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irror of
https://github.com/tldr-pages/tldr.git
synced 2025-03-28 21:16:20 +01:00
termusic: fix typo, linux/t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753)
* termusic: fix typo * linux/t*: add Korean translation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parent
624a50f563
commit
0a0ba9cf24
55 changed files with 1239 additions and 2 deletions
25
pages.ko/linux/tac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tac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
# tac
|
||||
|
||||
> 파일의 내용을 역순으로 표시하고 연결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cat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gnu.org/software/coreutils/tac>.
|
||||
|
||||
- 특정 파일들을 역순으로 연결:
|
||||
|
||||
`tac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||||
|
||||
- `stdin`을 역순으로 표시:
|
||||
|
||||
`{{cat 경로/대상/파일}} | tac`
|
||||
|
||||
- 특정 구분자 사용:
|
||||
|
||||
`tac --separator {{,}}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||||
|
||||
- 특정 정규식을 구분자로 사용:
|
||||
|
||||
`tac --regex --separator {{[,;]}}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||||
|
||||
- 각 파일 앞에 구분자 사용:
|
||||
|
||||
`tac --before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8
pages.ko/linux/tailf.md
Normal file
8
pages.ko/linux/tailf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
# tailf
|
||||
|
||||
> 이 명령은 `tail -f`로 대체되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ailf.1>.
|
||||
|
||||
- 권장 대체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tail`
|
24
pages.ko/linux/talk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talk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talk
|
||||
|
||||
>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으로, 사용자의 터미널에서 다른 사용자의 터미널로 라인을 복사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gnu.org/software/inetutils/manual/html_node/talk-invocation.html>.
|
||||
|
||||
- 동일한 기기에서 사용자의 talk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talk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동일한 기기의 tty3에 로그인된 사용자와 talk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talk {{사용자명}} {{tty3}}`
|
||||
|
||||
- 원격 기기의 사용자와 talk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talk {{사용자명}}@{{호스트명}}`
|
||||
|
||||
- 양쪽 터미널 화면의 텍스트 지우기:
|
||||
|
||||
`<Ctrl>+D`
|
||||
|
||||
- talk 세션 종료:
|
||||
|
||||
`<Ctrl>+C`
|
24
pages.ko/linux/taskset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taskse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taskset
|
||||
|
||||
> 프로세스의 CPU 친화도를 가져오거나 설정하거나 정의된 CPU 친화도로 새 프로세스를 시작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askset>.
|
||||
|
||||
-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PID로 CPU 친화도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taskset --pid --cpu-list {{pid}}`
|
||||
|
||||
-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PID로 CPU 친화도 설정:
|
||||
|
||||
`taskset --pid --cpu-list {{cpu_id}} {{pid}}`
|
||||
|
||||
- 단일 CPU에 대한 친화도로 새 프로세스 시작:
|
||||
|
||||
`taskset --cpu-list {{cpu_id}} {{명령어}}`
|
||||
|
||||
- 여러 비연속 CPU에 대한 친화도로 새 프로세스 시작:
|
||||
|
||||
`taskset --cpu-list {{cpu_id_1}},{{cpu_id_2}},{{cpu_id_3}}`
|
||||
|
||||
- CPU 1부터 4까지의 친화도로 새 프로세스 시작:
|
||||
|
||||
`taskset --cpu-list {{cpu_id_1}}-{{cpu_id_4}}`
|
32
pages.ko/linux/tc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tc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tc
|
||||
|
||||
> 트래픽 제어 설정을 표시/조작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c>.
|
||||
|
||||
- 아웃바운드 패킷에 일정한 네트워크 지연 추가:
|
||||
|
||||
`tc qdisc add dev {{eth0}} root netem delay {{지연_시간_밀리초}}ms`
|
||||
|
||||
- 아웃바운드 패킷에 정규 분포된 네트워크 지연 추가:
|
||||
|
||||
`tc qdisc add dev {{eth0}} root netem delay {{평균_지연_시간_밀리초}}ms {{지연_표준_편차_밀리초}}ms`
|
||||
|
||||
- 일부 패킷에 손상/손실/중복 추가:
|
||||
|
||||
`tc qdisc add dev {{eth0}} root netem {{손상|손실|중복}} {{효과_비율}}%`
|
||||
|
||||
- 대역폭, 버스트 속도 및 최대 지연 시간 제한:
|
||||
|
||||
`tc qdisc add dev eth0 root tbf rate {{최대_대역폭_메가비트}}mbit burst {{최대_버스트_속도_킬로비트}}kbit latency {{드롭_전_최대_지연_시간_밀리초}}ms`
|
||||
|
||||
- 활성 트래픽 제어 정책 표시:
|
||||
|
||||
`tc qdisc show dev {{eth0}}`
|
||||
|
||||
- 모든 트래픽 제어 규칙 삭제:
|
||||
|
||||
`tc qdisc del dev {{eth0}}`
|
||||
|
||||
- 트래픽 제어 규칙 변경:
|
||||
|
||||
`tc qdisc change dev {{eth0}} root netem {{정책}} {{정책_매개변수}}`
|
8
pages.ko/linux/tcpflow.md
Normal file
8
pages.ko/linux/tcpflow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
# tcpflow
|
||||
|
||||
> TCP 트래픽을 캡처하여 디버깅 및 분석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cpflow>.
|
||||
|
||||
- 특정 인터페이스와 포트의 모든 데이터 표시:
|
||||
|
||||
`tcpflow -c -i {{eth0}} port {{80}}`
|
17
pages.ko/linux/tcpick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tcpick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tcpick
|
||||
|
||||
> 패킷 스니핑 및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도구.
|
||||
> TCP 연결 및 데이터를 캡처하고 표시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인터페이스, 호스트, 포트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cpick.8>.
|
||||
|
||||
- 특정 [i]인터페이스, 포트 및 호스트의 트래픽 캡처:
|
||||
|
||||
`sudo tcpick -i {{인터페이스}} -C -h {{호스트}} -p {{포트}}`
|
||||
|
||||
- 특정 호스트의 포트 80(HTTP) 트래픽 캡처:
|
||||
|
||||
`sudo tcpick -i {{eth0}} -C -h {{192.168.1.100}} -p {{80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tcpick --help`
|
8
pages.ko/linux/tcpkill.md
Normal file
8
pages.ko/linux/tcpkill.md
Normal file
|
@ -0,0 +1,8 @@
|
|||
# tcpkill
|
||||
|
||||
> 지정된 진행 중인 TCP 연결을 종료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cpkill>.
