX 헤더 정보를 `stdout`에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cxtoppm -verbose {{경로/대상/파일.pcx}} > {{경로/대상/파일.ppm}}`
|
16
pages.ko/common/peco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eco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eco
|
||||||
|
|
||||||
|
> 인터랙티브 필터링 도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peco/peco>.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된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에서 `peco`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find {{경로/대상/폴더}} -type f | peco`
|
||||||
|
|
||||||
|
-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서 `peco`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s aux | peco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된 쿼리와 함께 `peco`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eco --query "{{쿼리}}"`
|
17
pages.ko/common/pee.md
Normal file
17
pages.ko/common/pe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|||
|
# pee
|
||||||
|
|
||||||
|
> `stdin`을 파이프로 전달하는 도구.
|
||||||
|
> 같이 보기: `tee`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joeyh.name/code/moreutils/>.
|
||||||
|
|
||||||
|
- 각 명령을 실행하고, 각 명령에 `stdin`의 별도 복사본 제공:
|
||||||
|
|
||||||
|
`pee {{명령1 명령2 ...}}`
|
||||||
|
|
||||||
|
- `stdin`의 복사본을 `stdout`에 쓰기 (`tee`처럼 동작):
|
||||||
|
|
||||||
|
`pee cat {{명령1 명령2 ...}}`
|
||||||
|
|
||||||
|
- SIGPIPE 및 쓰기 오류 발생 시 즉시 종료:
|
||||||
|
|
||||||
|
`pee --no-ignore-sigpipe --no-ignore-write-errors {{명령1 명령2 ...}}`
|
24
pages.ko/common/peerflix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eerflix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eerflix
|
||||||
|
|
||||||
|
> 비디오 또는 오디오 기반 토렌트를 미디어 플레이어로 스트리밍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mafintosh/peerflix>.
|
||||||
|
|
||||||
|
- 토렌트에서 가장 큰 미디어 파일 스트리밍:
|
||||||
|
|
||||||
|
`peerflix "{{토렌트_URL|마그넷_링크}}"`
|
||||||
|
|
||||||
|
- 마그넷 링크로 주어진 토렌트에 포함된 모든 스트리밍 가능한 파일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eerflix "{{magnet:?xt=urn:btih:0123456789abcdef0123456789abcdef01234567}}" --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토렌트 URL로 주어진 토렌트에서 가장 큰 파일을 VLC로 스트리밍:
|
||||||
|
|
||||||
|
`peerflix "{{http://example.net/music.torrent}}" --vlc`
|
||||||
|
|
||||||
|
- 자막과 함께 토렌트에서 가장 큰 파일을 MPlayer로 스트리밍:
|
||||||
|
|
||||||
|
`peerflix "{{토렌트_URL|마그넷_링크}}" --mplayer --subtitles {{자막_파일.srt}}`
|
||||||
|
|
||||||
|
- 토렌트의 모든 파일을 Airplay로 스트리밍:
|
||||||
|
|
||||||
|
`peerflix "{{토렌트_URL|마그넷_링크}}" --all --airplay`
|
13
pages.ko/common/peerindex.md
Normal file
13
pages.ko/common/peerindex.md
Normal file
|
@ -0,0 +1,13 @@
|
||||||
|
# peerindex
|
||||||
|
|
||||||
|
> MRT TABLE_DUMPV2 피어 인덱스 테이블 검사.
|
||||||
|
> `gzip`, `bzip2`, `xz`로 압축된 파일을 읽을 수 있습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codeberg.org/1414codeforge/ubgpsuite>.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피어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eerindex {{master6.mrt}}`
|
||||||
|
|
||||||
|
- 라우팅 정보를 제공한 모든 피어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eerindex -r {{master6.mrt}}`
|
20
pages.ko/common/peludna-prognoza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eludna-prognoza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|||
|
# peludna-prognoza
|
||||||
|
|
||||||
|
> Pliva의 알레르기 데이터 API를 사용하여 터미널에서 크로아티아 도시의 꽃가루 측정 데이터를 가져옵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vladimyr/peludna-prognoza>.
|
||||||
|
|
||||||
|
- 도시를 대화형으로 검색하고 데이터를 가져오기:
|
||||||
|
|
||||||
|
`peludna-prognoza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도시의 데이터 가져오기:
|
||||||
|
|
||||||
|
`peludna-prognoza "{{도시}}"`
|
||||||
|
|
||||||
|
- 기계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데이터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eludna-prognoza "{{도시}}" --{{json|x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기본 웹 브라우저에서 <https://plivazdravlje.hr>의 특정 도시 꽃가루 측정 페이지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eludna-prognoza "{{도시}}" --web`
|
20
pages.ko/common/perl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er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|||
|
# perl
|
||||||
|
|
||||||
|
> Perl 5 언어 인터프리터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perl.org>.
|
||||||
|
|
||||||
|
- `stdin`에서 regex1과 일치하고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regex2와 일치하는 행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erl -n -e 'print if m/{{regex1}}/ and m/{{regex2}}/i'`
|
||||||
|
|
||||||
|
- 공백을 무시하고 정규식을 사용하여 첫 번째 매치 그룹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erl -n -E 'say $1 if m/{{이전}} ( {{정규식_그룹}} ) {{이후}}/x'`
|
||||||
|
|
||||||
|
- 백업과 함께 제자리에서 모든 regex 발생을 대체:
|
||||||
|
|
||||||
|
`perl -i'.bak' -p -e 's/{{regex}}/{{대체}}/g' {{경로/대상/파일들}}`
|
||||||
|
|
||||||
|
- Perl의 인라인 문서 사용, 일부 페이지는 Linux의 매뉴얼 페이지에서도 사용 가능:
|
||||||
|
|
||||||
|
`perldoc perlrun ; perldoc module ; perldoc -f splice; perldoc -q perlfaq1`
|
37
pages.ko/common/perlbrew.md
Normal file
37
pages.ko/common/perlbrew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|||
|
# perlbrew
|
||||||
|
|
||||||
|
> 홈 디렉토리에서 Perl 설치를 관리.
|
||||||
|
> 같이 보기: `asdf`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gugod/App-perlbrew>.
|
||||||
|
|
||||||
|
- `perlbrew` 환경 초기화:
|
||||||
|
|
||||||
|
`perlbrew init`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 가능한 Perl 버전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erlbrew available`
|
||||||
|
|
||||||
|
- Perl 버전 설치/제거:
|
||||||
|
|
||||||
|
`perlbrew {{install|uninstall}} {{버전}}`
|
||||||
|
|
||||||
|
- Perl 설치 목록:
|
||||||
|
|
||||||
|
`perlbrew 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설치로 전환하고 기본값으로 설정:
|
||||||
|
|
||||||
|
`perlbrew switch perl-{{버전}}`
|
||||||
|
|
||||||
|
- 시스템 Perl 다시 사용:
|
||||||
|
|
||||||
|
`perlbrew off`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 중인 설치에 대해 설치된 CPAN 모듈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erlbrew list-modules`
|
||||||
|
|
||||||
|
- 한 설치에서 다른 설치로 CPAN 모듈 복제:
|
||||||
|
|
||||||
|
`perlbrew clone-modules {{소스_설치}} {{대상_설치}}`
|
20
pages.ko/common/perldoc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erldoc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|||
|
# perldoc
|
||||||
|
|
||||||
|
> `.pod` 형식의 Perl 문서를 조회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erldoc.perl.org/perldoc>.
