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rom 193c0fe90a6180b2c46bbdd6f8cd9a7cbad37670 Mon Sep 17 00:00:00 2001 From: =?UTF-8?q?=EC=BD=94=EB=93=9C=EC=8B=B8=EC=9D=B4?= <81800589+CodePsy-2001@users.noreply.github.com> Date: Sun, 10 Nov 2024 16:44:04 +0900 Subject: [PATCH] zic: add Korean translation, linux/x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757) * linux/x*: add Korean translation * linux/zic: add Korean translation --- pages.ko/linux/xbps-install.md | 13 +++++++++++ pages.ko/linux/xbps-query.md | 25 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xbps-remove.md | 21 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xbps.md | 17 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xclock.md | 24 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xcowsay.md | 29 +++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xed.md | 24 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xeyes.md | 12 ++++++++++ pages.ko/linux/xfce4-screenshooter.md | 32 ++++++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xfce4-terminal.md | 28 ++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xfreerdp.md | 28 ++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xfs_repair.md | 8 +++++++ pages.ko/linux/xman.md | 16 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xmodmap.md | 20 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xmount.md | 17 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xwinwrap.md | 20 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xxhsum.md | 12 ++++++++++ pages.ko/linux/zic.md | 12 ++++++++++ 18 files changed, 358 insertions(+)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bps-install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bps-query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bps-remove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bps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clock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cowsay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ed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eyes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fce4-screenshooter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fce4-terminal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freerdp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fs_repair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man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modmap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mount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winwrap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xxhsum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zic.md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bps-install.md b/pages.ko/linux/xbps-instal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fff0c8f5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bps-install.md @@ -0,0 +1,13 @@ +# xbps-install + +> XBPS 패키지를 (재)설치하고 업데이트하는 도구. +> 같이 보기: `xbps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새 패키지 설치: + +`xbps-install {{패키지}}` + +- 모든 패키지를 동기화하고 업데이트: + +`xbps-install --sync --updat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bps-query.md b/pages.ko/linux/xbps-quer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dd3467f9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bps-query.md @@ -0,0 +1,25 @@ +# xbps-query + +> 패키지 및 저장소 정보를 조회하는 XBPS 유틸리티. +> 같이 보기: `xbps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정규 표현식 또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원격 저장소에서 패키지 검색 (`--regex`가 생략된 경우 키워드 사용): + +`xbps-query --search {{정규_표현식|키워드}} --repository --regex` + +- 설치된 패키지에 대한 정보 표시: + +`xbps-query --show {{패키지}}` + +- 원격 저장소의 패키지 정보 표시: + +`xbps-query --show {{패키지}} --repository` + +- 패키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패키지 나열: + +`xbps-query --list-pkgs` + +- 명시적으로 설치된 패키지 나열 (의존성으로 자동 설치되지 않은 패키지): + +`xbps-query --list-manual-pkgs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bps-remove.md b/pages.ko/linux/xbps-remov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6cdd65f0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bps-remove.md @@ -0,0 +1,21 @@ +# xbps-remove + +> 패키지를 제거하는 XBPS 유틸리티. +> 같이 보기: `xbps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패키지 제거: + +`xbps-remove {{패키지}}` + +- 패키지와 그 의존성 제거: + +`xbps-remove --recursive {{패키지}}` + +- 고아 패키지 제거 (의존성으로 설치되었지만 더 이상 어떤 패키지도 필요로 하지 않는 패키지): + +`xbps-remove --remove-orphans` + +- 캐시에서 오래된 패키지 제거: + +`xbps-remove --clean-cach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bps.md b/pages.ko/linux/xbp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22b673bb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bps.md @@ -0,0 +1,17 @@ +# xbps + +> X 바이너리 패키지 시스템은 Void Linux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자입니다. +> 다른 패키지 관리자의 동등한 명령을 보려면 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패키지 설치 및 업데이트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xbps-install` + +- 패키지 제거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xbps-remove` + +- 패키지 및 저장소 정보 쿼리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xbps-query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clock.md b/pages.ko/linux/xclock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67984b4b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clock.md @@ -0,0 +1,24 @@ +# xclock + +>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태로 시간을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아날로그 시계 표시: + +`xclock` + +- 시와 분 필드만 있는 24시간 디지털 시계 표시: + +`xclock -digital -brief` + +- strftime 형식 문자열을 사용하여 디지털 시계 표시 (strftime(3) 참조): + +`xclock -digital -strftime {{형식}}` + +- 매 초 업데이트되는 시, 분, 초 필드가 있는 24시간 디지털 시계 표시: + +`xclock -digital -strftime '%H:%M:%S' -update 1` + +- 시와 분 필드만 있는 12시간 디지털 시계 표시: + +`xclock -digital -twelve -brief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cowsay.md b/pages.ko/linux/xcowsa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203852a8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cowsay.md @@ -0,0 +1,29 @@ +# xcowsay + +> Linux 데스크탑에 귀여운 소와 메시지를 표시합니다. +> 소는 고정된 시간 동안 표시되거나 텍스트 크기에 따라 계산된 시간 동안 표시됩니다. 소를 클릭하면 즉시 닫힙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"hello, world"라고 말하는 소를 표시: + +`xcowsay "{{hello, world}}"` + +- 다른 명령의 출력을 표시하는 소를 표시: + +`ls | xcowsay` + +- 지정된 X, Y 좌표에 소를 표시: + +`xcowsay --at={{X}},{{Y}}` + +- 다른 크기의 소를 표시: + +`xcowsay --cow-size={{small|med|large}}` + +- 말풍선 대신 생각풍선을 표시: + +`xcowsay --think` + +- 기본 소 대신 다른 이미지를 표시: + +`xcowsay --image=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ed.md b/pages.ko/linux/xe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6fdb9c38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ed.md @@ -0,0 +1,24 @@ +# xed + +> Cinnamon 데스크탑 환경에서 파일 편집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편집기 시작: + +`xed` + +- 특정 파일 열기: + +`xed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+ +- 특정 인코딩을 사용하여 파일 열기: + +`xed --encoding {{WINDOWS-1252}}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+ +- 지원되는 모든 인코딩 출력: + +`xed --list-encodings` + +- 특정 줄로 이동하여 파일 열기: + +`xed +{{10}}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eyes.md b/pages.ko/linux/xeye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2c230ac9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eyes.md @@ -0,0 +1,12 @@ +# xeyes + +> 마우스 커서를 따라가는 눈을 화면에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로컬 머신의 기본 디스플레이에서 xeyes 실행: + +`xeyes` + +- 원격 머신의 디스플레이 0, 화면 0에서 xeyes 실행: + +`xeyes -display {{원격_호스트}}:{{0}}.{{0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fce4-screenshooter.md b/pages.ko/linux/xfce4-screenshoot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0c982620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fce4-screenshooter.md @@ -0,0 +1,32 @@ +# xfce4-screenshooter + +> XFCE4 스크린샷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스크린샷 GUI 시작: + +`xfce4-screenshooter` + +- 전체 화면을 캡처하고 GUI를 시작하여 다음 단계를 선택: + +`xfce4-screenshooter --fullscreen` + +- 전체 화면을 캡처하고 지정된 폴더에 저장: + +`xfce4-screenshooter --fullscreen --save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스크린샷을 찍기 전까지 대기: + +`xfce4-screenshooter --delay {{초}}` + +- 화면의 특정 영역을 캡처 (마우스를 사용하여 선택): + +`xfce4-screenshooter --region` + +- 활성 창을 캡처하고 클립보드에 복사: + +`xfce4-screenshooter --window --clipboard` + +- 활성 창을 캡처하고 선택한 프로그램으로 열기: + +`xfce4-screenshooter --window --open {{gimp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fce4-terminal.md b/pages.ko/linux/xfce4-termina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12e778d3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fce4-terminal.md @@ -0,0 +1,28 @@ +# xfce4-terminal + +> XFCE4 터미널 에뮬레이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새 터미널 창 열기: + +`xfce4-terminal` + +- 초기 제목 설정: + +`xfce4-terminal --initial-title "{{초기_제목}}"` + +- 현재 터미널 창에 새 탭 열기: + +`xfce4-terminal --tab` + +- 새 터미널 창에서 명령어 실행: + +`xfce4-terminal --command "{{명령어_및_인수}}"` + +- 실행한 명령어가 완료된 후에도 터미널 유지: + +`xfce4-terminal --command "{{명령어_및_인수}}" --hold` + +- 여러 새 탭을 열고 각 탭에서 명령어 실행: + +`xfce4-terminal --tab --command "{{명령어1}}" --tab --command "{{명령어2}}"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freerdp.md b/pages.ko/linux/xfreerd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686e1217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freerdp.md @@ -0,0 +1,28 @@ +# xfreerdp + +> Free Remote Desktop Protocol 구현체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FreeRDP 