|
||||
|
||||
- 지정된 인터페이스, 호스트 및 포트에서 진행 중인 연결 종료:
|
||||
|
||||
`tcpkill -i {{eth1}} host {{192.95.4.27}} and port {{2266}}`
|
28
pages.ko/linux/tcptraceroute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tcptracerout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tcptraceroute
|
||||
|
||||
> TCP 패킷을 사용하는 traceroute 구현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mct/tcptraceroute>.
|
||||
|
||||
- 호스트까지의 경로 추적:
|
||||
|
||||
`tcptraceroute {{호스트}}`
|
||||
|
||||
- 목적지 포트와 패킷 길이(바이트 단위) 지정:
|
||||
|
||||
`tcptraceroute {{호스트}} {{목적지_포트}} {{패킷_길이}}`
|
||||
|
||||
- 로컬 소스 포트와 소스 주소 지정:
|
||||
|
||||
`tcptraceroute {{호스트}} -p {{소스_포트}} -s {{소스_주소}}`
|
||||
|
||||
- 첫 번째 및 최대 TTL 설정:
|
||||
|
||||
`tcptraceroute {{호스트}} -f {{첫번째_ttl}} -m {{최대_ttl}}`
|
||||
|
||||
- 대기 시간과 홉당 쿼리 수 지정:
|
||||
|
||||
`tcptraceroute {{호스트}} -w {{대기_시간}} -q {{쿼리_수}}`
|
||||
|
||||
- 인터페이스 지정:
|
||||
|
||||
`tcptraceroute {{호스트}} -i {{인터페이스}}`
|
29
pages.ko/linux/telinit.md
Normal file
29
pages.ko/linux/telini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9 @@
|
|||
# telinit
|
||||
|
||||
> SysV 런레벨 변경.
|
||||
> SysV 런레벨 개념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므로 런레벨 요청은 시스템 단위 활성화 요청으로 투명하게 변환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elinit>.
|
||||
|
||||
- 시스템 전원 끄기:
|
||||
|
||||
`telinit 0`
|
||||
|
||||
- 시스템 재부팅:
|
||||
|
||||
`telinit 6`
|
||||
|
||||
- SysV 런레벨 변경:
|
||||
|
||||
`telinit {{2|3|4|5}}`
|
||||
|
||||
- 복구 모드로 변경:
|
||||
|
||||
`telinit 1`
|
||||
|
||||
- 데몬 구성 다시 로드:
|
||||
|
||||
`telinit q`
|
||||
|
||||
- 재부팅/전원 끄기 전 사전 알림 메시지 전송 안 함 (6/0):
|
||||
|
||||
`telinit --no-wall {{값}}`
|
24
pages.ko/linux/terminator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terminator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terminator
|
||||
|
||||
> 여러 GNOME 터미널을 하나의 창에서 배열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nome-terminator.org/>.
|
||||
|
||||
- `terminator` 창 시작:
|
||||
|
||||
`terminator`
|
||||
|
||||
- 전체 화면 창으로 시작:
|
||||
|
||||
`terminator -f`
|
||||
|
||||
- 터미널을 가로로 분할:
|
||||
|
||||
`<Ctrl> + <Shift> + O`
|
||||
|
||||
- 터미널을 세로로 분할:
|
||||
|
||||
`<Ctrl> + <Shift> + E`
|
||||
|
||||
- 새 탭 열기:
|
||||
|
||||
`<Ctrl> + <Shift> + T`
|
17
pages.ko/linux/termusic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termusic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termusic
|
||||
|
||||
> Rust로 작성된 터미널 음악 플레이어로, vim과 유사한 키 바인딩을 사용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cmus`, `ncmpcpp`, `audacious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tramhao/termusic>.
|
||||
|
||||
- 특정 폴더로 termusic 열기 (`~/.config/termusic/config.toml`에서 영구적으로 설정 가능):
|
||||
|
||||
`termusic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특정 음악 파일의 앨범 커버 표시 비활성화:
|
||||
|
||||
`termusic -c {{경로/대상/음악_파일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termusic --help`
|
12
pages.ko/linux/terraria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terraria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terraria
|
||||
|
||||
> 무인 Terraria 서버를 생성하고 시작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terraria.wiki.gg/wiki/Server>.
|
||||
|
||||
- 대화형 서버 설정 시작:
|
||||
|
||||
`{{경로/대상/TerrariaServer}}`
|
||||
|
||||
- Terraria 서버 시작:
|
||||
|
||||
`{{경로/대상/TerrariaServer}} -world {{경로/대상/world.wld}}`
|
32
pages.ko/linux/tftp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tftp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tftp
|
||||
|
||||
>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클라이언트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ftp.1>.
|
||||
|
||||
- TFTP 서버의 IP 주소와 포트를 지정하여 연결:
|
||||
|
||||
`tftp {{서버_IP}} {{포트}}`
|
||||
|
||||
- TFTP 서버에 연결하고 TFTP [c]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tftp {{서버_IP}} -c {{명령}}`
|
||||
|
||||
- IPv6를 사용하여 TFTP 서버에 연결하고 시작 포트를 [R]범위 내로 강제 설정:
|
||||
|
||||
`tftp {{서버_IP}} -6 -R {{포트}}:{{포트}}`
|
||||
|
||||
- tftp 클라이언트를 통해 전송 모드를 바이너리 또는 ASCII로 설정:
|
||||
|
||||
`mode {{binary|ascii}}`
|
||||
|
||||
- tftp 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버로부터 파일 다운로드:
|
||||
|
||||
`get {{파일}}`
|
||||
|
||||
- tftp 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버로 파일 업로드:
|
||||
|
||||
`put {{파일}}`
|
||||
|
||||
- tftp 클라이언트 종료:
|
||||
|
||||
`quit`
|
17
pages.ko/linux/thunar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thunar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thunar
|
||||
|
||||
> XFCE 데스크탑 환경을 위한 그래픽 파일 관리자.
|
||||
> 같이 보기: `caja`, `dolphin`, `nautilus`, `mc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docs.xfce.org/xfce/thunar/start>.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토리를 보여주는 새 창 열기:
|
||||
|
||||
`thunar`
|
||||
|
||||
- 대량 이름 변경 도구 열기:
|
||||
|
||||
`thunar --bulk-rename`
|
||||
|
||||
- 열린 모든 thunar 창 닫기:
|
||||
|
||||
`thunar --quit`
|
16
pages.ko/linux/tic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tic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tic
|
||||
|
||||
> terminfo를 컴파일하고 ncurses에 설치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ubs.opengroup.org/onlinepubs/007908799/xcurses/terminfo.html>.