|
||||||
|
|
||||||
|
- 내장 함수, 변수 또는 API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||
|
|
||||||
|
`perldoc -{{f|v|a}} {{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Perl FAQ의 질문 제목에서 검색:
|
||||||
|
|
||||||
|
`perldoc -q {{정규식}}`
|
||||||
|
|
||||||
|
- 출력을 직접 `stdout`으로 전송 (기본적으로 페이저로 전송됨):
|
||||||
|
|
||||||
|
`perldoc -T {{페이지|모듈|프로그램|URL}}`
|
||||||
|
|
||||||
|
- 원하는 번역의 언어 코드를 지정:
|
||||||
|
|
||||||
|
`perldoc -L {{언어_코드}} {{페이지|모듈|프로그램|URL}}`
|
32
pages.ko/common/pest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pest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|||
|
# pest
|
||||||
|
|
||||||
|
> 단순성에 중점을 둔 PHP 테스트 프레임워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estphp.com>.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디렉토리에 표준 Pest 구성 초기화:
|
||||||
|
|
||||||
|
`pest --init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디렉토리의 테스트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est`
|
||||||
|
|
||||||
|
- 주어진 그룹으로 주석이 달린 테스트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est --group {{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테스트를 실행하고 커버리지 보고서를 `stdout`에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est --coverage`
|
||||||
|
|
||||||
|
- 커버리지를 포함한 테스트를 실행하고, 커버리지가 최소 퍼센트보다 적으면 실패:
|
||||||
|
|
||||||
|
`pest --coverage --min={{80}}`
|
||||||
|
|
||||||
|
- 테스트를 병렬로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est --parallel`
|
||||||
|
|
||||||
|
- 변이를 포함한 테스트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est --mutate`
|
24
pages.ko/common/pfetch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fetch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fetch
|
||||||
|
|
||||||
|
> 시스템 정보를 표시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dylanaraps/pfetch>.
|
||||||
|
|
||||||
|
- ASCII 아트와 기본 필드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fetch`
|
||||||
|
|
||||||
|
- ASCII 아트와 색상 팔레트 필드만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F_INFO="{{ascii palette}}" pfetch`
|
||||||
|
|
||||||
|
- 가능한 모든 필드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F_INFO="{{ascii title os host kernel uptime pkgs memory shell editor wm de palette}}" pfetch`
|
||||||
|
|
||||||
|
- 다른 사용자 이름과 호스트 이름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USER="{{사용자}}" HOSTNAME="{{호스트명}}" pfetch`
|
||||||
|
|
||||||
|
- 색상 없이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F_COLOR={{0}} pfetch`
|
24
pages.ko/common/pg_ctl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g_ct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g_ctl
|
||||||
|
|
||||||
|
> PostgreSQL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제어하는 유틸리티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postgresql.org/docs/current/app-pg-ctl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새로운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초기화:
|
||||||
|
|
||||||
|
`pg_ctl -D {{데이터_디렉토리}} init`
|
||||||
|
|
||||||
|
- PostgreSQL 서버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g_ctl -D {{데이터_디렉토리}} start`
|
||||||
|
|
||||||
|
- PostgreSQL 서버 중지:
|
||||||
|
|
||||||
|
`pg_ctl -D {{데이터_디렉토리}} stop`
|
||||||
|
|
||||||
|
- PostgreSQL 서버 재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g_ctl -D {{데이터_디렉토리}} restart`
|
||||||
|
|
||||||
|
- PostgreSQL 서버 설정 다시 로드:
|
||||||
|
|
||||||
|
`pg_ctl -D {{데이터_디렉토리}} reload`
|
28
pages.ko/common/pg_dump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pg_dump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pg_dump
|
||||||
|
|
||||||
|
>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스크립트 파일 또는 다른 아카이브 파일로 추출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postgresql.org/docs/current/app-pgdump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데이터베이스를 SQL 스크립트 파일로 덤프:
|
||||||
|
|
||||||
|
`pg_dump {{DB_이름}} > {{출력_파일.sql}}`
|
||||||
|
|
||||||
|
- 위와 동일하게, 사용자 이름을 지정:
|
||||||
|
|
||||||
|
`pg_dump -U {{사용자명}} {{DB_이름}} > {{출력_파일.sql}}`
|
||||||
|
|
||||||
|
- 위와 동일하게, 호스트 및 포트를 지정:
|
||||||
|
|
||||||
|
`pg_dump -h {{호스트}} -p {{포트}} {{DB_이름}} > {{출력_파일.sql}}`
|
||||||
|
|
||||||
|
-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 정의 형식의 아카이브 파일로 덤프:
|
||||||
|
|
||||||
|
`pg_dump -Fc {{DB_이름}} > {{출력_파일.dump}}`
|
||||||
|
|
||||||
|
-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만 SQL 스크립트 파일로 덤프:
|
||||||
|
|
||||||
|
`pg_dump -a {{DB_이름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sql}}`
|
||||||
|
|
||||||
|
- 스키마(데이터 정의)만 SQL 스크립트 파일로 덤프:
|
||||||
|
|
||||||
|
`pg_dump -s {{DB_이름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sql}}`
|
24
pages.ko/common/pg_dumpall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g_dumpal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g_dumpall
|
||||||
|
|
||||||
|
>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스크립트 파일 또는 다른 아카이브 파일로 추출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postgresql.org/docs/current/app-pg-dumpall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데이터베이스 덤프:
|
||||||
|
|
||||||
|
`pg_dumpall > {{경로/대상/파일.sql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사용자 이름을 사용하여 모든 데이터베이스 덤프:
|
||||||
|
|
||||||
|
`pg_dumpall {{-U|--username}} {{사용자_이름}} > {{경로/대상/파일.sql}}`
|
||||||
|
|
||||||
|
- 위와 동일하며, 호스트와 포트 맞춤 설정:
|
||||||
|
|
||||||
|
`pg_dumpall -h {{호스트}} -p {{포트}} > {{출력_파일.sql}}`
|
||||||
|
|
||||||
|
-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SQL 스크립트 파일로만 덤프:
|
||||||
|
|
||||||
|
`pg_dumpall {{-a|--data-only}} > {{경로/대상/파일.sql}}`
|
||||||
|
|
||||||
|
- 스키마(데이터 정의)만 SQL 스크립트 파일로 덤프:
|
||||||
|
|
||||||
|
`pg_dumpall -s > {{출력_파일.sql}}`
|
16
pages.ko/common/pg_isready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g_isready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g_isready
|
||||||
|
|
||||||
|
> PostgreSQL 서버의 연결 상태 확인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postgresql.org/docs/current/app-pg-isready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연결 상태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pg_isready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호스트명과 포트를 사용하여 연결 상태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pg_isready --host={{호스트명}} --port={{포트}}`
|
||||||
|
|
||||||
|
- 연결 실패 시에만 메시지 표시하며 연결 상태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pg_isready --quiet`
|
28
pages.ko/common/pg_restore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pg_restor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pg_restore
|
||||||
|
|
||||||
|
> pg_dump로 생성된 아카이브 파일에서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복원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postgresql.org/docs/current/app-pgrestore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아카이브 복원:
|
||||||
|
|
||||||
|
`pg_restore -d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 {{아카이브_파일.dump}}`
|
||||||
|
|
||||||
|
- 위와 동일하며, 사용자 이름 커스터마이즈:
|
||||||
|
|
||||||
|
`pg_restore -U {{사용자_이름}} -d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 {{아카이브_파일.dump}}`
|
||||||
|
|
||||||
|
- 위와 동일하며, 호스트 및 포트 커스터마이즈:
|
||||||
|
|
||||||
|
`pg_restore -h {{호스트}} -p {{포트}} -d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 {{아카이브_파일.dump}}`
|
||||||
|
|
||||||
|
- 아카이브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객체 목록:
|
||||||
|
|
||||||
|
`pg_restore --list {{아카이브_파일.dump}}`
|
||||||
|
|
||||||
|
-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하기 전에 삭제:
|
||||||
|
|
||||||
|
`pg_restore --clean -d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 {{아카이브_파일.dump}}`
|
||||||
|
|
||||||
|
- 여러 작업을 사용하여 복원:
|
||||||
|
|
||||||
|
`pg_restore -j {{2}} -d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 {{아카이브_파일.dump}}`
|
12
pages.ko/common/pgbench.md
Normal file
12
pages.ko/common/pgbench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|||
|
# pgbench
|
||||||
|
|
||||||
|
> PostgreSQL에 대한 벤치마크 테스트 실행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postgresql.org/docs/10/pgbench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기본 크기의 50배로 데이터베이스 초기화:
|
||||||
|
|
||||||
|
`pgbench --initialize --scale={{50}}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10명의 클라이언트, 2개의 작업 스레드, 클라이언트당 10,000개의 트랜잭션으로 데이터베이스 벤치마크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gbench --client={{10}} --jobs={{2}} --transactions={{10000}}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`
|
16
pages.ko/common/pgrep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grep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grep
|
||||||
|
|
||||||
|
> 이름으로 프로세스를 찾거나 신호를 보냅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manned.org/pgrep>.