서버에 연결: + +`xfreerdp /u:{{사용자명}} /p:{{비밀번호}} /v:{{IP_주소}}` + +- FreeRDP 서버에 연결하고 `sys:alsa`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출력 리디렉션 활성화: + +`xfreerdp /u:{{사용자명}} /p:{{비밀번호}} /v:{{IP_주소}} /sound:{{sys:alsa}}` + +- 동적 해상도로 FreeRDP 서버에 연결: + +`xfreerdp /v:{{IP_주소}} /u:{{사용자명}} /p:{{비밀번호}} /dynamic-resolution` + +- 클립보드 리디렉션과 함께 FreeRDP 서버에 연결: + +`xfreerdp /v:{{IP_주소}} /u:{{사용자명}} /p:{{비밀번호}} +clipboard` + +- 인증서를 무시하고 FreeRDP 서버에 연결: + +`xfreerdp /v:{{IP_주소}} /u:{{사용자명}} /p:{{비밀번호}} /cert:ignore` + +- 공유 디렉토리와 함께 FreeRDP 서버에 연결: + +`xfreerdp /v:{{IP_주소}} /u:{{사용자명}} /p:{{비밀번호}} /drive:{{경로/대상/폴더}},{{공유_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fs_repair.md b/pages.ko/linux/xfs_repai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2b2d26fc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fs_repair.md @@ -0,0 +1,8 @@ +# xfs_repair + +> XFS 파일 시스템 복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티션 복구: + +`sudo xfs_repair {{경로/대상/파티션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man.md b/pages.ko/linux/xma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114f59c9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man.md @@ -0,0 +1,16 @@ +# xman + +> X Window System용 매뉴얼 페이지 뷰어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3버튼 창에서 `xman` 시작: + +`xman` + +- 주어진 파일에 저장된 매뉴얼 페이지 출력 열기: + +`xman -helpfile {{파일명}}` + +- 매뉴얼 페이지와 디렉터리 모두 표시: + +`xman -bothshown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modmap.md b/pages.ko/linux/xmodma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395837a9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modmap.md @@ -0,0 +1,20 @@ +# xmodmap + +> X에서 키맵과 포인터 버튼 매핑을 수정하는 유틸리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포인터에서 좌클릭과 우클릭을 교체: + +`xmodmap -e 'pointer = 3 2 1'` + +- 키보드의 키를 다른 키로 재할당: + +`xmodmap -e 'keycode {{키코드}} = {{키이름}}'` + +- 키보드의 키 비활성화: + +`xmodmap -e 'keycode {{키코드}} ='` + +- 지정된 파일에 있는 모든 xmodmap 표현 실행: + +`xmodmap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mount.md b/pages.ko/linux/xmoun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8767970a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mount.md @@ -0,0 +1,17 @@ +# xmount + +> 여러 입력 및 출력 하드 디스크 이미지 형식을 선택적 쓰기 캐시 지원과 함께 실시간으로 변환합니다. +> FUSE(Filesystem in Userspace)를 사용하여 입력 이미지의 가상 표현을 포함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을 만듭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.raw` 이미지 파일을 DMG 컨테이너 파일로 마운트: + +`xmount --in {{raw}} {{경로/대상/이미지.dd}} --out {{dmg}} {{마운트_포인트}}` + +- 쓰기-캐시 지원과 함께 EWF 이미지 파일을 VHD 파일로 마운트하여 부팅: + +`xmount --cache {{경로/대상/캐시.ovl}} --in {{ewf}} {{경로/대상/이미지.E??}} --out {{vhd}} {{마운트_포인트}}` + +- 섹터 2048의 첫 번째 파티션을 새 `.raw` 이미지 파일로 마운트: + +`xmount --offset {{2048}} --in {{raw}} {{경로/대상/이미지.dd}} --out {{raw}} {{마운트_포인트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winwrap.md b/pages.ko/linux/xwinwra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28f7282e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winwrap.md @@ -0,0 +1,20 @@ +# xwinwrap + +> 플레이어나 프로그램을 데스크탑 배경으로 실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mpv를 사용하여 비디오 실행: + +`xwinwrap -b -nf -ov -- {{mpv}} -wid {{wid}} --loop --no-audio --no-resume-playback --panscan={{1.0}} {{경로/대상/비디오.mp4}}` + +- mpv를 사용하여 전체 화면으로 비디오 실행: + +`xwinwrap -b -nf -fs -ov -- {{mpv}} -wid {{wid}} --loop --no-audio --no-resume-playback --panscan={{1.0}} {{경로/대상/비디오.mp4}}` + +- mpv를 사용하여 80% 투명도로 비디오 실행: + +`xwinwrap -b -nf -ov -o 0.8 --- {{mpv}} -wid {{wid}} --loop --no-audio --no-resume-playback --panscan={{1.0}} {{경로/대상/비디오.mp4}}` + +- mpv를 사용하여 두 번째 모니터에 1600x900 크기로 X축 1920 오프셋으로 비디오 실행: + +`xwinwrap -g 1600x900+1920 -b -nf -ov -- {{mpv}} -wid {{wid}} --loop --no-audio --no-resume-playback --panscan={{1.0}} {{경로/대상/비디오.mkv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xxhsum.md b/pages.ko/linux/xxhsu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a237d248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xxhsum.md @@ -0,0 +1,12 @@ +# xxhsum + +> 빠른 비암호화 알고리즘인 xxHash를 사용하여 체크섬을 출력하거나 검증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[f]파일의 체크섬 계산: + +`xxhsum -H{{0|32|64|128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벤치마크 실행: + +`xxhsum -b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zic.md b/pages.ko/linux/zi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062e22b2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zic.md @@ -0,0 +1,12 @@ +# zic + +> 시간대 정보를 바이너리 파일로 컴파일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디렉터리에서 시간대 파일을 컴파일: + +`zic -d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특정 파일을 컴파일하는 동안 경고 보고: + +`zic -v {{경로/대상/파일}}.infile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