|
||||
|
||||
- 터미널에 대한 terminfo를 컴파일하고 설치:
|
||||
|
||||
`tic -xe {{터미널}} {{경로/대상/터미널.info}}`
|
||||
|
||||
- terminfo 파일의 오류 확인:
|
||||
|
||||
`tic -c {{경로/대상/터미널.info}}`
|
||||
|
||||
- 데이터베이스 위치 출력:
|
||||
|
||||
`tic -D`
|
28
pages.ko/linux/timedatectl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timedatect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timedatectl
|
||||
|
||||
> 시스템 시간과 날짜를 제어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imedatectl>.
|
||||
|
||||
- 현재 시스템 시계 시간 확인:
|
||||
|
||||
`timedatectl`
|
||||
|
||||
- 시스템 시계의 로컬 시간을 직접 설정:
|
||||
|
||||
`timedatectl set-time "{{yyyy-MM-dd hh:mm:ss}}"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시간대 나열:
|
||||
|
||||
`timedatectl list-timezones`
|
||||
|
||||
- 시스템 시간대 설정:
|
||||
|
||||
`timedatectl set-timezone {{시간대}}`
|
||||
|
||||
- 네트워크 시간 프로토콜(NTP) 동기화 활성화:
|
||||
|
||||
`timedatectl set-ntp on`
|
||||
|
||||
- 하드웨어 시계 시간 기준을 로컬 시간으로 변경:
|
||||
|
||||
`timedatectl set-local-rtc 1`
|
28
pages.ko/linux/timeshift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timeshif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timeshift
|
||||
|
||||
> 시스템 복원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teejee2008/timeshift>.
|
||||
|
||||
- 스냅샷 나열:
|
||||
|
||||
`sudo timeshift --list`
|
||||
|
||||
- 새 스냅샷 생성 (예약된 경우):
|
||||
|
||||
`sudo timeshift --check`
|
||||
|
||||
- 새 스냅샷 생성 (예약되지 않은 경우에도):
|
||||
|
||||
`sudo timeshift --create`
|
||||
|
||||
- 스냅샷 복원 (상호작용을 통해 복원할 스냅샷 선택):
|
||||
|
||||
`sudo timeshift --restore`
|
||||
|
||||
- 특정 스냅샷 복원:
|
||||
|
||||
`sudo timeshift --restore --snapshot '{{스냅샷}}'`
|
||||
|
||||
- 특정 스냅샷 삭제:
|
||||
|
||||
`sudo timeshift --delete --snapshot '{{스냅샷}}'`
|
37
pages.ko/linux/tlp-stat.md
Normal file
37
pages.ko/linux/tlp-stat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
# tlp-stat
|
||||
|
||||
> TLP 상태 보고서 생성.
|
||||
> 같이 보기: `tlp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inrunner.de/tlp/usage/tlp-stat>.
|
||||
|
||||
- 구성 및 모든 활성 설정으로 상태 보고서 생성:
|
||||
|
||||
`sudo tlp-stat`
|
||||
|
||||
- 다양한 장치에 대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udo tlp-stat --{{battery|disk|processor|graphics|pcie|rfkill|usb}}`
|
||||
|
||||
- 장치에 대해 자세한 정보 표시(자세한 정보 지원 장치만):
|
||||
|
||||
`sudo tlp-stat --verbose --{{battery|processor|pcie|usb}}`
|
||||
|
||||
- 구성 표시:
|
||||
|
||||
`sudo tlp-stat {{-c|--config}}`
|
||||
|
||||
- 전원 공급 `udev` 이벤트 모니터링:
|
||||
|
||||
`sudo tlp-stat {{-P|--pev}}`
|
||||
|
||||
- 전원 공급 진단 표시:
|
||||
|
||||
`sudo tlp-stat --psup`
|
||||
|
||||
- 온도 및 팬 속도 표시:
|
||||
|
||||
`sudo tlp-stat {{-t|--temp}}`
|
||||
|
||||
- 일반 시스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udo tlp-stat {{-s|--system}}`
|
17
pages.ko/linux/tlp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tlp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tlp
|
||||
|
||||
> Linux용 고급 전원 관리 도구.
|
||||
> 같이 보기: `tlp-stat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inrunner.de/tlp/>.
|
||||
|
||||
- 설정 적용 (현재 전원 공급원에 따라):
|
||||
|
||||
`sudo tlp start`
|
||||
|
||||
- 배터리 설정 적용 (현재 전원 공급원을 무시하고):
|
||||
|
||||
`sudo tlp bat`
|
||||
|
||||
- AC 설정 적용 (현재 전원 공급원을 무시하고):
|
||||
|
||||
`sudo tlp ac`
|
33
pages.ko/linux/tod.md
Normal file
33
pages.ko/linux/tod.md
Normal file
|
@ -0,0 +1,33 @@
|
|||
# tod
|
||||
|
||||
> Rust로 작성된 간단한 Todoist 클라이언트.
|
||||
> 간단한 입력을 받아 인박스 또는 다른 프로젝트에 저장합니다. 자연어 처리를 활용하여 기한, 태그 등을 할당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alanvardy/tod>.
|
||||
|
||||
- 프로젝트 가져오기(프로젝트 프롬프트를 활성화하려면 필요):
|
||||
|
||||
`tod project import`
|
||||
|
||||
- 기한과 함께 빠르게 작업 생성:
|
||||
|
||||
`tod --quickadd {{오늘 우유 더 사기}}`
|
||||
|
||||
- 새 작업 생성(내용 및 프로젝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됨):
|
||||
|
||||
`tod task create`
|
||||
|
||||
- 특정 프로젝트에 작업 생성:
|
||||
|
||||
`tod task create --content "{{Rust 더 작성하기}}" --project {{코드}}`
|
||||
|
||||
- 특정 프로젝트의 다음 작업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tod task next`
|
||||
|
||||
- 작업 일정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tod task list --scheduled --project {{작업}}`
|
||||
|
||||
- 작업에 대한 모든 작업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tod task list --project {{작업}}`
|
9
pages.ko/linux/togglesebool.md
Normal file
9
pages.ko/linux/togglesebool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
# togglesebool
|
||||
|
||||
> SELinux 부울의 현재 (비영구적) 값을 변경.