|
||||||
|
|
||||||
|
- 실행 중인 프로세스 중 일치하는 명령 문자열을 가진 프로세스의 PID 반환:
|
||||||
|
|
||||||
|
`pgrep {{프로세스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명령줄 옵션을 포함하여 프로세스를 검색:
|
||||||
|
|
||||||
|
`pgrep --full "{{프로세스_이름}} {{매개변수}}"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사용자가 실행한 프로세스를 검색:
|
||||||
|
|
||||||
|
`pgrep --euid root {{프로세스_이름}}`
|
32
pages.ko/common/phan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phan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|||
|
# phan
|
||||||
|
|
||||||
|
> PHP용 정적 분석 도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phan/phan>.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디렉터리에 `.phan/config.php`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han --init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레벨을 사용하여 Phan 구성 파일 생성 (1이 가장 엄격하고 5가 가장 덜 엄격함):
|
||||||
|
|
||||||
|
`phan --init --init-level {{레벨}}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디렉터리 분석:
|
||||||
|
|
||||||
|
`phan`
|
||||||
|
|
||||||
|
- 하나 이상의 디렉터리 분석:
|
||||||
|
|
||||||
|
`phan --directory {{경로/대상/폴더}} --directory {{경로/대상/다른_폴더}}`
|
||||||
|
|
||||||
|
- 구성 파일 지정 (기본값은 `.phan/config.php`):
|
||||||
|
|
||||||
|
`phan --config-file {{경로/대상/config.php}}`
|
||||||
|
|
||||||
|
- 출력 모드 지정:
|
||||||
|
|
||||||
|
`phan --output-mode {{text|verbose|json|csv|codeclimate|checkstyle|pylint|ht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병렬 프로세스 수 지정:
|
||||||
|
|
||||||
|
`phan --processes {{프로세스_수}}`
|
36
pages.ko/common/phing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phing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|||
|
# phing
|
||||||
|
|
||||||
|
> Apache Ant를 기반으로 한 PHP 빌드 도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phing.info>.
|
||||||
|
|
||||||
|
- `build.xml` 파일에서 기본 태스크 수행:
|
||||||
|
|
||||||
|
`phing`
|
||||||
|
|
||||||
|
- 새 빌드 파일 초기화:
|
||||||
|
|
||||||
|
`phing -i {{경로/대상/build.x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태스크 수행:
|
||||||
|
|
||||||
|
`phing {{태스크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된 빌드 파일 경로 사용:
|
||||||
|
|
||||||
|
`phing -f {{경로/대상/build.xml}} {{태스크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주어진 파일에 로그 기록:
|
||||||
|
|
||||||
|
`phing -logfile {{경로/대상/로그_파일}} {{태스크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빌드에서 사용자 정의 속성 사용:
|
||||||
|
|
||||||
|
`phing -D{{속성}}={{값}} {{태스크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자 정의 리스너 클래스 지정:
|
||||||
|
|
||||||
|
`phing -listener {{클래스_이름}} {{태스크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자세한 출력으로 빌드:
|
||||||
|
|
||||||
|
`phing -verbose {{태스크_이름}}`
|
36
pages.ko/common/phive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phive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|||
|
# phive
|
||||||
|
|
||||||
|
> 안전한 PHP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Phar 설치 및 검증 환경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har.io>.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 가능한 별칭이 있는 Phar 목록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hive 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한 Phar를 로컬 디렉터리에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hive install {{별칭|url}}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한 Phar를 전역적으로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hive install {{별칭|url}} --global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한 Phar를 대상 디렉터리에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hive install {{별칭|url}} --target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Phar 파일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:
|
||||||
|
|
||||||
|
`phive update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한 Phar 파일 제거:
|
||||||
|
|
||||||
|
`phive remove {{별칭|url}}`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하지 않는 Phar 파일 제거:
|
||||||
|
|
||||||
|
`phive purge`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 가능한 모든 명령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hive help`
|
9
pages.ko/common/pi1toppm.md
Normal file
9
pages.ko/common/pi1toppm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|||
|
# pi1toppm
|
||||||
|
|
||||||
|
> Atari Degas PI1 이미지를 PPM 이미지로 변환.
|
||||||
|
> 같이 보기: `ppmtopi1`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i1toppm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Atari Degas PI1 이미지를 PPM 이미지로 변환:
|
||||||
|
|
||||||
|
`pi1toppm {{경로/대상/아타리_이미지.pi1}} > {{경로/대상/이미지.ppm}}`
|
9
pages.ko/common/pi3topbm.md
Normal file
9
pages.ko/common/pi3topbm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|||
|
# pi3topbm
|
||||||
|
|
||||||
|
> Atari Degas PI3 이미지를 PBM 이미지로 변환.
|
||||||
|
> 같이 보기: `pbmtopi3`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i3topbm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Atari Degas PI3 이미지를 PBM 이미지로 변환:
|
||||||
|
|
||||||
|
`pi1topbm {{경로/대상/아타리_이미지.pi3}} > {{경로/대상/출력_이미지.pbm}}`
|
36
pages.ko/common/piactl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piactl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|||
|
# piactl
|
||||||
|
|
||||||
|
> 상업용 VPN 제공업체인 Private Internet Access의 명령줄 도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helpdesk.privateinternetaccess.com/kb/articles/pia-desktop-command-line-interface-part-1>.
|
||||||
|
|
||||||
|
- Private Internet Access에 로그인:
|
||||||
|
|
||||||
|
`piactl login {{경로/대상/로그인_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Private Internet Access에 연결:
|
||||||
|
|
||||||
|
`piactl connect`
|
||||||
|
|
||||||
|
- Private Internet Access에서 연결 해제:
|
||||||
|
|
||||||
|
`piactl disconnect`
|
||||||
|
|
||||||
|
- 백그라운드에서 Private Internet Access 데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:
|
||||||
|
|
||||||
|
`piactl background {{enable|disable}}`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 가능한 모든 VPN 지역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iactl get regions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VPN 지역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iactl get region`
|
||||||
|
|
||||||
|
- VPN 지역 설정:
|
||||||
|
|
||||||
|
`piactl set region {{지역}}`
|
||||||
|
|
||||||
|
- Private Internet Access에서 로그아웃:
|
||||||
|
|
||||||
|
`piactl logout`
|
13
pages.ko/common/pic.md
Normal file
13
pages.ko/common/pic.md
Normal file
|
@ -0,0 +1,13 @@
|
||||||
|
# pic
|
||||||
|
|
||||||
|
> groff (GNU Troff) 문서 형식 시스템을 위한 그림 전처리기.
|
||||||
|
> 같이 보기: `groff`, `troff`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pic>.
|
||||||
|
|
||||||
|
- 그림이 포함된 입력을 처리하고, 나중에 groff를 사용하여 PostScript로 조판하기 위해 출력 저장:
|
||||||
|
|
||||||
|
`pic {{경로/대상/입력.pic}} > {{경로/대상/출력.roff}}`
|
||||||
|
|
||||||
|
- [me] 매크로 패키지를 사용하여 그림이 포함된 입력을 PDF로 조판:
|
||||||
|
|
||||||
|
`pic -T {{pdf}} {{경로/대상/입력.pic}} | groff -{{me}} -T {{pdf}} > {{경로/대상/출력.pdf}}`
|
16
pages.ko/common/picard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icard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icard
|
||||||
|
|
||||||
|
> 차세대 MusicBrainz 태그 지정 애플리케이션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icard.musicbrainz.org/>.
|
||||||
|
|
||||||
|
- Picard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icard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 세트 열기:
|
||||||
|
|
||||||
|
`picard {{경로/대상/파일1.mp3}} {{경로/대상/파일2.mp3}}`
|
||||||
|
|
||||||
|
- 설치된 Picard의 버전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icard --long-version`
|
16
pages.ko/common/picgo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icgo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icgo
|
||||||
|
|
||||||
|
> 이미지를 이미지 호스팅 서비스에 업로드 (기본은 SM.MS)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PicGo/PicGo-Core>.
|
||||||
|
|
||||||
|
- 호스팅 서비스를 대화형으로 선택:
|
||||||
|
|
||||||
|
`picgo set uploader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클립보드의 이미지 업로드:
|
||||||
|
|
||||||
|
`picgo upload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경로의 이미지 업로드:
|
||||||
|
|
||||||
|
`picgo upload {{경로/대상/이미지}}`
|
20
pages.ko/common/pickle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ickl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|||
|
# pickle
|
||||||
|
|
||||||
|
> Composer 기반의 PHP 확장 프로그램 설치 도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FriendsOfPHP/pickle>.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PHP 확장 프로그램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ckle install {{확장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기존 PECL 확장 구성 파일을 Pickle 구성 파일로 변환:
|
||||||
|
|
||||||
|
`pickle convert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||
|
|
||||||
|
- PECL 확장 유효성 검사:
|
||||||
|
|
||||||
|
`pickle validate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||
|
|
||||||
|
- PECL 확장을 릴리스용으로 패키징:
|
||||||
|
|
||||||
|
`pickle release {{경로/대상/폴더}}`
|
12
pages.ko/common/picocom.md
Normal file
12
pages.ko/common/picocom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|||
|
# picocom
|
||||||
|
|
||||||
|
> 시리얼 콘솔을 에뮬레이트하기 위한 최소한의 프로그램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picocom>.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된 전송 속도로 시리얼 콘솔에 연결:
|
||||||
|
|
||||||
|
`picocom {{/dev/ttyXYZ}} --baud {{전송_속도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수 문자 매핑 (예: `LF`를 `CRLF`로):
|
||||||
|
|
||||||
|
`picocom {{/dev/ttyXYZ}} --imap {{lfcrlf}}`
|
20
pages.ko/common/picom-trans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icom-tran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|||
|
# picom-trans
|
||||||
|
|
||||||
|
> `picom` 윈도우 합성기의 윈도우 투명도를 설정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yshui/picom>.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포커스된 윈도우의 투명도를 특정 퍼센트로 설정:
|
||||||
|
|
||||||
|
`picom-trans --current --opacity {{90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이름을 가진 윈도우의 투명도를 설정:
|
||||||
|
|
||||||
|
`picom-trans --name {{Firefox}} --opacity {{90}}`
|
||||||
|
|
||||||
|
- 마우스 커서로 선택한 특정 윈도우의 투명도를 설정:
|
||||||
|
|
||||||
|
`picom-trans --select --opacity {{90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윈도우의 투명도를 토글:
|
||||||
|
|
||||||
|
`picom-trans --name {{Firefox}} --toggle`
|
16
pages.ko/common/picttoppm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icttoppm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icttoppm
|
||||||
|
|
||||||
|
> Macintosh PICT 파일을 PPM 이미지로 변환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icttoppm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PICT 파일을 PPM 이미지로 변환:
|
||||||
|
|
||||||
|
`picttoppm {{경로/대상/파일.pict}} > {{경로/대상/파일.ppm}}`
|
||||||
|
|
||||||
|
- PICT 파일의 모든 이미지를 최대 해상도로 출력하도록 강제:
|
||||||
|
|
||||||
|
`picttoppm -fullres {{경로/대상/파일.pict}} > {{경로/대상/파일.ppm}}`
|
||||||
|
|
||||||
|
- 입력 파일에 PICT 헤더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지 않고, quickdraw 작업만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icttoppm -noheader -quickdraw {{경로/대상/파일.pict}} > {{경로/대상/파일.ppm}}`
|
28
pages.ko/common/pigz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pigz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pigz
|
||||||
|
|
||||||
|
> 멀티스레드 zlib 압축 유틸리티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madler/pigz>.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을 기본 옵션으로 압축:
|
||||||
|
|
||||||
|
`pigz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최상의 압축 방법으로 파일 압축:
|
||||||
|
|
||||||
|
`pigz -9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압축 없이 4개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파일 압축:
|
||||||
|
|
||||||
|
`pigz -0 -p{{4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디렉터리를 tar로 압축:
|
||||||
|
|
||||||
|
`tar cf - {{경로/대상/폴더}} | pigz > {{경로/대상/파일.tar.gz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 압축 해제:
|
||||||
|
|
||||||
|
`pigz -d {{아카이브.gz}}`
|
||||||
|
|
||||||
|
- 아카이브의 내용 목록:
|
||||||
|
|
||||||
|
`pigz -l {{아카이브.tar.gz}}`
|
32
pages.ko/common/ping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ping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|||
|
# ping
|
||||||
|
|
||||||
|
> 네트워크 호스트에 ICMP ECHO_REQUEST 패킷을 전송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ping>.
|
||||||
|
|
||||||
|
- 호스트에 핑:
|
||||||
|
|
||||||
|
`ping {{호스트}}`
|
||||||
|
|
||||||
|
- 호스트에 특정 횟수만큼 핑:
|
||||||
|
|
||||||
|
`ping -c {{횟수}} {{호스트}}`
|
||||||
|
|
||||||
|
- 요청 간격(초)을 지정하여 호스트에 핑 (기본값은 1초):
|
||||||
|
|
||||||
|
`ping -i {{초}} {{호스트}}`
|
||||||
|
|
||||||
|
- 주소에 대한 기호 이름 조회 없이 호스트에 핑:
|
||||||
|
|
||||||
|
`ping -n {{호스트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킷 수신 시 벨 소리 울리면서 호스트에 핑 (터미널에서 지원하는 경우):
|
||||||
|
|
||||||
|
`ping -a {{호스트}}`
|
||||||
|
|
||||||
|
- 응답이 없을 경우 메시지도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ing -O {{호스트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횟수의 핑, 각 응답의 타임아웃 (`-W`), 전체 핑 실행의 총 시간 제한 (`-w`)을 지정하여 호스트에 핑:
|
||||||
|
|
||||||
|
`ping -c {{횟수}} -W {{초}} -w {{초}} {{호스트}}`
|
24
pages.ko/common/ping6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ing6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ing6
|
||||||
|
|
||||||
|
> IPv6 주소를 통해 네트워크 호스트에 ICMP ECHO_REQUEST 패킷을 전송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ping6>.