|
||||
> 참고: 이 도구는 `setsebool`로 대체되어 더 이상 사용되지 않거나 제거되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ogglesebool>.
|
||||
|
||||
- 지정된 부울의 현재 (비영구적) 값을 변경:
|
||||
|
||||
`sudo togglesebool {{virt_use_samba virt_use_usb ...}}`
|
20
pages.ko/linux/toilet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toile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toilet
|
||||
|
||||
> ASCII 아트 폰트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://caca.zoy.org/wiki/toilet>.
|
||||
|
||||
- 주어진 텍스트에 대한 ASCII 아트 생성:
|
||||
|
||||
`toilet {{입력_텍스트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지정 폰트 파일을 사용하여 ASCII 아트 생성:
|
||||
|
||||
`toilet {{입력_텍스트}} -f {{폰트_파일명}}`
|
||||
|
||||
- 필터를 사용하여 ASCII 아트 생성:
|
||||
|
||||
`toilet {{입력_텍스트}} --filter {{필터_이름}}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toilet 필터 표시:
|
||||
|
||||
`toilet --filter list`
|
36
pages.ko/linux/tomb.md
Normal file
36
pages.ko/linux/tomb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tomb
|
||||
|
||||
> 암호화된 저장 디렉터리를 관리하여 파일 시스템에서 안전하게 이동하고 숨길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dyne.org/software/tomb/>.
|
||||
|
||||
- 초기 크기 100MB로 새로운 톰 생성:
|
||||
|
||||
`tomb dig -s {{100}} {{암호화된_디렉터리.tomb}}`
|
||||
|
||||
- 톰을 잠글 수 있는 새로운 키 파일 생성; 사용자에게 키에 대한 비밀번호를 요청함:
|
||||
|
||||
`tomb forge {{암호화된_디렉터리.tomb.key}}`
|
||||
|
||||
- 톰이 키 생성 허용하지 않아도(스왑으로 인해) 강제로 새로운 키 생성:
|
||||
|
||||
`tomb forge {{암호화된_디렉터리.tomb.key}} -f`
|
||||
|
||||
- `forge`로 생성한 키를 사용하여 빈 톰 초기화 및 잠금:
|
||||
|
||||
`tomb lock {{암호화된_디렉터리.tomb}} -k {{암호화된_디렉터리.tomb.key}}`
|
||||
|
||||
- 톰을 키를 사용하여 마운트(기본적으로 `/media`에), 일반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처럼 사용 가능하게 함:
|
||||
|
||||
`tomb open {{암호화된_디렉터리.tomb}} -k {{암호화된_디렉터리.tomb.key}}`
|
||||
|
||||
- 톰 닫기(프로세스가 사용 중이면 실패):
|
||||
|
||||
`tomb close {{암호화된_디렉터리.tomb}}`
|
||||
|
||||
- 모든 열린 톰을 강제로 닫고, 사용 중인 애플리케이션 종료:
|
||||
|
||||
`tomb slam all`
|
||||
|
||||
- 열린 모든 톰 나열:
|
||||
|
||||
`tomb list`
|
24
pages.ko/linux/toolbox-create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toolbox-creat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toolbox create
|
||||
|
||||
> 새 `toolbox` 컨테이너 생성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oolbox-create.1>.
|
||||
|
||||
- 특정 배포판에 대한 `toolbox` 컨테이너 생성:
|
||||
|
||||
`toolbox create --distro {{배포판}}`
|
||||
|
||||
- 현재 배포판의 특정 릴리스에 대한 `toolbox` 컨테이너 생성:
|
||||
|
||||
`toolbox create --release {{릴리스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지정 이미지로 `toolbox` 컨테이너 생성:
|
||||
|
||||
`toolbox create --image {{이름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지정 Fedora 이미지에서 `toolbox` 컨테이너 생성:
|
||||
|
||||
`toolbox create --image {{registry.fedoraproject.org/fedora-toolbox:39}}`
|
||||
|
||||
- Fedora 39의 기본 이미지를 사용하여 `toolbox` 컨테이너 생성:
|
||||
|
||||
`toolbox create --distro {{fedora}} --release {{f39}}`
|
17
pages.ko/linux/toolbox-enter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toolbox-ent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toolbox enter
|
||||
|
||||
> 대화형 사용을 위해 `toolbox` 컨테이너에 진입.
|
||||
> 같이 보기: `toolbox run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oolbox-enter.1>.
|
||||
|
||||
- 특정 배포판의 기본 이미지를 사용하여 `toolbox` 컨테이너에 진입:
|
||||
|
||||
`toolbox enter --distro {{배포판}}`
|
||||
|
||||
- 현재 배포판의 특정 릴리스의 기본 이미지를 사용하여 `toolbox` 컨테이너에 진입:
|
||||
|
||||
`toolbox enter --release {{릴리스}}`
|
||||
|
||||
- Fedora 39의 기본 이미지를 사용하여 toolbox 컨테이너에 진입:
|
||||
|
||||
`toolbox enter --distro {{fedora}} --release {{f39}}`
|
12
pages.ko/linux/toolbox-help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toolbox-help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toolbox help
|
||||
|
||||
> `toolbox`에 대한 도움말 정보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oolbox-help.1>.
|
||||
|
||||
- `toolbox` 매뉴얼 표시:
|
||||
|
||||
`toolbox help`
|
||||
|
||||
- 특정 하위 명령에 대한 `toolbox` 매뉴얼 표시:
|
||||
|
||||
`toolbox help {{하위_명령}}`
|
9
pages.ko/linux/toolbox-init-container.md
Normal file
9
pages.ko/linux/toolbox-init-contain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
# toolbox init-container
|
||||
|
||||
> 실행 중인 `toolbox` 컨테이너를 초기화합니다.
|
||||
> 이 명령은 사용자가 실행해서는 안 되며, 호스트에서 실행할 수 없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oolbox-init-container.1>.
|
||||
|
||||
- 실행 중인 toolbox 초기화:
|
||||
|
||||
`toolbox init-container --gid {{gid}} --home {{home}} --home-link --media-link --mnt-link --monitor-host --shell {{shell}} --uid {{uid}} --user {{user}}`
|
16
pages.ko/linux/toolbox-list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toolbox-list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toolbox list
|
||||
|
||||
> 기존 `toolbox` 컨테이너와 이미지 나열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oolbox-list.1>.