|
||||||
|
|
||||||
|
- 호스트에 핑:
|
||||||
|
|
||||||
|
`ping6 {{호스트}}`
|
||||||
|
|
||||||
|
- 호스트에 특정 횟수만큼 핑:
|
||||||
|
|
||||||
|
`ping6 -c {{횟수}} {{호스트}}`
|
||||||
|
|
||||||
|
- 요청 간격을 초 단위로 지정하여 호스트에 핑 (기본값은 1초):
|
||||||
|
|
||||||
|
`ping6 -i {{초}} {{호스트}}`
|
||||||
|
|
||||||
|
- 주소에 대한 기호 이름을 조회하지 않고 호스트에 핑:
|
||||||
|
|
||||||
|
`ping6 -n {{호스트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킷을 수신할 때 벨 소리를 울리며 호스트에 핑 (터미널이 지원하는 경우):
|
||||||
|
|
||||||
|
`ping6 -a {{호스트}}`
|
28
pages.ko/common/pinky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pinky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pinky
|
||||||
|
|
||||||
|
> `finger`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출력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pinky>.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사용자에 대한 세부 정보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inky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사용자에 대한 세부 정보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inky {{사용자}}`
|
||||||
|
|
||||||
|
- 긴 형식으로 세부 정보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inky {{사용자}} -l`
|
||||||
|
|
||||||
|
- 긴 형식에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와 셸 생략:
|
||||||
|
|
||||||
|
`pinky {{사용자}} -lb`
|
||||||
|
|
||||||
|
- 긴 형식에서 사용자의 프로젝트 파일 생략:
|
||||||
|
|
||||||
|
`pinky {{사용자}} -lh`
|
||||||
|
|
||||||
|
- 짧은 형식에서 열 제목 생략:
|
||||||
|
|
||||||
|
`pinky {{사용자}} -f`
|
24
pages.ko/common/pint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in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int
|
||||||
|
|
||||||
|
> PHP 코드 스타일을 고정하는 의견이 반영된 도구로, PHP-CS-Fixer를 기반으로 합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aravel.com/docs/pint>.
|
||||||
|
|
||||||
|
- 코드 스타일 수정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int`
|
||||||
|
|
||||||
|
- 변경된 모든 파일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int -v`
|
||||||
|
|
||||||
|
- 변경을 적용하지 않고 코드 스타일 린팅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int --test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구성 파일을 사용하여 코드 스타일 수정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int --config {{경로/대상/pint.json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프리셋을 사용하여 코드 스타일 수정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int --preset {{psr12}}`
|
12
pages.ko/common/pinta.md
Normal file
12
pages.ko/common/pinta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|||
|
# pinta
|
||||||
|
|
||||||
|
> 무료 오픈 소스 드로잉 및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pinta-project.com/>.
|
||||||
|
|
||||||
|
- Pinta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inta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파일 열기:
|
||||||
|
|
||||||
|
`pinta {{경로/대상/이미지1 경로/대상/이미지2 ...}}`
|
24
pages.ko/common/pip-freeze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ip-freez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ip freeze
|
||||||
|
|
||||||
|
> 설치된 패키지를 요구 사항 형식으로 나열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ip.pypa.io/en/stable/cli/pip_freeze>.
|
||||||
|
|
||||||
|
- 설치된 패키지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ip freeze`
|
||||||
|
|
||||||
|
- 설치된 패키지를 나열하고 `requirements.txt` 파일에 작성:
|
||||||
|
|
||||||
|
`pip freeze > requirements.txt`
|
||||||
|
|
||||||
|
- 가상 환경에서 설치된 패키지를 나열하고, 전역적으로 설치된 패키지를 제외:
|
||||||
|
|
||||||
|
`pip freeze --local > requirements.txt`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자 사이트에 설치된 패키지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ip freeze --user > requirements.txt`
|
||||||
|
|
||||||
|
- `pip`, `distribute`, `setuptools`, `wheel`을 포함한 모든 패키지 나열 (기본적으로 생략됨):
|
||||||
|
|
||||||
|
`pip freeze --all > requirements.txt`
|
24
pages.ko/common/pip-install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ip-instal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ip install
|
||||||
|
|
||||||
|
> Python 패키지 설치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ip.pypa.io>.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p install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버전의 패키지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p install {{패키지}}=={{버전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에 나열된 패키지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p install -r {{경로/대상/requirements.txt}}`
|
||||||
|
|
||||||
|
- URL 또는 로컬 파일 아카이브(.tar.gz | .whl)에서 패키지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p install --find-links {{url|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로컬 패키지를 개발(수정 가능) 모드로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p install --editable {{.}}`
|
16
pages.ko/common/pip-uninstall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ip-uninstall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ip uninstall
|
||||||
|
|
||||||
|
> Python 패키지 제거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ip.pypa.io>.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 제거:
|
||||||
|
|
||||||
|
`pip uninstall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파일에 나열된 패키지 제거:
|
||||||
|
|
||||||
|
`pip uninstall --requirement {{경로/대상/requirements.txt}}`
|
||||||
|
|
||||||
|
- 확인 요청 없이 패키지 제거:
|
||||||
|
|
||||||
|
`pip uninstall --yes {{패키지}}`
|
33
pages.ko/common/pip.md
Normal file
33
pages.ko/common/pip.md
Normal file
|
@ -0,0 +1,33 @@
|
||||||
|
# pip
|
||||||
|
|
||||||
|
> Python 패키지 관리자.
|
||||||
|
> `install`와 같은 일부 하위 명령에는 자체 사용 설명서가 있습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ip.pypa.io>.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 설치 (`pip install`에서 더 많은 설치 예시 확인 가능):
|
||||||
|
|
||||||
|
`pip install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시스템 전역 기본 위치 대신 사용자 디렉토리에 패키지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p install --user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 업그레이드:
|
||||||
|
|
||||||
|
`pip install --upgrade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 제거:
|
||||||
|
|
||||||
|
`pip uninstall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설치된 패키지를 파일에 저장:
|
||||||
|
|
||||||
|
`pip freeze > {{requirements.txt}}`
|
||||||
|
|
||||||
|
- 설치된 패키지 정보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ip show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에서 패키지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p install --requirement {{requirements.txt}}`
|
32
pages.ko/common/pip3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pip3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|||
|
# pip3
|
||||||
|
|
||||||
|
> Python 패키지 관리자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ip.pypa.io>.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p3 install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버전의 패키지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p3 install {{패키지}}=={{버전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 업그레이드:
|
||||||
|
|
||||||
|
`pip3 install --upgrade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 제거:
|
||||||
|
|
||||||
|
`pip3 uninstall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설치된 패키지 목록을 파일에 저장:
|
||||||
|
|
||||||
|
`pip3 freeze > {{requirements.txt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일에서 패키지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p3 install --requirement {{requirements.txt}}`
|
||||||
|
|
||||||
|
- 설치된 패키지 정보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ip3 show {{패키지}}`
|
37
pages.ko/common/pipenv.md
Normal file
37
pages.ko/common/pipenv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|||
|
# pipenv
|
||||||
|
|
||||||
|
> 간단하고 통합된 Python 개발 워크플로우.
|
||||||
|
> 프로젝트의 패키지 및 가상 환경 관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ypi.org/project/pipenv>.
|
||||||
|
|
||||||
|
- 새 프로젝트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ipenv`
|
||||||
|
|
||||||
|
- Python 3를 사용하여 새 프로젝트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ipenv --three`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penv install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의 모든 의존성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penv install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의 모든 의존성 설치 (개발 패키지 포함):
|
||||||
|
|
||||||
|
`pipenv install --dev`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 제거:
|
||||||
|
|
||||||
|
`pipenv uninstall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생성된 가상 환경에서 쉘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ipenv shell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의 `requirements.txt` (의존성 목록)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ipenv lock --requirements`
|
25
pages.ko/common/piper.md
Normal file
25
pages.ko/common/pip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|||
|
# piper
|
||||||
|
|
||||||
|
> 빠르고 로컬에서 동작하는 신경망 기반의 텍스트 음성 변환 시스템.
|
||||||
|
> <https://rhasspy.github.io/piper-samples>에서 음성 모델을 시도해보고 다운로드하세요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rhasspy/piper>.
|
||||||
|
|
||||||
|
- 텍스트 음성 변환 [m]모델을 사용하여 WAV [f]파일 출력(모델 경로에 대한 config 파일이 있을 경우):
|
||||||
|
|
||||||
|
`echo {{말할 내용}} | piper -m {{경로/대상/모델.onnx}} -f {{출력파일.wav}}`
|
||||||
|
|
||||||
|
- [m]모델과 JSON [c]설정 파일을 지정하여 WAV [f]파일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echo {{'말할 내용'}} | piper -m {{경로/대상/모델.onnx}} -c {{경로/대상/모델.onnx.json}} -f {{출력파일.wav}}`
|
||||||
|
|
||||||
|
- 여러 명의 화자가 있는 음성에서 특정 화자를 ID 번호로 선택:
|
||||||
|
|
||||||
|
`echo {{'Warum?'}} | piper -m {{de_DE-thorsten_emotional-medium.onnx}} --speaker {{1}} -f {{화남.wav}}`
|
||||||
|
|
||||||
|
- mpv 미디어 플레이어로 출력을 스트리밍:
|
||||||
|
|
||||||
|
`echo {{'Hello world'}} | piper -m {{en_GB-northern_english_male-medium.onnx}} --output-raw -f - | mpv -`
|
||||||
|
|
||||||
|
- 두 배 빠르게 말하고 문장 사이에 큰 간격을 두기:
|
||||||
|
|
||||||
|
`echo {{'두 배 속도로 말합니다. 드라마틱하게!'}} | piper -m {{foo.onnx}} --length_scale {{0.5}} --sentence_silence {{2}} -f {{드라마.wav}}`
|
24
pages.ko/common/pipes.sh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ipes.sh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ipes.sh
|
||||||
|
|
||||||
|
> 터미널에 무작위 경로의 파이프를 그리는 Bash 스크립트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pipeseroni/pipes.sh>.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이프의 패턴 변경:
|
||||||
|
|
||||||
|
`pipes.sh -t {{0..9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이프의 색상 변경:
|
||||||
|
|
||||||
|
`pipes.sh -c {{0..7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이프의 프레임 속도 변경:
|
||||||
|
|
||||||
|
`pipes.sh -f {{20..100}}`
|
||||||
|
|
||||||
|
- 색상 비활성화:
|
||||||
|
|
||||||
|
`pipes.sh -C`
|
||||||
|
|
||||||
|
- 버전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ipes.sh -v`
|
32
pages.ko/common/pipx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pipx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|||
|
# pipx
|
||||||
|
|
||||||
|
> Python 애플리케이션을 격리된 환경에서 설치하고 실행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pypa/pipx>.
|
||||||
|
|
||||||
|
- 임시 가상 환경에서 앱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ipx run {{pycowsay}} {{moo}}`
|
||||||
|
|
||||||
|
- 가상 환경에 패키지 설치 및 진입점을 경로에 추가:
|
||||||
|
|
||||||
|
`pipx install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설치된 패키지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ipx 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실행 파일과 다른 패키지 이름으로 임시 가상 환경에서 앱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ipx run --spec {{httpx-cli}} {{httpx}} {{http://www.github.com}}`
|
||||||
|
|
||||||
|
- 기존 가상 환경에 의존성 추가:
|
||||||
|
|
||||||
|
`pipx inject {{패키지}} {{의존성1 의존성2 ...}}`
|
||||||
|
|
||||||
|
- pip 인자를 사용하여 가상 환경에 패키지 설치:
|
||||||
|
|
||||||
|
`pipx install --pip-args='{{pip-인자}}'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설치된 패키지 업그레이드/재설치/제거:
|
||||||
|
|
||||||
|
`pipx {{upgrade-all|uninstall-all|reinstall-all}}`
|
28
pages.ko/common/pixi-config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pixi-config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pixi config
|
||||||
|
|
||||||
|
> 설정 파일을 관리합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ixi.sh/latest/reference/cli/#config>.
|
||||||
|
|
||||||
|
- 설정 파일 편집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config edit`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설정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config 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리스트 형식의 설정 키에 값을 앞에 추가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config prepend {{키}} {{값}}`
|
||||||
|
|
||||||
|
- 리스트 형식의 설정 키에 값을 뒤에 추가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config append {{키}} {{값}}`
|
||||||
|
|
||||||
|
- 설정 키에 값을 설정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config set {{키}} {{값}}`
|
||||||
|
|
||||||
|
- 설정 키 해제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config unset {{키}}`
|
24
pages.ko/common/pixi-global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ixi-globa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ixi global
|
||||||
|
|
||||||
|
> 전역 패키지를 관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ixi.sh/latest/reference/cli/#global>.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를 전역으로 설치하고 경로에 추가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global install {{패키지1 패키지2 ...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패키지를 전역에서 제거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global remove {{패키지1 패키지2 ...}}`
|
||||||
|
|
||||||
|
- 전역으로 설치된 모든 패키지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global 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전역으로 설치된 패키지 업데이트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global upgrade {{패키지}}`
|
||||||
|
|
||||||
|
- 전역으로 설치된 모든 패키지 업데이트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global upgrade-all`
|
24
pages.ko/common/pixi-project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pixi-projec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pixi project
|
||||||
|
|
||||||
|
> 프로젝트 구성 파일 수정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ixi.sh/latest/reference/cli/#project>.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 채널 관리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project channel {{명령}}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 설명 관리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project description {{명령}}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 플랫폼 관리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project platform {{명령}}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 버전 관리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project version {{명령}}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 환경 관리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project environment {{명령}}`
|
20
pages.ko/common/pixi-task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pixi-task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|||
|
# pixi task
|
||||||
|
|
||||||
|
> 프로젝트 환경에서 작업을 관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ixi.sh/latest/reference/cli/#task>.
|
||||||
|
|
||||||
|
- 새 작업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task add {{작업_이름}} {{작업_명령}}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의 모든 작업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task 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작업 제거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task remove {{작업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작업에 대한 별칭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task alias {{별칭_이름}} {{작업1 작업2 ...}}`
|
32
pages.ko/common/pixi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pixi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|||
|
# pixi
|
||||||
|
|
||||||
|
> 프로젝트를 위한 개발자 워크플로우 및 환경 관리 도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ixi.sh>.
|
||||||
|
|
||||||
|
- 새 프로젝트 초기화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init {{경로/대상/프로젝트}}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 의존성 추가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add {{의존성1 의존성2 ...}}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 환경에서 pixi 셸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shell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 환경에서 작업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run {{작업}}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 환경에서 작업 관리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task {{명령}}`
|
||||||
|
|
||||||
|
- 도움말 메시지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{{명령}} --help`
|
||||||
|
|
||||||
|
- 환경 및 작업 캐시 정리:
|
||||||
|
|
||||||
|
`pixi clean`
|
16
pages.ko/common/pixiecore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ixiecor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ixiecore
|
||||||
|
|
||||||
|
> 네트워크 부팅을 관리하는 도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danderson/netboot/tree/master/pixiecore>.