|
||||
|
||||
- 모든 `toolbox` 컨테이너와 이미지 나열:
|
||||
|
||||
`toolbox list`
|
||||
|
||||
- `toolbox` 컨테이너만 나열:
|
||||
|
||||
`toolbox list --containers`
|
||||
|
||||
- `toolbox` 이미지만 나열:
|
||||
|
||||
`toolbox list --images`
|
17
pages.ko/linux/toolbox-rm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toolbox-rm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toolbox rm
|
||||
|
||||
> 하나 이상의 `toolbox` 컨테이너를 제거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toolbox rmi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oolbox-rm.1>.
|
||||
|
||||
- toolbox 컨테이너 제거:
|
||||
|
||||
`toolbox rm {{컨테이너_이름}}`
|
||||
|
||||
- 모든 `toolbox` 컨테이너 제거:
|
||||
|
||||
`toolbox rm --all`
|
||||
|
||||
- 현재 활성 상태의 `toolbox` 컨테이너 강제 제거:
|
||||
|
||||
`toolbox rm --force {{컨테이너_이름}}`
|
17
pages.ko/linux/toolbox-rmi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toolbox-rmi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toolbox rmi
|
||||
|
||||
> `toolbox` 이미지 제거.
|
||||
> 같이 보기: `toolbox rm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oolbox-rmi.1>.
|
||||
|
||||
- 하나 이상의 `toolbox` 이미지 제거:
|
||||
|
||||
`toolbox rmi {{이미지_이름1 이미지_이름2 ...}}`
|
||||
|
||||
- 모든 `toolbox` 이미지 제거:
|
||||
|
||||
`toolbox rmi --all`
|
||||
|
||||
- 현재 컨테이너에서 사용 중인 `toolbox` 이미지를 강제로 제거 (컨테이너도 함께 제거됨):
|
||||
|
||||
`toolbox rmi --force {{이미지_이름}}`
|
17
pages.ko/linux/toolbox-run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toolbox-run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toolbox run
|
||||
|
||||
> 기존 `toolbox` 컨테이너에서 명령을 실행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toolbox enter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oolbox-run>.
|
||||
|
||||
- 특정 `toolbox` 컨테이너 내에서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toolbox run --container {{컨테이너_이름}} {{명령}}`
|
||||
|
||||
- 특정 배포판 릴리스의 `toolbox` 컨테이너 내에서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toolbox run --distro {{배포판}} --release {{릴리스}} {{명령}}`
|
||||
|
||||
- Fedora 39의 기본 이미지로 `toolbox` 컨테이너 내에서 `emacs` 실행:
|
||||
|
||||
`toolbox run --distro {{fedora}} --release {{f39}} {{emacs}}`
|
21
pages.ko/linux/toolbox.md
Normal file
21
pages.ko/linux/toolbox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
# toolbox
|
||||
|
||||
> Linux에서 컨테이너화된 명령줄 환경을 관리합니다.
|
||||
> `create`와 같은 일부 하위 명령에는 자체 사용 설명서가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oolbox.1>.
|
||||
|
||||
- `toolbox` 하위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toolbox {{하위_명령}}`
|
||||
|
||||
- 특정 하위 명령(예: `create`, `enter`, `rm`, `rmi` 등)에 대한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toolbox help {{하위_명령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toolbox --help`
|
||||
|
||||
- 버전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toolbox --version`
|
32
pages.ko/linux/top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top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top
|
||||
|
||||
>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대한 동적 실시간 정보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op>.
|
||||
|
||||
- `top` 시작:
|
||||
|
||||
`top`
|
||||
|
||||
- 유휴 또는 좀비 프로세스를 표시하지 않음:
|
||||
|
||||
`top -i`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 소유의 프로세스만 표시:
|
||||
|
||||
`top -u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특정 필드로 프로세스 정렬:
|
||||
|
||||
`top -o {{필드_이름}}`
|
||||
|
||||
- 특정 프로세스의 개별 스레드 표시:
|
||||
|
||||
`top -Hp {{프로세스_ID}}`
|
||||
|
||||
- 쉼표로 구분된 목록으로 전달된 특정 PID의 프로세스만 표시 (일반적으로 PID를 즉석에서 알 수 없습니다. 이 예는 프로세스 이름에서 PID를 선택합니다):
|
||||
|
||||
`top -p $(pgrep -d ',' {{프로세스_이름}})`
|
||||
|
||||
- 대화형 명령에 대한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?`
|
32
pages.ko/linux/tor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tor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tor
|
||||
|
||||
> Tor 네트워크를 통해 익명 통신을 활성화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or>.
|
||||
|
||||
- Tor 네트워크에 연결:
|
||||
|
||||
`tor`
|
||||
|
||||
- Tor 구성 보기:
|
||||
|
||||
`tor --config`
|
||||
|
||||
- Tor 상태 확인:
|
||||
|
||||
`tor --status`
|
||||
|
||||
- 클라이언트로만 실행:
|
||||
|
||||
`tor --client`
|
||||
|
||||
- 릴레이로 실행:
|
||||
|
||||
`tor --relay`
|
||||
|
||||
- 브리지로 실행:
|
||||
|
||||
`tor --bridge`
|
||||
|
||||
- 히든 서비스로 실행:
|
||||
|
||||
`tor --hidden-service`
|
33
pages.ko/linux/torify.md
Normal file
33
pages.ko/linux/torify.md
Normal file
|
@ -0,0 +1,33 @@
|
|||
# torify
|
||||
|
||||
> 네트워크 트래픽을 Tor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팅.
|
||||
> 참고: 이 명령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, 이제 `torsocks`의 하위 호환 래퍼입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orify>.
|
||||
|
||||
- 트래픽을 Tor를 통해 라우팅:
|
||||
|
||||
`torify {{명령}}`
|
||||
|
||||
- 셸에서 Tor 토글:
|
||||
|
||||
`torify {{on|off}}`
|
||||
|
||||
- Tor 사용 셸 생성:
|
||||
|
||||
`torify --shell`
|
||||
|
||||
- Tor 사용 셸 확인:
|
||||
|
||||
`torify show`
|
||||
|
||||
- Tor 설정 파일 지정:
|
||||
|
||||
`torify -c {{설정_파일}} {{명령}}`
|
||||
|
||||
- 특정 Tor SOCKS 프록시 사용:
|
||||
|
||||
`torify -P {{프록시}} {{명령}}`
|
||||
|
||||
- 출력 결과를 파일로 리다이렉트:
|
||||
|
||||
`torify {{명령}} > {{경로/대상/출력}}`
|
29
pages.ko/linux/torsocks.md
Normal file
29
pages.ko/linux/torsock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9 @@
|
|||
# torsocks
|
||||
|
||||
>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트래픽을 Tor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팅합니다.
|
||||
> 참고: `torsocks`는 Tor 데몬의 기본값인 127.0.0.1:9050에서 실행 중인 Tor SOCKS 프록시에 연결해야 한다고 가정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lab.torproject.org/tpo/core/torsocks/>.
|
||||
|
||||
- Tor를 사용하여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torsocks {{명령}}`
|
||||
|
||||
- 이 셸에서 Tor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:
|
||||
|
||||
`. torsocks {{on|off}}`
|
||||
|
||||
- Tor가 활성화된 새로운 셸 생성:
|
||||
|
||||
`torsocks --shell`
|
||||
|
||||
- 현재 셸이 Tor가 활성화되었는지 확인 (`LD_PRELOAD` 값이 비어 있으면 비활성화됨):
|
||||
|
||||
`torsocks show`
|
||||
|
||||
- 다른 Tor 회로를 통해 트래픽을 [i]솔레이트하여 익명성 향상:
|
||||
|
||||
`torsocks --isolate {{curl https://check.torproject.org/api/ip}}`
|
||||
|
||||
- 특정 [a]주소 및 [P]포트에서 실행 중인 Tor 프록시에 연결:
|
||||
|
||||
`torsocks --address {{ip}} --port {{포트}} {{명령}}`
|
33
pages.ko/linux/trace-cmd.md
Normal file
33
pages.ko/linux/trace-cmd.md
Normal file
|
@ -0,0 +1,33 @@
|
|||
# trace-cmd
|
||||
|
||||
> Ftrace Linux 커널 내부 트레이서와 상호 작용하는 도구.
|
||||
> 이 도구는 root 사용자로만 실행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race-cmd>.
|
||||
|
||||
- 트레이싱 시스템의 상태 표시:
|
||||
|
||||
`trace-cmd stat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트레이서 나열:
|
||||
|
||||
`trace-cmd list -t`
|
||||
|
||||
- 특정 플러그인으로 트레이싱 시작:
|
||||
|
||||
`trace-cmd start -p {{timerlat|osnoise|hwlat|blk|mmiotrace|function_graph|wakeup_dl|wakeup_rt|wakeup|function|nop}}`
|
||||
|
||||
- 트레이스 출력 보기:
|
||||
|
||||
`trace-cmd show`
|
||||
|
||||
- 트레이싱을 중지하지만 버퍼 유지:
|
||||
|
||||
`trace-cmd stop`
|
||||
|
||||
- 트레이스 버퍼 지우기:
|
||||
|
||||
`trace-cmd clear`
|
||||
|
||||
- 트레이스 버퍼 지우기 및 트레이싱 중지:
|
||||
|
||||
`trace-cmd reset`
|
28
pages.ko/linux/tracepath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tracepath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tracepath
|
||||
|
||||
> 네트워크 호스트로의 경로를 추적하여 이 경로를 따라 MTU를 발견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racepath>.
|
||||
|
||||
- 호스트로의 경로를 추적하는 권장 방법:
|
||||
|
||||
`tracepath -p {{33434}} {{호스트}}`
|
||||
|
||||
- 초기 목적지 포트 지정 (비표준 방화벽 설정에 유용):
|
||||
|
||||
`tracepath -p {{목적지_포트}} {{호스트}}`
|
||||
|
||||
- 호스트명과 숫자 IP 주소 둘 다 출력:
|
||||
|
||||
`tracepath -b {{호스트}}`
|
||||
|
||||
- 최대 TTL(홉 수) 지정:
|
||||
|
||||
`tracepath -m {{최대_홉수}} {{호스트}}`
|
||||
|
||||
- 초기 패킷 길이 지정 (IPv4의 경우 기본값은 65535, IPv6의 경우 128000):
|
||||
|
||||
`tracepath -l {{패킷_길이}} {{호스트}}`
|
||||
|
||||
- IPv6 주소만 사용:
|
||||
|
||||
`tracepath -6 {{호스트}}`
|
20
pages.ko/linux/trap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trap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trap
|
||||
|
||||
> 이벤트 발생 시 명령을 실행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gnu.org/software/bash/manual/bash.html#index-trap>.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이벤트 이름 나열 (예: `SIGWINCH`):
|
||||
|
||||
`trap -l`
|
||||
|
||||
- 명령과 예상 이벤트 이름 나열:
|
||||
|
||||
`trap -p`
|
||||
|
||||
- 신호를 받았을 때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trap 'echo "Caught signal {{SIGHUP}}"' {{SIGHUP}}`
|
||||
|
||||
- 명령 제거:
|
||||
|
||||
`trap - {{SIGHUP}} {{SIGINT}}`
|
32
pages.ko/linux/trash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trash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trash
|
||||
|
||||
> 휴지통/재활용통 관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andreafrancia/trash-cli>.
|
||||
|
||||
- 파일을 휴지통으로 보내기:
|
||||
|
||||
`trash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휴지통에 있는 모든 파일 나열:
|
||||
|
||||
`trash-list`
|
||||
|
||||
- 휴지통에서 파일을 상호작용하며 복원:
|
||||
|
||||
`trash-restore`
|
||||
|
||||
- 휴지통 비우기:
|
||||
|
||||
`trash-empty`
|
||||
|
||||
- 휴지통에서 10일 이상 된 모든 파일을 영구 삭제:
|
||||
|
||||
`trash-empty 10`
|
||||
|
||||
- 특정 블롭 패턴과 일치하는 휴지통의 모든 파일 제거:
|
||||
|
||||
`trash-rm "{{*.o}}"`
|
||||
|
||||
- 특정 원래 위치의 모든 파일 제거:
|
||||
|
||||
`trash-rm {{/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
|
32
pages.ko/linux/trashy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trashy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trashy
|
||||
|
||||
> Rust로 작성된 `rm` 및 `trash-cli`의 대안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oberblastmeister/trashy>.
|
||||
|
||||
- 특정 파일을 휴지통으로 이동:
|
||||
|
||||
`trash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특정 파일들을 휴지통으로 이동:
|
||||
|
||||
`trash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||||
|
||||
- 휴지통의 항목 나열:
|
||||
|
||||
`trash list`
|
||||
|
||||
- 휴지통에서 특정 파일 복원:
|
||||
|
||||
`trash restore {{파일}}`
|
||||
|
||||
- 휴지통에서 특정 파일 제거:
|
||||
|
||||
`trash empty {{파일}}`
|
||||
|
||||
- 휴지통에서 모든 파일 복원:
|
||||
|
||||
`trash restore --all`
|
||||
|
||||
- 휴지통에서 모든 파일 제거:
|
||||
|
||||
`trash empty --all`
|
28
pages.ko/linux/trayer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tray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trayer
|
||||
|
||||
> 경량의 GTK-2 기반 시스템 트레이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sargon/trayer-srg>.