|
||||||
|
|
||||||
|
- `netboot.xyz` 부팅 이미지를 제공하는 PXE 부팅 서버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ixiecore {{quick}} xyz --dhcp-no-bind`
|
||||||
|
|
||||||
|
- Ubuntu 부팅 이미지를 제공하는 새로운 PXE 부팅 서버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ixiecore {{quick}} ubuntu --dhcp-no-bind`
|
||||||
|
|
||||||
|
- 빠른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부팅 이미지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ixiecore quick --help`
|
21
pages.ko/common/pixterm.md
Normal file
21
pages.ko/common/pixterm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|||
|
# pixterm
|
||||||
|
|
||||||
|
> 이미지 터미널 출력 도구.
|
||||||
|
> 같이 보기: `chafa`, `catimg`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eliukblau/pixterm>.
|
||||||
|
|
||||||
|
- 정적 이미지를 터미널에 직접 렌더링:
|
||||||
|
|
||||||
|
`pixterm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이미지의 원본 가로세로 비율 사용:
|
||||||
|
|
||||||
|
`pixterm -s 2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터미널 행 및 열 수를 사용하여 사용자 정의 가로세로 비율 지정:
|
||||||
|
|
||||||
|
`pixterm -tr {{24}} -tc {{80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무광 배경색 및 문자 디더링으로 출력 필터링:
|
||||||
|
|
||||||
|
`pixterm -m {{000000}} -d 2 {{경로/대상/파일}}`
|
8
pages.ko/common/pjtoppm.md
Normal file
8
pages.ko/common/pjtoppm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|||
|
# pjtoppm
|
||||||
|
|
||||||
|
> HP PaintJet 파일을 PPM으로 변환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jtoppm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HP PaintJet 파일을 PPM으로 변환:
|
||||||
|
|
||||||
|
`pjtoppm {{경로/대상/입력.pj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|
16
pages.ko/common/pkg-config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kg-config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kg-config
|
||||||
|
|
||||||
|
> 애플리케이션 컴파일을 위한 설치된 라이브러리의 세부 정보를 제공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freedesktop.org/wiki/Software/pkg-config/>.
|
||||||
|
|
||||||
|
- 라이브러리 및 그 의존성 목록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pkg-config --libs {{라이브러리1 라이브러리2 ...}}`
|
||||||
|
|
||||||
|
- 라이브러리, 그 의존성 및 gcc에 대한 적절한 cflags 목록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pkg-config --cflags --libs {{라이브러리1 라이브러리2 ...}}`
|
||||||
|
|
||||||
|
- libgtk-3, libwebkit2gtk-4.0 및 모든 의존성을 사용하여 코드 컴파일:
|
||||||
|
|
||||||
|
`c++ example.cpp $(pkg-config --cflags --libs gtk+-3.0 webkit2gtk-4.0) -o example`
|
36
pages.ko/common/plantuml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plantuml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|||
|
# plantuml
|
||||||
|
|
||||||
|
> 일반 텍스트 언어로 UML 다이어그램을 작성하고 다양한 형식으로 렌더링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lantuml.com/en/command-line>.
|
||||||
|
|
||||||
|
- 다이어그램을 기본 형식(PNG)으로 렌더링:
|
||||||
|
|
||||||
|
`plantuml {{다이어그램1.puml}} {{다이어그램2.pu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주어진 형식(예: `png`, `pdf`, `svg`, `txt`)으로 다이어그램 렌더링:
|
||||||
|
|
||||||
|
`plantuml -t {{형식}} {{다이어그램.pu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디렉토리의 모든 다이어그램 렌더링:
|
||||||
|
|
||||||
|
`plantuml {{경로/대상/다이어그램}}`
|
||||||
|
|
||||||
|
- 출력 디렉토리에 다이어그램 렌더링:
|
||||||
|
|
||||||
|
`plantuml -o {{경로/대상/출력}} {{다이어그램.pu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다이어그램의 소스 코드를 저장하지 않고 렌더링 (참고: `-nometadata` 옵션이 지정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저장됨):
|
||||||
|
|
||||||
|
`plantuml -nometadata {{다이어그램.png}} > {{다이어그램.pu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`plantuml` 다이어그램의 메타데이터에서 소스 코드 가져오기:
|
||||||
|
|
||||||
|
`plantuml -metadata {{다이어그램.png}} > {{다이어그램.pu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구성 파일을 사용하여 다이어그램 렌더링:
|
||||||
|
|
||||||
|
`plantuml -config {{구성.cfg}} {{다이어그램.pu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도움말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lantuml -help`
|
21
pages.ko/common/play.md
Normal file
21
pages.ko/common/play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|||
|
# play
|
||||||
|
|
||||||
|
> SoX - Sound eXchange의 오디오 플레이어.
|
||||||
|
> 파일 확장자로 식별된 오디오 형식을 재생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ox.sourceforge.net>.
|
||||||
|
|
||||||
|
- 주어진 오디오 파일 재생:
|
||||||
|
|
||||||
|
`play {{경로/대상/오디오_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주어진 여러 오디오 파일 재생:
|
||||||
|
|
||||||
|
`play {{경로/대상/오디오_파일1 경로/대상/오디오_파일2 ...}}`
|
||||||
|
|
||||||
|
- 주어진 오디오를 두 배 속도로 재생:
|
||||||
|
|
||||||
|
`play {{경로/대상/오디오_파일}} speed 2.0`
|
||||||
|
|
||||||
|
- 주어진 오디오를 거꾸로 재생:
|
||||||
|
|
||||||
|
`play {{경로/대상/오디오_파일}} reverse`
|
32
pages.ko/common/plenv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plenv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|||
|
# plenv
|
||||||
|
|
||||||
|
> 여러 Perl 버전을 전환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tokuhirom/plenv>.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선택된 Perl 버전과 선택 방법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lenv version`
|
||||||
|
|
||||||
|
- 설치된 모든 Perl 버전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lenv versions`
|
||||||
|
|
||||||
|
- 전역 Perl 버전 설정 (로컬 또는 셸 버전이 우선하지 않는 한 사용):
|
||||||
|
|
||||||
|
`plenv global {{버전}}`
|
||||||
|
|
||||||
|
- 로컬 애플리케이션 전용 Perl 버전 설정 (현재 디렉토리 및 하위 디렉토리에서 사용):
|
||||||
|
|
||||||
|
`plenv local {{버전}}`
|
||||||
|
|
||||||
|
- 셸 전용 Perl 버전 설정 (현재 세션에서만 사용):
|
||||||
|
|
||||||
|
`plenv shell {{버전}}`
|
||||||
|
|
||||||
|
- 도움말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lenv`
|
||||||
|
|
||||||
|
- 명령에 대한 도움말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lenv help {{명령}}`
|
28
pages.ko/common/plesk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plesk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plesk
|
||||||
|
|
||||||
|
> Plesk 호스팅 제어 패널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docs.plesk.com>.
|
||||||
|
|
||||||
|
- 관리자 사용자에 대한 자동 로그인 링크 생성 및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lesk login`
|
||||||
|
|
||||||
|
- 제품 버전 정보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lesk version`
|
||||||
|
|
||||||
|
- 호스팅된 모든 도메인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lesk bin domain --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`panel.log` 파일에서 변경 사항 감시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lesk log {{panel.log}}`
|
||||||
|
|
||||||
|
- 대화형 MySQL 콘솔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lesk db`
|
||||||
|
|
||||||
|
- 기본 편집기로 Plesk 메인 구성 파일 열기:
|
||||||
|
|
||||||
|
`plesk conf {{panel.ini}}`
|
13
pages.ko/common/plocate.md
Normal file
13
pages.ko/common/plocat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3 @@
|
||||||
|
# plocate
|
||||||
|
|
||||||
|
> 파일 이름을 빠르게 찾기.
|
||||||
|
> 새 파일을 포함하려면 `sudo updatedb`를 실행하세요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locate.sesse.net>.