|
||||
|
||||
- `trayer` 실행:
|
||||
|
||||
`trayer`
|
||||
|
||||
- `trayer`를 특정 모서리에 위치시키기:
|
||||
|
||||
`trayer --edge {{left|right|top|bottom}}`
|
||||
|
||||
- 패널의 높이와 너비를 픽셀 단위로 지정:
|
||||
|
||||
`trayer --width {{10}} --height {{32}}`
|
||||
|
||||
- 패널 너비를 픽셀 또는 백분율로 지정:
|
||||
|
||||
`trayer --widthtype {{pixel|percent}} --width {{72}}`
|
||||
|
||||
- `trayer`를 특정 방향으로 정렬:
|
||||
|
||||
`trayer --align {{left|center|right}}`
|
||||
|
||||
- 아이콘 간 간격을 픽셀 단위로 지정:
|
||||
|
||||
`trayer --iconspacing {{10}}`
|
20
pages.ko/linux/treetime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treetim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treetime
|
||||
|
||||
> TreeTime은 조상 서열 복원 및 분자 시계 계통수 추론을 위한 루틴을 제공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treetime.readthedocs.io/en/latest/tutorials.html>.
|
||||
|
||||
- 공동 또는 주변 가능성을 최대화하여 조상 서열을 추론:
|
||||
|
||||
`treetime ancestral`
|
||||
|
||||
- 동형 유전 변이를 포함한 반복적인 돌연변이 패턴 분석:
|
||||
|
||||
`treetime homoplasy`
|
||||
|
||||
- 분자 시계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계통수를 재설정:
|
||||
|
||||
`treetime clock`
|
||||
|
||||
- 호스트 또는 국가와 같은 이산적 특성을 계통수에 매핑:
|
||||
|
||||
`treetime mugration`
|
28
pages.ko/linux/trizen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trizen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trizen
|
||||
|
||||
> Arch Linux에서 Arch User Repository (AUR)로부터 패키지를 빌드하는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trizen/trizen>.
|
||||
|
||||
- 모든 AUR 패키지를 동기화하고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trizen -Syua`
|
||||
|
||||
- 새 패키지 설치:
|
||||
|
||||
`trizen -S {{패키지}}`
|
||||
|
||||
- 패키지 및 의존성 제거:
|
||||
|
||||
`trizen -Rs {{패키지}}`
|
||||
|
||||
- 패키지 데이터베이스에서 키워드 검색:
|
||||
|
||||
`trizen -Ss {{키워드}}`
|
||||
|
||||
- 패키지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trizen -Si {{패키지}}`
|
||||
|
||||
- 설치된 패키지 및 버전 나열:
|
||||
|
||||
`trizen -Qe`
|
28
pages.ko/linux/trust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trus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trust
|
||||
|
||||
> 신뢰 정책 저장소를 운영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rust>.
|
||||
|
||||
- 신뢰 정책 저장소 항목 나열:
|
||||
|
||||
`trust list`
|
||||
|
||||
- 신뢰 정책 저장소의 특정 항목에 대한 정보 나열:
|
||||
|
||||
`trust list --filter={{blocklist|ca-anchors|certificates|trust-policy}}`
|
||||
|
||||
- 특정 신뢰 앵커를 신뢰 정책 저장소에 저장:
|
||||
|
||||
`trust anchor {{경로/대상/인증서.crt}}`
|
||||
|
||||
- 특정 앵커를 신뢰 정책 저장소에서 제거:
|
||||
|
||||
`trust anchor --remove {{경로/대상/인증서.crt}}`
|
||||
|
||||
- 공유 신뢰 정책 저장소에서 신뢰 정책 추출:
|
||||
|
||||
`trust extract --format=x509-directory --filter=ca-anchors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하위 명령에 대한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trust {{하위_명령}} --help`
|
36
pages.ko/linux/tshark.md
Normal file
36
pages.ko/linux/tshark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tshark
|
||||
|
||||
> 패킷 분석 도구, Wireshark의 CLI 버전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tshark.dev/>.
|
||||
|
||||
- 로컬호스트에서 모든 것 모니터링:
|
||||
|
||||
`tshark`
|
||||
|
||||
- 특정 캡처 필터와 일치하는 패킷만 캡처:
|
||||
|
||||
`tshark -f '{{udp port 53}}'`
|
||||
|
||||
- 특정 출력 필터와 일치하는 패킷만 표시:
|
||||
|
||||
`tshark -Y '{{http.request.method == "GET"}}'`
|
||||
|
||||
- 특정 프로토콜(예: HTTP)로 TCP 포트 디코딩:
|
||||
|
||||
`tshark -d tcp.port=={{8888}},{{http}}`
|
||||
|
||||
- 캡처된 출력의 형식 지정:
|
||||
|
||||
`tshark -T {{json|text|ps|…}}`
|
||||
|
||||
- 출력할 특정 필드 선택:
|
||||
|
||||
`tshark -T {{fields|ek|json|pdml}} -e {{http.request.method}} -e {{ip.src}}`
|
||||
|
||||
- 캡처된 패킷을 [f]파일에 저장:
|
||||
|
||||
`tshark -w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[f]파일에서 패킷 분석:
|
||||
|
||||
`tshark -r {{경로/대상/파일.pcap}}`
|
20
pages.ko/linux/ttyplot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ttyplo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ttyplot
|
||||
|
||||
> 실시간 커맨드라인 플로팅 유틸리티로, `stdin`으로 데이터 입력을 받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tenox7/ttyplot>.
|
||||
|
||||
- 값 `1`, `2`, `3`을 플로팅 (`cat`은 ttyplot의 종료를 방지):
|
||||
|
||||
`{ echo {{1 2 3}}; cat } | ttyplot`
|
||||
|
||||
- 특정 제목과 단위를 설정:
|
||||
|
||||
`{ echo {{1 2 3}}; cat } | ttyplot -t {{제목}} -u {{단위}}`
|
||||
|
||||
- while 루프를 사용하여 랜덤 값을 지속적으로 플로팅:
|
||||
|
||||
`{ while {{true}}; do echo {{$RANDOM}}; sleep {{1}}; done } | ttyplot`
|
||||
|
||||
- `ping`의 출력을 파싱하여 시각화:
|
||||
|
||||
`ping {{8.8.8.8}} | sed -u '{{s/^.*time=//g; s/ ms//g}}' | ttyplot -t "{{8.8.8.8로의 핑}}" -u {{ms}}`
|
21
pages.ko/linux/tune2fs.md
Normal file
21
pages.ko/linux/tune2f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
# tune2fs
|
||||
|
||||
> ext2, ext3 또는 ext4 파일 시스템의 매개변수를 조정합니다.
|
||||
>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une2fs>.
|
||||
|
||||
- 파일 시스템이 검사되기 전 최대 횟수를 2로 설정:
|
||||
|
||||
`tune2fs -c {{2}} {{/dev/sdXN}}`
|
||||
|
||||
- 파일 시스템 레이블을 MY_LABEL로 설정:
|
||||
|
||||
`tune2fs -L {{'MY_LABEL'}} {{/dev/sdXN}}`
|
||||
|
||||
- 파일 시스템에 대해 디스카드 및 사용자 지정 확장 속성을 활성화:
|
||||
|
||||
`tune2fs -o {{discard,user_xattr}} {{/dev/sdXN}}`
|
||||
|
||||
- 파일 시스템에 저널링 활성화:
|
||||
|
||||
`tune2fs -o^{{nobarrier}} {{/dev/sdXN}}`
|
24
pages.ko/linux/tuned-adm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tuned-adm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tuned-adm
|
||||
|
||||
> Linux에서 시스템 성능 튜닝 프로필을 관리하고 최적화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tuned-project.org>.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프로필 나열:
|
||||
|
||||
`tuned-adm list`
|
||||
|
||||
- 현재 활성화된 프로필 표시:
|
||||
|
||||
`tuned-adm active`
|
||||
|
||||
- 특정 튜닝 프로필 설정:
|
||||
|
||||
`tuned-adm profile {{프로필_이름}}`
|
||||
|
||||
- 현재 시스템에 적합한 프로필 추천:
|
||||
|
||||
`tuned-adm recommend`
|
||||
|
||||
- 튜닝 비활성화:
|
||||
|
||||
`tuned-adm off`
|
25
pages.ko/linux/tunelp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tunelp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
# tunelp
|
||||
|
||||
> 병렬 포트 장치의 다양한 매개변수를 설정하여 문제 해결 또는 성능 향상을 위한 도구.
|
||||
> `util-linux`의 일부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unelp>.
|
||||
|
||||
- 병렬 포트 장치의 [s]상태 확인:
|
||||
|
||||
`tunelp --status {{/dev/lp0}}`
|
||||
|
||||
- 주어진 병렬 포트 [r]재설정:
|
||||
|
||||
`tunelp --reset {{/dev/lp0}}`
|
||||
|
||||
- 장치에 사용할 [i]RQ 지정, 각 IRQ는 인터럽트 라인을 나타냄:
|
||||
|
||||
`tunelp -i 5 {{/dev/lp0}}`
|
||||
|
||||
- 프린터에 문자를 출력하기 위해 주어진 횟수만큼 시도한 후, 지정된 시간만큼 [c]대기:
|
||||
|
||||
`tunelp --chars {{횟수}} --time {{시간_센티초}} {{/dev/lp0}}`
|
||||
|
||||
- 오류 발생 시 [a]중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(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됨):
|
||||
|
||||
`tunelp --abort {{on|off}}`
|
24
pages.ko/linux/turbostat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turbosta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turbostat
|
||||
|
||||
> 프로세서 토폴로지, 주파수, 온도, 전력 및 유휴 통계를 보고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urbostat.8>.
|
||||
|
||||
- 5초마다 통계 표시:
|
||||
|
||||
`sudo turbostat`
|
||||
|
||||
- 지정한 초마다 통계 표시:
|
||||
|
||||
`sudo turbostat -i {{초}}`
|
||||
|
||||
- 시스템 구성 헤더 정보를 해독하여 출력하지 않음:
|
||||
|
||||
`sudo turbostat --quiet`
|
||||
|
||||
- 헤더 정보 없이 1초마다 CPU에 대한 유용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udo turbostat --quiet --interval 1 --cpu 0-{{CPU_스레드_수}} --show "PkgWatt","Busy%","Core","CoreTmp","Thermal"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turbostat --help`
|
20
pages.ko/linux/tuxi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tuxi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tuxi
|
||||
|
||||
> Google 검색 결과와 SERP를 스크래핑하여 즉각적이고 간결한 답변을 제공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Bugswriter/tuxi>.
|
||||
|
||||
- Google을 사용하여 검색:
|
||||
|
||||
`tuxi {{검색어}}`
|
||||
|
||||
- 검색 결과를 [r]원시 형식으로 표시 (예쁜 출력 없음, 색상 없음):
|
||||
|
||||
`tuxi -r {{검색어}}`
|
||||
|
||||
- 검색 결과만 표시 ("이것을 의미했나요?", 인사말 및 사용법 숨김):
|
||||
|
||||
`tuxi -q {{검색어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tuxi -h`
|
13
pages.ko/linux/tzselect.md
Normal file
13
pages.ko/linux/tzselect.md
Normal file
|
@ -0,0 +1,13 @@
|
|||
# tzselect
|
||||
|
||||
> 대화형으로 시간대를 선택합니다.
|
||||
> 참고: 이 프로그램은 실제로 시간대를 설정하지 않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tzselect>.
|
||||
|
||||
- 시간대 선택을 위한 대화형 메뉴를 열고 선택한 시간대를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tzselect`
|
||||
|
||||
- ISO 6709 표기법으로 좌표에 가장 가까운 시간대 요청:
|
||||
|
||||
`tzselect -c {{좌표}}`
|
|
@ -6,11 +6,11 @@
|
|||
|
||||
- Open termusic to a specific directory. (It can be set permanently in `~/.config/termusic/config.toml`):
|
||||
|
||||
`termusic {path/to/directory}`
|
||||
`termusic {{path/to/directory}}`
|
||||
|
||||
- Disable showing the album cover for a specific file:
|
||||
|
||||
`termusic -c {path/to/music_file}`
|
||||
`termusic -c {{path/to/music_file}}`
|
||||
|
||||
- Display help:
|
||||
|
||||
|
|
Loading…
Add table
Reference in a new issue