|
||||||
|
|
||||||
|
- 데이터베이스에서 패턴 검색 (주기적으로 재계산):
|
||||||
|
|
||||||
|
`plocate {{패턴}}`
|
||||||
|
|
||||||
|
- 정확한 파일 이름으로 파일 검색 (글로벌 문자가 포함되지 않은 패턴은 `*패턴*`으로 해석됨):
|
||||||
|
|
||||||
|
`plocate */{{파일_이름}}`
|
33
pages.ko/common/pm2.md
Normal file
33
pages.ko/common/pm2.md
Normal file
|
@ -0,0 +1,33 @@
|
||||||
|
# pm2
|
||||||
|
|
||||||
|
> Node.js를 위한 프로세스 관리자.
|
||||||
|
> 로그 관리, 모니터링 및 프로세스 구성을 위해 사용됩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m2.keymetrics.io>.
|
||||||
|
|
||||||
|
- 나중에 사용할 수 있는 이름으로 프로세스를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m2 start {{app.js}} --name {{애플리케이션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세스 목록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pm2 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프로세스 모니터링:
|
||||||
|
|
||||||
|
`pm2 monit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세스 중지:
|
||||||
|
|
||||||
|
`pm2 stop {{애플리케이션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세스 재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pm2 restart {{애플리케이션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나중에 복원할 수 있도록 모든 프로세스 덤프:
|
||||||
|
|
||||||
|
`pm2 save`
|
||||||
|
|
||||||
|
- 이전에 덤프한 프로세스 복원:
|
||||||
|
|
||||||
|
`pm2 resurrect`
|
28
pages.ko/common/pngcheck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pngcheck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pngcheck
|
||||||
|
|
||||||
|
> PNG, JNG, MNG 파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출력하고 검증합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://www.libpng.org/pub/png/apps/pngcheck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이미지의 요약 정보 출력 (너비, 높이, 색상 깊이):
|
||||||
|
|
||||||
|
`pngcheck {{경로/대상/이미지.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[c]색상화된 출력으로 이미지 정보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ngcheck -c {{경로/대상/이미지.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이미지에 대한 [v]erbose 정보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ngcheck -cvt {{경로/대상/이미지.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`stdin`에서 이미지를 받아와 자세한 정보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cat {{경로/대상/이미지.png}} | pngcheck -cvt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파일 내에서 PNG를 [s]검색하여 정보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ngcheck -s {{경로/대상/이미지.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다른 파일 내에서 PNG를 검색하고 [x]추출:
|
||||||
|
|
||||||
|
`pngcheck -x {{경로/대상/이미지.png}}`
|
16
pages.ko/common/pngcrush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pngcrush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|||
|
# pngcrush
|
||||||
|
|
||||||
|
> PNG 압축 유틸리티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mt.sourceforge.io/pngcrush>.
|
||||||
|
|
||||||
|
- PNG 파일 압축:
|
||||||
|
|
||||||
|
`pngcrush {{입력.png}} {{출력.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모든 PNG 파일 압축 후 지정된 디렉토리에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pngcrush -d {{경로/대상/출력}} *.png`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 가능한 모든 114개의 알고리즘으로 PNG 파일을 압축하고 최상의 결과 선택:
|
||||||
|
|
||||||
|
`pngcrush -rem allb -brute -reduce {{입력.png}} {{출력.png}}`
|
36
pages.ko/common/pngquant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pngquant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|||
|
# pngquant
|
||||||
|
|
||||||
|
> PNG 변환기 및 손실 이미지 압축기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ngquant.org/>.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PNG를 최대한 압축하고 결과를 새 파일로 저장:
|
||||||
|
|
||||||
|
`pngquant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PNG를 압축하고 원본을 덮어쓰기:
|
||||||
|
|
||||||
|
`pngquant --ext .png --force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사용자 지정 품질로 특정 PNG를 압축 시도 (최소 값보다 낮으면 건너뜀):
|
||||||
|
|
||||||
|
`pngquant --quality {{0-100}}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색상이 64개로 줄어진 특정 PNG를 압축:
|
||||||
|
|
||||||
|
`pngquant {{64}}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PNG를 압축하고 파일이 원본보다 큰 경우 건너뜀:
|
||||||
|
|
||||||
|
`pngquant --skip-if-larger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PNG를 압축하고 메타데이터 제거:
|
||||||
|
|
||||||
|
`pngquant --strip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PNG를 압축하고 지정된 경로에 저장:
|
||||||
|
|
||||||
|
`pngquant {{경로/대상/파일.png}} --output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PNG를 압축하고 진행 상황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pngquant --verbose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
|
21
pages.ko/common/pngtopam.md
Normal file
21
pages.ko/common/pngtopam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|||
|
# pngtopam
|
||||||
|
|
||||||
|
> PNG 이미지를 Netpbm 이미지로 변환.
|
||||||
|
> 같이 보기: `pamtopng`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gtopam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된 PNG 이미지를 Netpbm 이미지로 변환:
|
||||||
|
|
||||||
|
`pngtopam {{경로/대상/이미지.png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||
|
|
||||||
|
- 입력 이미지의 주 이미지와 투명 마스크를 포함한 출력 이미지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ngtopam -alphapam {{경로/대상/이미지.png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||
|
|
||||||
|
- 투명한 픽셀을 지정된 색상으로 대체:
|
||||||
|
|
||||||
|
`pngtopam -mix -background {{색상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g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||||||
|
|
||||||
|
- 입력 이미지에서 발견된 tEXt 청크를 지정된 텍스트 파일로 작성:
|
||||||
|
|
||||||
|
`pngtopam -text {{경로/대상/파일.txt}} {{경로/대상/이미지.png}} > {{경로/대상/출력.pam}}`
|
8
pages.ko/common/pngtopnm.md
Normal file
8
pages.ko/common/pngtopnm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|||
|
# pngtopnm
|
||||||
|
|
||||||
|
> 이 명령은 `pngtopam`으로 대체되었습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pngtopnm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||
|
|
||||||
|
`tldr pngtopam`
|
37
pages.ko/common/pnpm-audit.md
Normal file
37
pages.ko/common/pnpm-audit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|||
|
# pnpm audit
|
||||||
|
|
||||||
|
> 프로젝트 의존성을 스캔합니다.
|
||||||
|
> 설치된 패키지에서 알려진 보안 문제를 확인합니다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npm.io/cli/audit>.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의 취약점 식별:
|
||||||
|
|
||||||
|
`pnpm audit`
|
||||||
|
|
||||||
|
- 취약점 자동 수정:
|
||||||
|
|
||||||
|
`pnpm audit fix`
|
||||||
|
|
||||||
|
- JSON 형식의 보안 보고서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pnpm audit --json > {{경로/대상/audit-report.json}}`
|
||||||
|
|
||||||
|
- [D]ev 의존성만 감사:
|
||||||
|
|
||||||
|
`pnpm audit --dev`
|
||||||
|
|
||||||
|
- [P]roduction 의존성만 감사:
|
||||||
|
|
||||||
|
`pnpm audit --prod`
|
||||||
|
|
||||||
|
- 선택적 의존성을 감사에서 제외:
|
||||||
|
|
||||||
|
`pnpm audit --no-optional`
|
||||||
|
|
||||||
|
- 감사 과정에서 레지스트리 오류 무시:
|
||||||
|
|
||||||
|
`pnpm audit --ignore-registry-errors`
|
||||||
|
|
||||||
|
- 심각도별로 자문 필터링 (low, moderate, high, critical):
|
||||||
|
|
||||||
|
`pnpm audit --audit-level {{심각도}}`
|
Some files were not shown because too many files have changed in this diff Show more
Loading…
Add table
Reference in a new issu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